2016/04/26

[과학사] Aiton and Burstyn (1965), “Galileo and the Theory of the Tides” 요약 정리 (미완성)

   
[ E. J. Aiton and Harold L. Burstyn, “Galileo and the Theory of the Tides,” Isis (Spring, 1965), pp. 56-63. ]
  
  
  1. Comments by E. J. Aiton
  2. Reply by Harold L. Burstyn
  
  
[p. 56]
- 버스틴(Harold L. Burstyn)이 1963년 논문에서 갈릴레오의 물리학(『대화』 넷째 날의 조수에 관한 이론)을 뉴튼 물리학의 용어로 분석함.
• 버스틴의 결론: 두 경우 모두 조수 현상이 지구의 자전과 태양에 대한 공전 모두의 증거로서 사용될 수 있음.
- 버스틴의 1963년 논문은 과학사에서 논쟁을 일으킴.
• 에인튼(E. J. Aiton)은 버스틴의 분석에 의문을 제기함.
- 갈릴레오는, 지구의 운동에는 매달 ‘변화’(unevenness)가 있는데, 그것은 지구와 달 사이에 작용하는 힘(force)은 일정하지만 달과 태양 사이의 거리는 일정치 않기 때문이라고 가정함.
• 버스틴은 힘을 중력적인 것으로, 변화를 지구와 태양 사이의 공전궤도 반지름의 변화로 해석함.
• 에인튼은 힘을 지구궤도의 접선방향 힘으로, 변화를 지구의 공전 속도의 주기적 변화로 해석하는 것이 문맥상 적절하다고 주장함. 이는 시계 추 무게의 주기 운동에 관해 설명을 포함한다는 것.


  1. Comments by E. J. Aiton
  2. Reply by Harold L. Burstyn
  
  
(2019.10.05.)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오타의 기능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된 이진숙 교수가 지도학생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지도학생의 석사 논문에 있던 오타까지 그대로 이진숙 교수의 논문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석사학위논문에 있는 오타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산출물에 남기는 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