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04

[글쓰기] 글을 전개하는 방법(2) - 표현하기 (김대중・노무현 대통령)

    

1. 최대한 쉽게

- 자기가 아는 말을 해야 글이 쉬워진다.

- 한자어보다는 고유어를 쓰는 것이 좋다.

   

2. 짧은 문장

- 최대한 단문으로 쓰자. 쪼갤 수 있는 데까지 쪼개고, 끊을 수 있는 데까지 끊자.

- 주어와 서술어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해야 읽는 사람이 빨리 이해한다.

   

3. 단순화

   

4. 명료

-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표현을 삼가야 의미 전달을 확실히 할 수 있다.

- 읽거나 듣는 사람이 자기 머릿속에 골자를 정리할 수 있도록 전개도 명료해야 한다.

   

5. 평범

- 거창한 것이나 특이한 것보다는 담백하고 평범한 것이 좋다.

   

6. 압축

- 압축할 수 있는 것은 최대한 압축한다.

- 상징적이고 함축적인 언어를 찾고 메시지를 표어로 만들어서 기억에 남도록 한다.

• 예) ‘문화는 미래입니다.’

   

7. 자연스러움

- 말 같은 글, 친한 벗에게 이야기하듯 자연스러운 글이 좋다.

   

8. 중복

- 중복은 글을 지루하고 늘어지게 한다.

- 한 단락 안에서 같은 단어가 또 나오지 않도록 한다.

   

9. 상징

- 상징을 사용하면 귀에 쏙 들어오고 오래 기억되는 효과가 있다.

• 예) “민생이라는 말은 저에게 송곳입니다. 지난 4년 동안 저의 가슴을 아프게 찌르고 있습니다. 지금도 이 한마디는 저의 마음을 무겁게 짓누르고 있습니다. 민생이 풀리지 않았기 때문입니다.”(2007년 1월 노무현 대통령 신년연설)

   

10. 생략

- 생략해도 좋은 말은 과감히 생략한다.

   

11. 점층

- 노무현 대통령은 점층적인 표현도 자주 썼다.

• 예) “권력기관을 장악할 생각도 없고, 장악해서도 안 되고, 장악하는 게 가능하지도 않습니다.”

   

12. 창의적 vs. 의례적

- 두 대통령 모두 늘 새롭고 창의적인 표현을 찾았다.

- 일반론을 장황하게 늘어놓는 것은 지면과 시간 낭비다.

   

13. 크게 그려라

- 대상이나 주제에 한정하지 말고, 더 큰 시야에서 보고 전체를 아우르는 메시지로 확장한다.

   

14. 과거 통해 현재 부각

   

15. 친근감 표시

- 칭찬이나 공통점 강조는 많을수록 좋다.

• 그 대신 진심을 담아야 한다.

• 허례허식이나 빈정거림으로 들리면 역효과가 난다.

   

16. 주의 집중

- 관심과 집중도를 높일 만한 내용을 적절히 배치한다.

• 개인적인 인연이나 에피소드가 있으면 소개하는 것이 그 한 방법이다.

• 질문을 던지는 것도 주의를 집중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17. 눈에 그려지게, 손에 잡히게

- 다루는 대상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18. 인용

- 유명 인사의 말이나 역사적인 사실은 호기심을 자극한다.

• 단, 표절하면 안 되고, 남의 글을 인용할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힌다.

   

19. 속담, 명언

- 다른 나라와 관련된 자리에서는 상대국의 속담이나 명언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 하지만 한 번만 해야 한다.

   

20. 인상 깊은 문구

- 두 대통령 모두 인상 깊게, 뇌리에 박히는 표현을 잘 찾아냈다.

• 예) “기적은 기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김대중 대통령, 1998년 10월 일본 국회 연설에서 한국의 민주주의가 우연히 주어진 것이 아니라 피와 땀의 결과라고 말하면서)

• 예) “시장개혁만으로 시장은 개혁되지 않습니다.” (노무현 대통령, 2003년 4월 국회 국정연설에서)

   

   

* 출처: 강원국, 『대통령의 글쓰기』 (메디치, 2014), 115-123쪽.

  

  

(2015.12.29.)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