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06

담배의 해로움 - 독일 편



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독일은 경제 사정이 매우 어려워서, 당시 독일 사람들은 담뱃불을 붙이는 성냥 한 개비도 아끼려고 적어도 세 사람이 모여야 담배를 피웠다고 한다. 1960년대와 1970년대 한국의 도덕 교과서는 라인 강의 기적을 이룬 독일인의 검소함을 소개했다. 한국인들도 독일인의 검소함을 본받아 경제 발전을 이루라는 의도에서였을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성냥 한 개비도 아껴야 하는 상황에서도 흡연자들은 담배를 쉽게 끊지 못한다는 것이다. 담배의 해로움이 이와 같다.





* 링크: [이말년 씨리즈] 15화. 누구를 위해 불을 붙이나

(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03759&no=16 )

(2016.01.0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