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4/24

나는 과학적 실재론자인가 반-실재론자인가



어떤 대학원생이 석사 논문 작성을 앞두고 학회 대학원생 분과에 발표 신청을 했다. 발표자는 과학적 실재론을 비판하는 반-실재론자 레이의 주장을 실재론자들이 반박할 수 있다는 글을 썼다. 논평자인 나는 발표자의 주장을 반-실재론자들이 어떻게 반박할 수 있을지 썼다. 사실, 실재론이 맞는지 반-실재론이 맞는지 잘 모르겠다. 논평은 발표문에 대한 일종의 스트레스 테스트와 비슷한 것이라서 그렇게 쓴 것이다.

발표 전날, 발표자와 같이 버스를 타고 학교에서 전철역으로 나가면서 내가 석사 논문 쓰던 이야기를 했다. 나는 반-실재론을 옹호하는 입장으로 석사 논문을 썼다. 반-실재론을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면 논문을 더 쉽게 쓸 수 있을 것 같아서 그렇게 논문을 쓰기 시작했는데, 쓰면서 계속 생각하니까 실재론이 더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지만 되돌릴 수 없었다. 실재론을 옹호하는 내용으로 논문을 쓰려면 졸업하는 데 최소한 한 학기는 더 걸릴 것이었고, 이미 나는 석사 과정을 꽤 오래 다녀서 그 학기에 졸업하지 않으면 파국을 맞을 수도 있었다. 그렇게 나는 반-실재론을 옹호하는 논문을 써서 졸업했다.

사람이 사는데 실재론자냐 반-실재론자는 거의 안 중요하다. 그러나 학사냐 석사냐는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대가들 중에 실재론자도 있고 반-실재론자도 있지만 석사 학위도 없는 사람은 크립키 빼고 없다. 과학적 실재론에 관하여, 나는 실재론자도 아니고 반-실재론자도 아니고 흑묘백묘론자인 것 같다.

(2019.02.24.)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