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2/02

[글쓰기 강좌 조교] 사회과학 글쓰기 지도 - 소논문과 학술에세이



1. 사회과학 리포트의 구조와 형식

1.1. 소논문

1.2. 학술에세이

2. 제목

3. 서론

4. 이론적 논의 작성 및 개념 정의

5. 기존 논의 검토

6. 연구 방법(분석틀 및 연구 대상, 연구문제)

7. 분석 방법

8. 본론

9. 결론

1. 사회과학 리포트의 구조와 형식

- 사회과학 리포트는 주로 두 가지 형식은 (i) 소논문 (ii) 학술에세이

- 소논문은 학술지 논문이나 학위 논문과 그 속성은 동일하지만, 분량과 형식에서 약간 차이가 있음.

- 학술에세이는 필자의 주장을 근거를 들어 피력하는 글. 엄격한 논문 형식을 따르기보다는 주장과 근거를 논리적으로 서술할 수 있도록 목차를 구성함.

1.1. 소논문

(1) 소논문 형식의 구성

- 소논문은 주제와 방법론에 따라 형식이 조금씩 달라지지만 구성 원리는 동일함.

■ 소논문 형식

- 소논문 형식은 다음과 같다.

<사회과학 소논문 형식>

제목

초록

목차

1. 서론 (또는 문제제기)

2. 이론적 논의 (또는 이론적 배경과 개념정의, 선행연구 검토)

3. 접근 방법 (또는 분석틀, 연구 방법, 접근시각/연구대상, 연구문제, 자료수집, 분석방법)

4. 본론 (분석결과 1)

5. 본론 (분석결과 2)

6. 결론 (요약과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 소논문 형식에서 서론, 이론적 논의, 접근 방법은 논문의 서론 부분에 해당함.

- 서론 부분은 이 연구의 기본적인 틀과 방향을 설명하며, 본론은 그 틀에 맞춰 분석한 내용(결과)임.

(2) 소논문 형식의 장점

- 어떤 주제에 대한 기존 연구나 관련 이론 및 논의를 바탕으로 자신의 연구의 독창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기존 연구의 장점을 수용하고 한계를 보완하는 차원에서 연구 성과를 드러낼 수 있음.

• 논문 형식은 기존 연구의 성과 위에 자신의 연구를 더하는 것으로, 과거와 현재의 학문적 소통을 꾀하는 형식.

- 사회 현상에 대한 해석의 틀이나 분석의 틀을 기존 이론을 바탕으로 도출하여 객관성을 확보하기 더 쉬움.

• 사회 현상을 아무런 이론적 근거나 기존 연구와의 관련성이 없이 자신의 방식과 언어만으로 분석한 글은 주관적이라는 비판을 받게 됨.

- 소논문 형식은 연구 방법을 비중 있게 다룬다는 장점이 있음.

• 사회현상에 대한 연구는 연구 방법이 중요함.

• 어떤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려 하며, 왜 그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려고 하는지를 독자에게 전달할 필요가 있음.

• 연구 방법이 중요하고 유의미한 경우, 소논문 형식을 따라야 함.

1.2. 학술에세이

(1) 학술에세이 형식의 구성

- 연구대상에 대한 해석과 주장을 유의미한 범주로 분류하여 그 근거와 함께 제시하는 형식

• 주장을 이유 및 근거와 함께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배치하는 것.

• 사회현상의 어떤 부분을 어떻게 읽어내느냐를 범주화하여 분류하고 체계적으로 구성.

• 주장을 전개하면서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인용하거나 수용적으로 인용하기도 함.

- 유의미한 범주의 성격에 따라 구조가 달라질 수 있음

• 시간적 배치

• 공간적 배치

• 핵심 개념에 따른 배치

• 강조를 위해 강도가 강한 것부터 약한 것 순으로 배치(또는 반대로)

• 원인과 결과 배치

• 문제 현상과 문제 해결 배치 등

■ 학술에세이 형식

- 학술에세이 형식은 다음과 같다.

1. 서론 (글의 목적과 문제의식을 기술)

2. 맥락을 제시

3. 주장 부분

4. 근거 부분

(2) 학술에세이 형식의 장점

- 학술에세이 형식은 사회과학 논문에서 가치 또는 사상이나 이론적 차원의 논문을 쓸 경우 유용함.

- 특정의 연구대상을 분석하는 논문이 아니라 사상이나 철학적 원리를 논증하거나 이론적 논의에 치중하는 연구의 경우에 주장과 근거를 설득력 있게 배치하는 형식을 취함.

2. 제목

- 제목은 원칙적으로 글의 논제와 논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함.

• 논제: 연구 주제, 연구 문제

• 논지: 핵심주장, 답변, 관점, 접근 방법 등

- 제목만으로도 그 글의 연구 질문과 주장을 알 수 있어야 함.

• 제목은 글의 내용을 대표함.

• 글이 어떤 연구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무엇을 주장하는지를 나타내야 함.

■ 피해야 할 제목(논제와 논지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함)

- 제목이 너무 길어 수식관계가 불분명하거나 의미가 불분명한 경우

• 예) 대통령 자서전에 나타난 대통령의 자아 인식과 여론 및 대통령의 사회적 평판이 역사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너무 광범위하고 추상적인 제목인 경우

• 예) 인간과 국가

- ‘연구’, ‘고찰’, ‘소고’와 같은 상투적인 표현을 불필요하게 쓰는 경우

• 예) 지역주의의 원인에 대한 과학적 연구

- 부차적인 의미의 형용사 부사를 쓰는 경우

• 예) 최근 SNS 등장이 현대 민주주의에 미친 영향

-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의미의 제목

• 예)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

■ 제목의 예

- “탈북자의 탈북동기”

• 해당 연구의 독창성을 전혀 드러내지 못함.

• 탈북자의 탈북동기를 연구하겠다는 논제(연구 문제)만 보여줌.

-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동기: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탈북자의 탈북동기를 논제로 함.

• 탈북자의 탈북 동기는 그들이 북한에 있을 때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서 서로 다르다는 것을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주장하고자 하는 글임을 알 수 있음.

• 짧은 제목이지만 글 전체를 다 보여줌.

- “탈북자의 탈북동기”보다는 “탈북자의 재북 사회경제적 지위와 탈북동기: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가 해당 연구의 중요한 정보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제목임.

3. 서론

- 보고서의 서론은 그 글이 무엇을 문제 삼는지를 드러내는 곳

• 서론은 ‘문제제기’라는 제목으로도 사용함.

• 전체 글의 도입이면서, 전체 글에 대한 소개 및 표지판 구실을 함.

- 글을 다 완성한 후에 반드시 서론을 최종 수정을 해야 함.

• 독자는 서론을 통해 글 전체를 평가하게 된다는 점에서 서론은 가장 중요한 부분.

• 본론 부분과 결론에서 다룬 내용들이 서론과 합치되는지를 확인해야 함.

■ 서론에서 다루어야 하는 내용

- 연구 목적: 이글이 무엇을 목적으로 한 글인가?

- 연구의 필요성 및 문제의식: 이 연구가 왜 필요한가?

- 연구 방법, 접근 시각, 연구 대상, 연구문제: 어떻게 이 연구를 할 것인가?

- 논지: 이 글이 주장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 소논문 형식의 글에서 내용상 서론은 본문 바로 앞까지를 의미함.

■ 서론에서는 독자의 관심을 끄는 전략

- 글의 주제가 흥미로운지, 공감할만한 문제의식을 전제하는지, 중요한 문제제기를 하는지를 서론에서 논증해야 함.

- 서론의 첫 문장은 간결해야 함.

• 첫 문장부터 장황하거나 만연체 문장으로 서술하면 독자들의 몰입도와 흥미가 떨어지기 쉬움.

- 서론에 너무 장황한 설명이나 불필요한 상황 묘사 등을 늘어놓지 말 것.

- 서론에서 제공해야 하는 정보를 간결하면서도 명확하게 빠짐없이 서술해야 함.

- 서론에서 맥락 제시는 자신의 연구문제와 직결되는 맥락인지를 되물어야 함.

- 독자들이 맥락을 보고서도 이 글의 핵심 주제를 추측할 수 있어야 함.

■ 서론 구성 요소

- 문제제기로서 맥락 제시(연구배경)

- 연구 대상 소개

- 기존 논의 소개

- 기존 논의에 대한 문제제기(학문적 문제의식)

- 연구 목적(논지 제시)

■ 문제제기로서 맥락 제시

- 서론은 문제의식을 반드시 서술해야 하며, 어떠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를 하고자 하는지를 분명히 밝혀야 함.

- 문제의식 없이 연구의 필요성이 형성될 수 없음.

• 문제의식은 현실적 문제 상황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고, 동시에 학문적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음.

• 현실문제가 심각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논증과 해당 연구문제가 중요한데도 기존 연구가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을 피력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밝혀야 함.

• 주제에 따라 시사적 문제의식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음.

- 일반적으로 연구는 학문적 문제의식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 문제제기를 한 다음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접근할지에 독자에게 어느 정도 정보를 제공해야 함.

• 글쓴이의 가치와 관점은 문제의식을 드러낼 때 이미 반영됨.

• 문제의식을 이 글에서는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에 관하여 간략하게 서술함.

• 이 부분은 논지에 해당함.

- 기존 연구와 다르게 어떤 시각에서 무엇에 초점을 맞추고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 무엇을 주장하고자 하는지를 연구목적으로 드러낼 필요가 있다.

- 논지는 핵심주장, 연구의 결론적 메시지임.

• 서론의 논지와 결론의 논지는 의미는 동일하지만 표현 방식에서 그 뉘앙스가 상당히 다름.

• 서론에서 자기 주장을 결론처럼 작성할 수 없지만 자신의 관점과 시각, 주장을 서론에서도 적극적으로 드러내야 한다는 것.

• 서론에 논지를 서술함으로써 독자들이 서론만 보고서도 이 글은 어떤 질문을 하고 있고 그 질문에 어떤 관점에서 답변을 내리는지를 추론할 수 있도록 함.

• 서론에 논지를 서술하여 글의 독창성을 일관되게 피력할 수 있고, 이는 글의 일관성, 독창성, 구체성을 확보하는 방법임.

- 서론은 맨 나중에 신중하게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서론, 본론, 결론은 구성상의 순서이지 내용 면에서의 순서가 아님.

■ 학생들이 틀리기 쉬운 부분

- 아직 연구를 수행하지 않았다는 것을 핑계로 연구 목적을 막연하게 제시하는 경우

- 해당 주제에 관해서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연구목적을 서술하는 경우

• 예) “이 글에서는 ◯◯◯◯를 면밀히 검토하여 어떤 특성을 가지며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 이 진술은 글의 독창성을 전혀 보여주지 못하며 논제만 제시함.

- 서론에서 진술하는 논지는 글쓴이의 주장, 시각, 접근 방법에 관한 것임.

• 결론에서의 논지 서술은 더 구체적인 주장과 핵심 메시지를 의미함.

4. 이론적 논의 작성 및 개념 정의

- 이론적 논의는 어떤 주제를 다루기 위해 필요한 기존 논의들을 정리하고, 그 논의에 기초하여 자신의 접근 시각이나 분석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물밑작업.

• 독자는 이론적 논의를 통하여 이 주제에서 중요한 쟁점은 무엇인지, 핵심 개념은 무엇이고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지 등을 먼저 파악함.

• 이론적 논의의 작성은 합리적 이유와 근거를 들어 기존 논의를 수용하고 비판하는 것으로 이루어짐.

• 수용과 비판을 하면서 글쓴이의 이론적 관점을 정립해갈 수 있다.

• 이론적 논의는 이론적 배경이라는 말로도 대체 가능함.

- 이론적 배경은 자신의 연구 기반이 되는 논의들을 서술하는 것

• 여기에는 개념 정의, 관련 주제에 대한 이론적 논의, 기존연구(혹은 선행연구) 검토 등이 해당됨.

■ 개념 정의의 방식

- 기존 개념을 그대로 수용하는 방식

- 기존의 여러 개념 정의들을 정리 검토하면서 중요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수렴하는 방식

- 기존의 개념 정의에서 수용할 부분은 수용하고 비판할 부분은 비판하면서 새로운 개념을 만들고 재정의하는 방식

5. 기존 논의 검토

- 기존 논의 검토는 독창적인 연구를 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작업임.

- 기존 논의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주제가 비슷한 문헌들을 선정함.

- 문헌들을 잘 독해한 후, 주요 쟁점이 무엇인가를 파악함.

- 쟁점을 둘러싼 각 논의들이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봄.

- 가능하다면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르는 기준을 정하고 범주화하여 기존 논의들을 두세 종류로 분류함.

• 예) “부동산 가격 상승의 원인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수요 측면과 공급 측면의 논의로 나눌 수 있다. 두 가지 관점은 모두 경제적 원인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비경제적 원인에 대한 연구를 등한시한다는 한계가 있다.”

- 분류한 관점들이 어떤 의의와 한계를 가지는지 따져보면서 기존 논의의 결함을 발견할 수 있음.

- 그 결함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설정함으로써 연구의 의의와 독창성을 확보할 수 있음.

- 기존 논의를 검토하는 작업이 어렵다면 자신의 연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문헌들을 선정하고, 각 문헌들을 정리 검토하는 방법도 있음.

- 각 문헌을 요약 정리하고 의의와 한계를 논한 후 종합적으로 자신의 연구에 활용하는 방법도 있음.

- 결국 기존 논의를 검토하는 작업은 자신의 연구의 의의를 보여주는 기능을 함.

- 기존 연구 검토는 자신의 연구가 기존 연구와 어떤 점에서 다른지, 자신의 연구가 왜 필요한지에 대한 논증 과정임.

6. 연구 방법(분석틀 및 연구 대상, 연구문제)

- 사회과학 보고서에서 연구 방법이나 분석틀을 제시하는 것은 인문학 보고서와 다른 부분.

- 사회과학 논문에서는 사회 현상을 해석하는 틀이나 분석하는 방법에 따라 그 글의 성격이 확연히 달라짐.

- 연구 방법은 흔히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방법으로 분류됨.

• 질적 연구: 사례 연구, 심층 인터뷰, 참여 관찰, 자료나 문헌 등을 1차 자료로 하여 사회현상의 특수성을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방법.

• 양적 연구: 사회 현상을 주요 변수들 사이의 관계로 통제하고 계량화하여 통계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일반화를 추구하는 방법.

- 사회과학에서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지간에 해석의 틀이 필요함.

• 그 해석의 틀을 분석틀, 접근 방법, 연구 모형, 접근시각 등으로 명명함.

• 이러한 제목들을 붙이지 않더라도 연구 대상을 바라보는 틀을 서술해야 함.

- 분석틀을 사용하는 방식

•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틀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

• 부분적으로 수정(확장 또는 축소)하는 방식

• 이론적 논거를 가지고 새롭게 만드는 방식

- 어떤 방식을 취하든지 상관없이 분석틀을 수립할 때는 왜 이러한 분석틀을 제시하는지 그 이유와 근거를 논증해야 함.

7. 분석 방법

- 해석의 틀에 비추어 연구대상을 구체적으로 분석(측정)하는 방법

• 강도, 다소, 빈도, 비율, 평균 등의 단순 지표뿐만 아니라 특정 현상을 나타내는 자료가 어떤 속성이나 가치에 속하는지를 정하는 기준 등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함.

• 양적 방법인 경우에는 어떤 통계 방법을 왜 활용하고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를 설명해야 함.

- 주제와 접근 방법에 따라 구체적인 분석 방법이 불필요한 경우도 있음.

• 문헌 연구나 사상 및 이론적 논의를 위주로 한 연구, 역사적 서술 형태의 글은 측정 방법이 불필요함.

• 그러나 특정 연구대상을 자신의 해석 틀로 분석하려고 할 때 그것을 어떻게 측정하고 분석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있어야 독자도 그 연구의 정확성, 객관성, 검증가능성, 독창성 등을 믿을 수 있음.

8. 본론

- 본론에서는 분석틀에서 제시한 분석의 기준들을 빼놓지 않고 분석하여 그 결과를 보여주어야 함.

- 분석의 틀(접근 방법)에 조응하여 본론 목차를 순서대로 배치하고, 분석 내용 및 결과를 서술함.

• 예) 분석틀에서 전쟁의 원인을 국내적 원인과 국제적 원인으로 파악하겠다고 분석틀을 분류했다면, 본론(1)에는 국내적 원인을, 본론(2)에는 국제적 원인을 분석해서 서술해야 함.

- 연구 방법에서 가설(1), 가설(2), 가설(3)을 수립했다면 본론에서는 세 가설을 순서대로 검증하여 그 결과를 보여줌.

• 본론에서 새로운 가설을 수립하여 가설(1-1)이나 가설(4)를 검증하면 안 됨.

• 분석틀에서 전혀 언급하지 않는 요소들을 본론에 담으면 그 글은 일관성과 체계성을 갖추지 못한 글이 됨.

- 목차(글의 서술 순서)는 일련의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논증이기 때문에, 본론(1)과 본론(2) 사이에는 가능한 한 서로 연결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도 중요함.

- 본론에서는 그림이나 표들을 사용하여 분석 내용을 독자가 일목요연하게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연구 결과를 가장 잘 드러내는 그림이나 표가 무엇인지를 고려할 것.

- 부차적이고 주변적인 내용을 잡다하게 보여주기보다는 이 연구의 핵심에 해당하는 중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적절한 그림이나 도표 및 사진 자료 등을 배치할 것.

- 그림이나 표를 독자가 알기 쉽게 기호나 단위 등에 대한 설명을 그림이나 표에 반드시 표기하도록 할 것.

- 데이터나 그림의 출처를 정확하게 표기할 것.

9. 결론

- 결론은 논문을 종결하는 곳.

• 결론에서는 본문을 요약하고 논지를 명확하게 전달한 후 시사점을 제시함.

- 결론 작성 순서

• 연구목적과 논지를 진술.

•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 본론(연구 결과)을 요약해서 정리.

• 그 연구 결과가 어떤 함의가 있는지,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정리함.

- 연구의 함의는 주로 이론적 의의를 말함.

- 시사점은 정책이나 우리 사회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지침을 의미함.

- 연구의 한계를 적고 싶다면 간략하게 적을 것

• 연구의 한계를 너무 길게 서술한다면 자신의 논지를 설득력 있게 전달해야 하는 글쓴이의 목적에 도달할 수 없음.

• 한계를 적더라도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방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음.

■ 결론 작성 시 유의할 점

- 너무 장황하게 서술하지 않도록 유의할 것.

- 앞에서 거론하지 않았던 새로운 문헌이나 이론과 개념들을 등장시키지 않도록 할 것.

• 결론은 글쓴이의 주장과 근거를 최대한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곳이기에 새로운 이론적 논의를 인용하는 것은 부적합함.

- 개인적인 변명이나 불필요한 사족을 달지 않도록 할 것.

• 예) “필자는 학부생으로서 학식도 없고, 연구 자원도 없어서...” 등과 같이 사적인 핑계를 대는 문장을 넣지 말 것.

- 시사점은 연구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어야 함.

• 과장하거나 감정적 어조의 경고나 예언 등은 부적절함.

- 결론은 논지와 본론 요약과 함의를 중심으로 서술함.

* 참고 문헌: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2016), 『2016년 1학기 교양 강의조교 워크숍 자료집』, 107-114쪽.

(2019.03.02.)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