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에서 정말 기초적이고 당연한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지키지 않는 것 중 하나는, 글 한 편에서 한 가지 주제만 다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짧은 글일수록 이 점에 더 신경 써야 한다.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겠다고 엉뚱한 내용을 섞으면 글이 망한다. 굳이 두 대상을 글 한 편에서 다루고 싶다면 서로 다른 두 대상이 어떻게 한 범주로 묶이는지, 둘 사이에 무슨 연관이 있는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한겨레>에 실린 “목사 다음 교수”라는 글을 보자. 글쓴이에서 첫째 문단에서 부도덕한 목사들의 사례를 나열한 뒤, 둘째 문단에서 부도덕한 교수들을 나열한다. 글쓴이가 제시한 사례만 놓고 보면 두 사례 사이에는 부도덕성 이외에는 어떠한 연관성도 없다. 왜 부도덕한 목사를 부도덕한 스님이나 부도덕한 의사나 부도덕한 공무원하고 묶지 않고 부도덕한 교수와 묶는지를 설명해야 정상적인 글이 된다. 교수도 싫고 목사도 싫은데 마침 글 한 편에서 한 방에 둘을 욕하고 싶어서 그렇게 한 것이라고 답한다면 글이 망한 것이다. 글쓴이는 두 집단의 공통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첫째, 목사와 교수 모두 본인의 도덕성과 상관없이 무작위 대상에 대한 도덕적 권위를 획득한다. 목사는 학벌, 설교 등을 기준으로 교회에 임용되고, 목사의 도덕성은 교회의 성장이라는 기준에 밀린다. 교수도 마찬가지다. 박사 학위는 도덕성을 가르치는 과정이 아니다. 도덕성 검증도 받지 않고, 전문직으로 임용된 이들이, 연구실의 왕이 되어 학생들을 다스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사와 교수 모두 신자와 학생에게 도덕적 기준을 강요한다. 말도 안 되는 구조다.
둘째, 비리가 터질 때마다 그들 모두 일부의 일탈이라고 변명한다. 그 변명은 교계와 학계에 받아들여지고, 징계는 가볍다. 그들은 시스템의 승리자다. 또한 암묵적 공범자인 교계와 학계의 네트워크가 그들을 보호해줄 것임을 잘 안다. 그래서 이런 범죄는 절대 뿌리 뽑힐 수 없다. 언론이 매일 목사와 교수의 범죄를 발견해 대서특필해도 마찬가지다. 그건 검찰과 사법부의 비리가 벌써 반세기 넘게 언론에 의해 폭로되었어도, 여전히 그들이 한국을 지배하는 현실과 같다.
안타깝게도, 글쓴이는 교수도 싫고 목사도 싫은데 마침 글 한 편에서 한 방에 둘을 욕하고 싶어서 글을 이렇게 썼다고 실토하고 만다. 글쓴이의 주장과 달리 “목사와 교수 모두 본인의 도덕성과 상관없이 무작위 대상에 대한 도덕적 권위를 획득”하지 않으며, 다만 그들이 그러한 도덕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사회적 기대치가 있을 뿐이다. 그런 기대치는 정도만 다를 뿐 유치원 교사에게도 있고 신부에게도 있고 공무원에게도 있다. “비리가 터질 때마다 그들 모두 일부의 일탈이라고 변명”하고 집단에서 용인한다는 점은 글쓴이도 말하듯이 “검찰과 사법부의 비리”에도 공통된다. 이는 교수와 검사가 묶이는 것이 아니라 교수와 목사가 묶여야 하는 이유가 할 이유가 없었음을 글쓴이가 스스로 밝힌 것이다.
이 글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둘 다 나쁜 놈이니 둘 다 존경하지 말고 둘 다 욕하자는 것뿐이다. 글쓴이가 교수를 얼마나 싫어하는지 알겠으나 이런 식으로 욕하면 욕의 효과가 반감된다. 관련 없는 두 대상이 글 한 편에서 엉키니 글의 통일성이 떨어져서 글쓴이가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관련 없는 두 대상을 글 한 편에서 동시에 욕하는 것보다는 한 대상을 욕하는 글을 두 편 쓰는 것이 낫다. 물론, 그보다 더 나은 것은 그런 수준 낮은 글을 아예 쓰지 않는 것이다.
* 링크: [한겨레] 목사 다음 교수 / 김우재
( www.hani.co.kr/arti/opinion/column/870889.html )
(2018.12.0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