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5/14

[과학철학] Achinstein (2000), “Why Philosophical Theories of Evidence Are (and Ought To Be) Ignored” 요약 정리 (미완성)

[ Peter Achinstein (2000), “Why Philosophical Theories of Evidence Are (and Ought To Be) Ignored”, Philosophy of Science 67, Supplement, pp. S180-S192. ]

1. 증거에 대한 불일치 (Disagreements About Evidence)

2. 약한 증거 가정 (The Weakness Assumption)

3. 선험적 가정 (The A Priori Assumption)

4. 선험론자의 대응 (An A Priorist Response)

5. 결론 (Conclusion)

[p. S180]

- 과학자들이 객관적인 증거에 대한 표준 이론을 무시하고 무시해야 하는 두 이유

(1) 과학자들은 어떠한 가설을 믿어야 할 좋은 이유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이론은 너무 약한 증거 개념을 제시한다.

(2) 대체로 증거에 근거한 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경험적 탐구가 필요하지만, 표준 이론은 증거 관계를 선험적인 것으로 본다.

1. 증거에 대한 불일치 (Disagreements About Evidence)

[p. S180]

- 과학자들은 어떠한 사실이 특정한 가설이 참인지, 참이라면 얼마나 강한 증거인지에 대해 종종 의견이 불일치함.

- 애친슈타인이 염두에 둔 경우: 어떠한 사실이 관찰되었거나 어떠한 실험결과를 얻었다는 것을 과학자들이 인정하고, 문제가 되는 가설의 의미에 대해서도 의견이 일치하지만, 관찰된 사실이나 실험 결과가 가설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는지, 증거를 제공할 경우 그 증거가 어느 정도로 강한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3)

두 사례 – 첫 번째 사례

1883년 하인리히 헤르츠는 음극선(cathode ray)이 전기적으로 대전되는지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했다. 음극선에서 전류를 분리시킴.

음극(cathode)에서 양극(anode)으로 흐르는 전류

[p. S182]

과학철학자들이 증거 이론을 발전시키는 이유

(1) 증거 입증(confirming evidence)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밝히기 위해서

(2) 증거를 둘러싼 과학자들의 논쟁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p. S182]

하지만 과학자들은 증거에 대한 철학이론을 무시한다. 그 이유는?

철학자들이 증거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이지만 의심스러운 가정 때문이다.

[pp. S183-S184]

- 애친슈타인은 이러한 증거 개념이 너무 약하다고 함.

- 과학자들이 그들 이론에 대한 증거를 원하는 이유, 그리고 h에 대한 증거가 주는 것

: 증거는 h를 믿을 좋은 이유를 제공한다.

반드시 결정적인 것이나 가장 가능성 높은 것일 필요는 없고 좋은 것이면 됨.

예) 생체조직 절편검사(biopsy)가 환자의 종양이 악성이라는 증거를 구서한다면, 환자가 암에 걸렸다고 믿을 좋은 근거가 된다. 반대로 최근 며칠 간 배가 아프다고 의사를 찾아갔다는 사실은 그 사람이 암에 걸렸다는 증거가 되지 못한다.

예) 승강기에 타는 것을 승강기 사고를 당할 확률을 높이지만 사고를 당할 증거가 되지 못함.

2. 약한 증거 가정 (The Weakness Assumption)

3. 선험적 가정 (The A Priori Assumption)

[p. S187]

두 번째 가정은 증거 관계(evidential relation)는 선험적이라는 것이다. 즉, e가 h의 증거가 되는지, 그리고 어느 정도로 강한지가 선험적 추정(a priori calculation)에 의해 결정된다는 가정이다.

[p. S187]

철학 이론을 간단하게 언급하자면,

- 카르납: 증거에 대하여 확률을 높이는(increase-in-probability) 개념과 높은 확률 개념을 포괄한다. 하지만 확률 관계는 전적으로 선험적이다.

- 가설연역적 방법: e에 대한 h의 확률은 “언어 체계”(linguistic framework)의 법칙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h가 e를 함축하느냐 여부가 선험적이기 때문에, 증거에 대한 h-d 관점은 증거 관계를 선험적으로 만든다.

- 헴펠의 만족 기준과 글리모어의 구두띠 기준: e가 h에 대한 증거인지 선험적으로 추정하는 개념들을 산출한다.

선험적 가정이 문제가 되는 이유 [p. S187]

- 톰슨 사례에서 선험적 근거가 아닌 경험적 근거와 가정을 바탕으로 반박

- 북경 원인: 새로운 발견이라고 하는 경험적 근거

[p. S188]

모든 증거 진술이 경험적인 것은 아님. 충분한 정도, 적어도 옳은 종류의 정보는 e는 h에 대한 증거(e is evidence that h)라는 증거 진술로 되어있음.

예) 복권 1천장 중 샘이 950장을 가지고 있다면, 샘이 당첨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그것을 거짓으로 만드는 경험적인 사실은 없다.

[p. S188]

“e는 h에 대한 증거다”(e is evidence that h)라는 형태의 증거진술의 참이 e 이외의 경험적인 사실들에 의존한다면, 그 진술은 경험적으로 불완전하다(empirically incomplete).

이 글을 시작할 때 나왔던 두 사례는 경험적으로 불완전하다. 두 증거 주장은 이후의 경험적인 진술에 의해 거짓이 되었다.

미리 보는 결론

증거 주장이 선험적이지 않고 경험적이라면, e가 h에 대한 증거인지, 그리고 그 증거가 얼마나 강한지 판단하는 사람은 철학자가 아니라 과학자일 것이다. 이는 증거 주장들 사이에 불일치가 있을 때 과학자가 증거에 대한 철학이론에 의지하지 않는 이유이고 이유이어야 할 것이다.

4. 선험론자의 대응 (An A Priorist Response)

[p. S188]

- 카르납은 증거와 정당화 되는 믿음 사이에 중요한 관계가 있으며 그 관계는 “전체 증거의 요건(requirement of total evidence)”이라고 함.

e가 h의 근거이거나 h를 r 정도로 입증하고, e가 어떤 것의 (유관한) 전체적인 (유관한) 경험적 지식을 나타낸다면, e에 근거하여 h를 믿는 것이 정당화되거나, e에 근거하여 r 정도로 h를 믿는 것이 정당화된다.

카르납의 주장 [pp. S188-S189]

- e가 누군가 참이라고 알고 있는 경험적 명제들의 전체 집합이라면, 그 사람이 e에 근거하여 h를 r 정도로 믿는 것이 정당화되는지 여부는 선험적인 문제임.

- 어떤 사람이 h를 믿는 것이 정당화되는지 여부는 오직 그 사람이 참으로 알고 있는 것에 의존함.

- 선험적인 계산에 의해서, 어떠한 더 많은 경험적 명제(이전 지식에 포함되지 않는)를 믿는 것이 정당화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음.

[p. S189]

(1) 누군가 참으로 아는 모든 것을 모으거나, 유관한 모든 것을 모으는 것은 무리한 요구다.

(2) 내가 아는 것뿐만 아니라 누군가가 나의 위치일 때 알 수 있거나 알아야 하는 것도 알아야 한다.

예) 총소리가 났고 누군가 쓰러졌는데 쓰러진 사람에 상처가 없는 경우, 겁먹은 행인이라면 쓰러진 사람이 총에 맞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지만 탐정은 그렇지 않다.

[pp. S190-191]

- 이와 대조적으로, 과학자들이 원하는 증거는 어떤 것을 믿을 수 있는 좋은 근거이지 카르납식의 정당화가 아님.

- “좋은 근거”(good reason)라는 개념은 특정한 상황이나 개인에 의존하지 않고 객관적임.

예) 기압계의 변화는 날씨 변화를 믿는 좋은 근거이다. 누군가 복권 1000장 중에 950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 사람이 복권에 당첨될 것이라는 좋은 근거다.

- 헤르츠의 훈련, 지능, 능력은 그가 실험에서 얻은 결과에서 음극선이 전기적으로 중성이라고 믿을 좋은 근거를 제공하지 않는다. 헤르츠의 실험이 있은 지 14년 후에 톰슨이 시험을 할 때 14년 전 헤르츠의 상황을 고려하여 선험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경험적으로 음극선이 음성이라고 결정했다.

5. 결론 (Conclusion)

[p. S191]

- 과학자들이 객관적인 증거에 관한 전형적인 철학이론을 무시하고 또한 무시해야 하는 이유

(1) 너무 약한 증거 개념을 제공한다.

(2) 증거 관계를 전적으로 선험적인 것으로 만드는 개념을 제공한다.

- 하지만, 과학자들은 증거 진술이 참인지 여부를 선험적인 근거 뿐 아니라 경험적인 탐구를 통해 발견하려고 함.

- 어떤 사실들은 선험적인 계산(a priori calculation)으로 증명되지 않더라도 어떤 가설을 믿을 좋은 근거가 됨.

[pp. S191-S192]

증거 개념은 경험적이며 견고(robust)하다.

경험적인 이유

- e가 h에 대한 증거인지 여부에 대한 질문은 경험적인 질문이다.

견고한 이유 두 가지

- 약하지 않고 강하다.

- 특수한 인식적인 상황에 의존해야만 하는 개념보다 어떤 것을 믿을 좋은 이유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증거 개념이 경험적이고 견고하다면, 과학자들이 이 개념에 흥미를 가질 것이다.

(2018.05.2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KOCW] 경제학 - 파생상품론

■ 강의 영상+자료 ​ 파생금융상품론 / 이시영 (동국대, 2014년 1학기) ( www.kocw.net/home/cview.do?cid=dad6dbf28a4e66d0 ) ​ ​ ■ 강의 자료 ​ 파생상품론 / 윤평식 (충남대, 2011년 2학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