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5/31
[과학기술학] Perrow (1984), Ch 3 “Complexity, Couling, and Catastrophe” 요약 정리 (미완성)
2018/05/30
[강의계획서] 과학철학연구: 공약불가능성 및 관련된 문제들 (2015년 2학기, 조인래)
- 수업명: <과학철학연구: 공약불가능성 및 관련된 문제들>
- 2015년 2학기
-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 담당교수: 조인래
■ 개요
1960년대에 토머스 쿤(Thomas Kuhn)과 폴 파이어아벤트(Paul Feyerabend)가 제안한 공약불가능성 논제(Incommensurability Thesis), 즉 “경쟁 과학이론들은 공약불가능하다”는 주장은 현대 과학철학의 최대 쟁점 중 하나로 자리잡으면서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우리는 공약불가능성 논제의 실체와 주요 찬반 논변들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그것이 관련된 과학철학의 주요 사안들, 즉 이론 비교의 형태와 조건, 이론 선택의 합리성, 실재론, 상대주의 등에 대해 갖는 정확한 함의를 규명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각자의 입장을 모색하는 시도를 할 것이다.
■ 세부 주제
1. What is incommensurability?: Kuhn and Feyerabend
2. Taxonomic Incommensurability & Untranslatability
3. Comparability and its Conditions
4. Rationality & Relativism
5. Anti-Realism?
6. Incommensurability from cognitive points of view
■ 수업 일정
09/02 - 수업 개요
09/09
(1) Feyerabend, P. (1962), “Explanation, Reduction & Empiricism”, Minnesota Studies in Philosophy of Science III, pp. 28-97.
(2a) Feyerabend, P. (1975/1993), Against Method, 16장(164-208)
09/16
(2b) Oberheim, E. (2005), “On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Contemporary Notion of Incommensurability: P. Feyerabend’s Assault on Conceptual Conservativism”, Studies i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36: 363-390.
(3) Kuhn, T. (1962/2012), SSR, Ch. 9(pp. 91-109), 10(pp. 110-134), 12(pp. 144-159)
(4a) Kuhn, T. (1983), “Commensurability, comparability, Communicability”, in PSA 1982, Vol. 2, 669-688. 조인래(1997), 『쿤의 주제들』, pp. 225-255.
09/30
(4b) Hoyningen, P. (1993), Reconstructing Scientific Revolutions. Particularly, Ch. 6.3. pp. 206-222.
(5a) Sankey, H. (1993), “Kuhn’s Changing Concept of Incommensurability”,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44: 759-774.
(5b) Sankey, H. (1997), “Taxonomic Incommensurability”, in H. Sankey (1997), Rationality, Relativism and Incommensurability, pp. 66-80.
10/07 - 비평 발표 및 토론 (I)
10/14
(5c) Sankey, H. (1997), “In defence of untranslatability”, in H. Sankey (1997), pp. 83-109.
(6a) Sankey, H. (1994), The Incommensurability Thesis, Ch. 5 “Referential Discontinuity”, pp. 138-178.
10/21
(6b) Kuhn, T. (1990), “Dubbing and Redubbing”, in W. Savage (ed.) (1990), Scientific Theories, pp. 298-318.
(7) Bird (2000), Thomas Kuhn, “Incommensurability and Meaning”, 149-208.
10/28
(8) Carrier, M. (2001), “Changing Laws and Shifting Concepts: On the Nature and Impact of Incommensurability”, in P. Hoyningen-Huene and H. Sankey (ed.), Incommensurability rand Related Matters, Dordrecth: Kluwer, pp. 65-90.
(9a) Kuhn, T. (1983), “Rationality and Theory Choice”, Journal of Philosophy 80: 563-570.
(9b) Friedman, M. (2001), “Rationality, Revolution and the Community of Inquiry”, in M. Friedman (2001), Dynamics of Reason, pp. 47-68.
11/04 - 비평 발표 및 토론 (II)
11/18
• Oberheim, E and Hoyningen, P. (1997), “Incommensurability, Realism and Meta-Incommensurability”, Theoria 12(3): 447-465.
• Devitt, M. (2001), “Incommensurability and the priority of metaphysics”, in Hoyningen-Huene and H. Sankey (eds.), Incommensurability and Related Matters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143-157.
• Sankey (2009), “Scientific Realism and the semantic incommensurability thesis”,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40(2): 196-202.
11/25
• Barker, P., X. Chen, and H. Andersen (2003), “Kuhn on Concepts and Categorization,” in T. Nickles (ed.), Thomas Kuh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2-45.
• Bird, A. (2002), “Kuhn’s wrong turning”,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Part A 33(3): 443-463.
(2020.03.26.)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 지도교수와의 첫 만남 - 지도교수: “네 이론은 무엇인가?” - 김정운: “선생님 이론을 배우러 왔습니다.” - 지도교수: “남의 이론을 요약하는 것으로 학위 논문을 쓸 수 없다. 네가 제시하고 싶은 이론의 방향을 생각해서 다시 오라.” ...
-
김누리 교수는 <세바시>에서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요구하는 내용의 강연을 했다. 강연 서두에서 김누리 교수는 어떻게 아동 우울증이 가능하냐고 묻는다. 어떻게 아이 앞에 우울이라는 말이 붙을 수 있느냐, 이건 검은 백마 ...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철학과 대학원 수업에 들어갔다. 절반은 아는 사람이고 절반은 모르는 사람인데 내 옆에 앉은 모르는 사람이 나한테 말을 걸었다. 그 사람은 나를 <한국철학사> 수업에서 봤다고 했다. 내가 <한국철학사> 수업을 들은 건 2013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