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2/29

손혜원이 전율을 느낀 <민주소나무당>



<새정치민주연합>이 당 이름을 바꾼다고 한다. 새 당명 후보는 <희망민주당>, <더불어민주당>, <민주소나무당>, <새정치민주당>, <함께민주당>이었다. 손혜원은 이 다섯 후보 중 <민주소나무당>에 전율을 느꼈다고 한다. 귤이 회수를 건너니 탱자가 되는 것인가. 손혜원이 <민주소나무당>에 전율을 느꼈다는 사실에 나도 전율을 느꼈다. 캐나다에 <민주단풍나무당>, 호주에 <민주캥거루당>, 중국에 <민주팬더당> 같은 게 있다고 생각해보자.

새 당명은 <더불어민주당>이라고 한다. <I SEOUL YOU>의 정당버전 같다.

600년 전 정도전은 혼자서 사대문, 사소문, 온갖 동네 이름을 혼자 다 지었다. 공모해서 지은 이름이 왜 한 사람이 지은 이름보다 못할까.

* 링크: [중앙일보] 조동원, 당 복귀 첫 작품은 ‘개혁’ … 손혜원 “민주소나무당 이름에 전율”

( http://news.joins.com/article/19313411 )

(2015.12.29.)


2016/02/28

남녀 관계에서 나타나는, 원인과 결과를 혼동하는 오류

   

<간장 한 종지>로 유명해진, 조선일보 한현우 기자는 대학교 4학년 때 후배에게 고백했을 때의 상황을 이렇게 기록했다.


대학 4학년 때 학교 후배에게 고백했다. 나, 너 좋아한다. 그녀가 말했다. 알아, 형이 나 좋아하는 거. 아니, 그거 말고. 좋아하는 거 말고. 사랑한다고. 형 왜 그래? 이상해, 형이 그러니까.

그놈의 빌어먹을 형 소리. 아무리 1990년대였지만, 응답해야 마땅한 그 이상한 시대였지만 계집애가 사내놈한테 형이 뭐냐, 라고 말하진 않았다. 오빠도 좋아하기 힘든데 형을 좋아할 수 있겠냐, 하고 속으로 구시렁댔을 뿐이다.  

형이라서 좋아하기 힘든 게 아니라, 안 좋아하니까 형이라고 부른 것이다. 이러한 오류를 ‘원인과 결과를 혼동하는 오류’라고 부른다.

* 링크: [조선일보] 너무나 연애하고 싶어서 / 한현우

( 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25/2015122501582.html )

(2015.12.28.)

2016/02/27

[글쓰기] 글에 제목 붙이기 - 김대중・노무현 대통령

   

- 누구나 신문이나 잡지를 볼 때 제목부터 본다.
- 기사 보기 ‘30-3-30 법칙’
• 처음 30초 동안 제목과 부제와 사진을 본다.
• 읽기로 마음먹으면 3분 동안 기사 앞부분을 본다.
• 마음에 들면 30분 동안 끝까지 읽는다.
   
- 일반 글에 있어서도 멋진 제목이 절반 몫을 한다.
• 제목은 시선을 끌고 관심을 유발해야 한다.
- 관심이 가는 이유는 둘 중 하나다.
• 궁금하거나 동기부여를 하거나.
   
- 좋은 제목의 조건
• (1) 호기심을 자극해야 한다.
• (2) 길어도 상관없지만, 최대한 압축하는 게 좋다.
• (3) 글 내용과 동떨어지면 곤란하다.
• (4) 공감을 얻을 수 있다면 일탈도 나쁘지 않다.
• (5) 호소형, 청유형도 자주 쓰인다.
• (6) 유행을 따라가는 식상함을 피한다.
• (7) 독자로 하여금 생각하게 하면 좋다.
    
- 너무 분명하면 여지가 없다.
• 상상할 수 있는 여유가 있어야 한다.
• 약간은 모호하게 하는 것도 방법이다.
  
  
* 출처: 강원국, 『대통령의 글쓰기』 (메디치, 2014), 146-149쪽.
  
  
(2015.12.29.)
    

2016/02/26

[한국 가요] 김사월 (Kim Sawol)



김사월 - 젊은 여자

www.youtube.com/watch?v=MXv5eRVdvPE )



(2020.12.11.)


[언어철학] Putnam (1973), “Meaning and Reference” 요약 정리

     

[ Hilary Putnam (1973), “Meaning and Reference”, Journal of Philosophy 70, pp. 699-711. ]
  
  
  1. 의미는 머릿속에 있는가? (Are Meanings in the Head?)
  2. 사회언어 가설 (A Sociolinguistic Hypothesis)
  3. 지표성와 고정성 (Indexicality and Rigidity)
  
  
■ 의미 개념에 대한 전통적인 입장 [pp. 699-700]
- “의미” 개념에서 외연과 내포의 구분이 애매하다는 생각은 언어철학의 오래된 전통.
- 심리주의: 용어의 의미는 개념이며, 이는 의미가 심적 존재(entities)임을 함축함.
- 프레게는 “심리주의”에 반대함.
• 의미는 공적 속성이기 때문에, 심적 존재라기보다는 추상적 존재라는 것.
• 그러나 추상적 존재를 “파악”(grasping)하는 것은 여전히 개인의 심리적 행위.
• 어떠한 철학자도 말을 이해하는 일(그 내포를 아는 일)이 단지 특정한 심리적 상태에 있는 문제라는 것을 의심하지 않았음.
- 두 용어가 외연은 같고 내포는 다를 수 있지만 내포가 같고 외연이 다를 수는 없음.
• 예) “신장을 가진 생명체”와 “심장을 가진 생명체”
- 의미에 대한 검증주의 이론을 수용하는 카르납 등은, 용어에 대한 개념이 그 외연에 속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고 믿음.
  
■ 논문의 목표 [p. 700]
- 의미 이론의 가정
• 가정(1): 용어의 의미(내포)를 아는 것은 단지 특정한 심리적 상태에 관한 문제임
• 가정(2): 용어의 의미(내포)는 그 용어의 외연을 결정함.(내포가 같으면 외연이 다를 수 없음.)
- 퍼트남은 의미 관념을 포함한 어떤 개념도 두 가정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음을 논증하여 전통적인 의미 개념이 잘못된 이론에 의존함을 보이고자 함.
  
  
  1. 의미는 머릿속에 있는가? (Are Meanings in the Head?)
  
■ 사고실험(1): 쌍둥이 지구 [pp. 700-703]
- 가정: 한 가지만 빼고 지구와 모든 것이 똑같은 쌍둥이 지구가 있음.
• 쌍둥이 지구에서 “물”이라고 부르는 것의 분자식은 H₂O가 아니라 XYZ
• 정상적인 온도와 압력에서 XYZ는 물과 구분되지 않음.
- 사례(1): 쌍둥이 지구에 처음 방문한 사람
• 방문자는 쌍둥이 지구의 “물”을 보거나 듣거나 말할 때 지구의 “물”을 떠올릴 때와 같은 심리 상태일 것이며 두 지구의 “물”의 의미가 같다고 생각할 것.
• 그러나 그 ‘물’의 구성원소를 알게 된다면 두 지구의 사람들은 “쌍둥이 지구에서 단어 ‘물’은 XYZ를 의미”하고, “지구에서 단어 ‘물’은 H₂O를 의미한다”고 말할 것.
• 쌍둥이 지구에서 “물”이라 불리는 것은 명백히 물이 아님.
- 사례(2): 1750년으로 시간을 되돌려보자.
• 각 지구의 오스카₁과 오스카₂는 자기네 ‘물’의 구성원소를 모름.
• 두 사람은 “물”에 대해 같은 감정, 느낌, 생각을 가질 것.
• 그러나 1750년 지구에서 용어 ‘물’의 외연은 H₂O였고, 1750년 쌍둥이 지구에서 용어 ‘물’의 외연은 XYZ였음.
• 두 사람은 동일한 심적 상태에 있었지만, 그들은 ‘물’이라는 용어를 다르게 이해했음.
• ‘물’이라는 용어의 외연은 화자의 심적 상태의 함수가 아님.
- 왜 우리는 1750년과 1950년의 “물”의 외연이 같다고 받아들여야 하는가?
- 물에 대한 퍼트남의 “지시적 정의”(ostensive definition)는 경험적 전제를 따름.
• 내가 가리키고 있는 액체는 나와 같은 언어 공동체에 속한 사람이 “물”이라 부르는 대부분의 것과 동일성 관계를 가짐.
• 지시적 정의는 “파기가능한” 필요충분조건을 전달함.
• 물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그 컵 안의 물질과 동일성 관계를 가지는 것임.
• 그러나 이는 경험적 가정이 만족될 때만 필요충분조건임.
- 핵심은 동일성 관계가 이론적 관계라는 것.
• 어떤 것이 이것과 같은 액체인지는 결정하려면 과학적 탐구가 필요함
• 예) 1750년의 사람이 XYZ를 “물”이라 부르지만 100년이나 150년 뒤의 사람이 그것을 “물”이라고 부르지 않는 것은, 그 사이에 ‘물’의 “의미”가 바뀌어서가 아니라, 1750년의 사람이 XYZ와 물에 동일성 관계를 잘못 부여했을 뿐임.
   
■ 사고실험(2): 몰리브덴과 알루미늄 [p. 703]
- 가정: 전문가가 아니고는 몰리브덴과 알루미늄을 구분하지 못함.
• 지구에서 알루미늄으로 만드는 물건을 쌍둥이 지구에서는 몰리브덴으로 만듦. 쌍둥이 지구에서 몰리브덴을 ‘알루미늄’이라고 하고 알루미늄을 ‘몰리브덴’이라고 부름.
- 오스카₁과 오스카₂는 “알루미늄”이라는 말을 듣고 같은 심리적 상태에 있을 것.
• 그러나 오스카₁의 ‘알루미늄’의 외연은 알루미늄이고, 오스카₂의 ‘알루미늄’의 외연은 몰리브덴임.
• 화자의 심리적 상태는 외연을 결정하지 않음.
   
■ 일상의 예: 느릅나무와 너도밤나무 [p. 704]
- 나는 느릅나무(elm)와 너도밤나무(beech)를 구분할 능력이 없음.
• 나의 “느릅나무”의 외연과 다른 사람들의 “느릅나무”의 외연이 같고, 나의 “너도밤나무”의 외연과 다른 사람들의 “너도밤나무”의 외연이 같음.
• 즉, 나의 “느릅나무”와 “너도밤나무”는 외연이 다름.
- 가능한 의견: 내 개인어에서 ‘느릅나무’의 외연과 너도밤나무‘의 차이는 나의 심적 상태에 의해 설명됨.
- 퍼트남은 “쌍둥이 지구” 사례로 이를 반박할 수 있다고 함.
• 지구의 나와 쌍둥이 지구의 내 도플갱어가 똑같이 “느릅나무”를 말할 때 둘의 심리적 상태는 완전히 똑같을 것임.
• 그러나 내가 “느릅나무”라고 말할 때 나는 느릅나무를 의미하는 반면, 도플갱어가 “느릅나무”라고 할 때 그는 너도밤나무를 의미하는 것임.
• “의미”는 단지 머릿속에 있지 않음.
   
   
  2. 사회언어 가설 (A Sociolinguistic Hypothesis)
   
■ 사회언어 가설 [pp. 704-706]
- 누군가 “금”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려면 그 단어를 알아야 하지만, 어떤 것을 금으로 구별하는 방법을 모든 사람이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님.
- 모든 사람이 물이 H₂O라는 것은 알지만, 소수의 전문가만이 물과 물처럼 생긴 액체를 구분할 수 있음.
• 특정 단어를 쓰는 대다수의 화자가 모르더라도, 물에 대한 의미는 사회적인 것이 될 수도 있음.
- 언어적 분업의 보편성 가설
• 어떤 언어의 사용자 모두가 그 단어의 “기준”을 아는 것이 아니라 부분 집합의 사람들이 앎. 그들과 부분 집합의 구조적 협업에 의존함.
• 외연을 고정하는 것은 화자가 속한 언어 공동체의 사회-언어적 상태(sociolinguistic state).
   
   
  3. 지표성와 고정성 (Indexicality and Rigidity)
   
■ [p. 706]
- 1750년 지구/쌍둥이지구의 사례는 위의 언어적 노동 분업과 관련이 없음.
• 1750년에는 지구와 쌍둥이지구에 물에 관한 “전문가”가 없음.
• 이 사례는 지시체에 대한 이론과 필연적 참에 대한 이론과 관련됨.
   
■ [pp. 706-707]
- 가정: 가능세계 W₁에서 H₂O를 물이라고 하고 W₂에서 XYZ를 물이라고 함.
- 이 경우 ‘물’의 의미에 관한 두 이론이 존재함.
• 이론(1): ‘물’의 의미는 세계-상대적(world-relative)이지만 고정적(constant)임. ‘물’의 의미는 W₁과 W₂에서 모두 같음. W₁에서 물은 H₂O이고 W₂에서 물은 XYZ임.
• 이론(2): 물은 모든 세계에서 H₂O임. 그러나 ‘물’은 W₁과 W₂에서 같은 의미가 아님.
- 쌍둥이 지구에 관하여 앞서 말한 것이 맞다면 이론(2)가 맞는 이론.
• 내가 “이것은 물이다”라고 할 때 “이것”은 데 레 “이것”(de re “this”)임. 
- 두 이론의 “범위” 차이를 다음과 같이 기호화할 수 있음.
• 이론(1′): (For every world W) (for every x in W) (x는 물이다 ≡ x bears sameⳑ to the entity referred to as “this” in W) 
• 이론(2′): (For every world W) (for every x in W) (x는 물이다 ≡ x bears sameⳑ to the entity referred to as “this” in the actual world W₁)
   
■ [pp. 707-708]
- 크립키는 지시어가 지시하는 모든 가능세계에서 어떤 지시어가 같은 개체를 지시한다면 그 지시어(designator)가 “고정”(rigid)되었다고 함.
• 고정성 개념을 물질 명사로 확장한다면, 크립키와 퍼트남의 이론에서 ‘물’이라는 용어는 고정된다고 표현할 수 있음.
- 내가 “이 액체는 물이다”라고 할 때 나는 ‘물’을 H₂O로 사용함.
• 그 액체가 XYZ라는 것을 안다면, 나는 그 액체를 ‘물’이라고 하지 않았을 것.
- 이를 설명하기 위해, 퍼트남은 통-세계적 관계(cross-world relation) 개념을 도입함.
• 퍼트남은 이것이 필연적 참을 해명할 수 있다고 주장함.
• 이항 관계(two-term relation) R은 세계 간 관계라고 불리며, 이 관계의 외연이 각각 다른 가능세계의 개체의 쌍인 그러한 관계.
- 고정지시어 이론 및 세계 간 관계에 따르면 물이 무엇인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음.
• 임의의 가능세계의 존재자 x가 물이다 iff x는 우리가 현실세계에서 ‘물’이라고 부르는 것과 동일성 관계에 있음.
   
■ [pp. 708-710]
-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해보자.
• (i) 물이 H₂O임을 내가 모르는 경우: 물을 인식하는 성공적인 방법은 알지만 물의 미세구조는 알지 못하므로, 내가 물을 구분하는 방법은 물에 대한 정의를 제공하지 못함.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은 물에 대한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뿐임.
• (ii) 물이 H₂O임을 내가 아는 경우: 우리가 일단 물이 H₂O임을 알게 되면 물이 H₂O가 아닌 가능세계가 있다고 주장할 수 없기 때문에, 쌍둥이 지구에서 물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물이 아니라고 주장하게 될 것임.
- 물은 H₂O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물이 H₂O가 아니라는 것은 상상가능함(conceivable).
• 그러나 물이 H₂O가 아니라는 것은 불가능함.
• 상상가능성은 가능성을 증명하지 못함.
- 크립키의 구분
• 합리적으로 개정불가능한 진술을 인식적으로 필연적
• 모든 가능세계들에서 참인 진술은 필연적(또는 “형이상학적으로 필연적”)
- 어떤 진술은 (형이상학적으로) 필연적이면서 인식론적으로 우연적일 수 있음.
• 인간 직관은 형이상학적 필연성에 특권적 접근을 가지지 않음.
- “지금”, “이것”, “여기” 등의 단어는 지표적(indexical)이거나 토큰-재귀적(token-reflexive)
맥락이나 토큰에 따라 다른 외연을 가짐.
- 지표성(indexicality)은 “나”, “이것”과 같이 지표적인 단어뿐 아니라 “물”과 같은 (자연종) 단어로도 확장됨.
• “물”과 같은 단어도 안 보이는 지표적인 성분이 있음.
• “물”은 여기 주변의 물과 특정한 유사성 관계를 가진 어떤 것임.
• 다른 시간, 다른 장소, 또는 다른 가능 세계의 물이 물이기 위해서는 우리의 “물”과 sameⳑ 관계를 가져야 함.
- 따라서 (1) “내포”를 가지며(단어는 화자에 의해 단어와 관련된 개념 등을 가짐) (2) 내포가 외연을 결정한다는 의미 이론은, ‘나’와 같은 지표적 단어에서 참이 될 수 없는 것과 동일한 이유로 ‘물’과 같은 자연종 단어에서도 참이 아님.
- 자연종 단어가 고정지시어라는 크립키의 주장과 고정지시어가 지표적이라는 퍼트남의 주장은 같은 것을 지적하는 두 가지 방식임.
   
■ 결론 [pp. 710-711]
- 한 용어의 외연은 개인이 머릿속에 있는 개념에 의해 확정되지 않음.
- 그 외연은 한편으로는 사회적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실제 세계에 의해 결정됨.
- 의미 이론은 사회와 실제 세계의 역할을 탐구해야 함.
  
  
(2016.12.27.)
    

[외국 가요] 맥 드마르코 (Mac DeMarco)

Mac DeMarco - Heart To Heart ( www.youtube.com/watch?v=qBoQzo98EpQ ) ​ ​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