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09

[과학기술학] Latour (1987), Ch 6 “Centres of calculation” 요약 정리 (미완성)



[ Bruno Latour (1987), Science in Action: How to Follow Scientists and Engineers Through Society (Harvard University Press), pp. 215-257.

브뤼노 라투르, 「6장. 계산 센터들」, 『젊은 과학의 전선』, 황희숙 옮김 (아카넷, 2016), 421-506쪽. ]

프롤로그: 야만적인 정신의 순치

(Prologue: The domestication of the savage mind)

1. 원격 행위 (Action at a distance)

1.1. 축적의 사이클 (Cycles of accumulation)

1.2. 세계의 동원 (The mobilisatipn of the worlds)

1.3. 공간과 시간의 구성 (Constructing space and time)

2. 계산 센터들 (Centres of calculation)

2.1. 모든 동맹자를 단단히 묶기

(Tying all the allies firmly together)

2.2. 형식주의가 왜 문제인가?

(What’s the matter of (with) formalism?)

3. 도량형 (Metrologies)

3.1. 연결망을 더욱더 확장시키기

(Extending the networks still further)

3.2. 몇 가지 도량형의 사슬에 의해 묶이기

(Tied in by a few metrological chains)

3.3. 서류 뒤섞는 사람들 몇몇에 대해

(About a few other paper-shufflers)

프롤로그: 야만적인 정신의 순치

(Prologue: The domestication of the savage mind)

215, 421

1.1. 축적의 사이클 (Cycles of accumulation)

1.2. 세계의 동원 (The mobilisatipn of the worlds)

223-224, 436-437

1.3. 공간과 시간의 구성 (Constructing space and time)

228, 446-447

2. 계산 센터들 (Centres of calculation)

232-233, 454-455

2.1. 모든 동맹자를 단단히 묶기

(Tying all the allies firmly together)

456

2.2. 형식주의가 왜 문제인가?

(What’s the matter of (with) formalism?)

241, 472

3. 도량형 (Metrologies)

247, 484-485

3.1. 연결망을 더욱더 확장시키기

(Extending the networks still further)

247-248, 485-486

3.2. 몇 가지 도량형의 사슬에 의해 묶이기

(Tied in by a few metrological chains)

250-251, 492-493

3.3. 서류 뒤섞는 사람들 몇몇에 대해

(About a few other paper-shufflers)

(2024.02.25.)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