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15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오타의 기능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된 이진숙 교수가 지도학생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지도학생의 석사 논문에 있던 오타까지 그대로 이진숙 교수의 논문에 등장한다는 점이다. 석사학위논문에 있는 오타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산출물에 남기는 워터...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만화로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
-
[ 영어 판본 Oxford에서 출판한 Oxford World’s Classics 시리즈 중 하나인 『Anselm of Canterbury – The Major Works』 260~356쪽 한국어 판본 『인간이 되신 하나님』, 안셀무스 지음...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
-
서울대 수강편람 ( https://sugang.snu.ac.kr/ ) 연세대 수강편람 ( https://underwood1.yonsei.ac.kr/com/lgin/SsoCtr/initExtPageWork.do?link=handbList ) ...
-
고등학교 사회탐구 <윤리와 사상>에서는 헤겔 변증법도 가르친다. 놀라운 일이다. 나는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했지만 헤겔이 무슨 말을 했는지는 전혀 모르고, 다만 철학 전공자들을 괴롭혀온 나쁜 놈이라고만 알고 있다. 대학원도 철학과로 왔지만...
-
내가 지금까지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것은 모두 세 번이지만, 학술대회 자료집에 원고를 실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사실, 마감기한을 약간 넘겨서 제출했다) 인공지능을 사용하니 작업 시간이 크게 줄었다. 다루는 내용 중에 모형에서 변수에 개입하는 것과...
-
고양이가 없으니, 참새도 마당에 와서 놀다 간다. 사랑방 문 앞에 고양이를 위한 물그릇과 밥그릇을 두는데, 고양이가 상주하는 것이 아니라 밤에 잠깐 들르는 것이라서, 낮에는 참새들이 그 근처에 와서 앉는다. 어떤 참새가 물그릇에 앉아 물을 마신 뒤...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 김동원 (1994), 「과학사학계의 최근 동향」, 『서양사론』 42권, 229-248쪽. ] 1. 내적 접근법과 외적 접근법 2. 사회학적 방법의 도입 3. 전체에서 부분으로의 이동 4. 미래에 대한 전망 ■ 논문의 목적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