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03

[과학기술학] 홍성욱 (2016), 1장 “인간과 비인간” 요약 정리

     

[ 홍성욱, 「1장 인간과 비인간」,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동아시아, 2016). ]

  

  

  1. 테크노사이언스에게 실험실을 달라

  2. 고속도로, 과속방지턱, 안전벨트, 경로석

  3. 까칠한 비인간 행위자들

  4. 인간과 기계의 차이 

  5. 로봇 과학자는 불가능한가 

  6. 사냥꾼과 학자 

  

  

  1. 테크노사이언스에게 실험실을 달라


■ [24-27쪽]

- 과학자들은 실험실에서 자연을 비틀어서 정상 상태의 자연에서 볼 수 없는 현상을 만듦.

• 예) 유리구로 무지개를 만든 중세 과학자 로버트 그로스테스트, 경사면을 이용해 자유낙하가 가속운동임을 보인 갈릴레이, 연금사들의 부엌

- 기존의 도구를 쓰는 것이 아니라 도구를 새로 만드는 경우

• 예) 마이컬슨의 간섭계 제작


■ [28-29쪽]

- 실험실에서 일어나는 일은 과학자(인간 행위자)가 도구(비-인간 행위자)를 조작・통제하고 길들이는 일

- 인간과 비-인간이 힘겨루기를 하다가 어느 지점에서 타협하여 인간과 비-인간의 새로운 네트워크가 생기는 것

- 과학자들의 논문도 사회 속으로 들어가서 사회를 ‘실험실화’함


■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의 네 가지 이점 [30-38쪽]

- 이점(1): 과학과 기술의 엄격한 구분이 사라짐

• 기술의 발전이 과학의 진보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음.

• 예) 증기 기관의 등장으로 열역학이 발전

• 예) 천문학

- 이점(2): 이동성 

• 테크노사이언스 네트워크는 고정된 연결망이 아니라 움직임의 궤적

•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것은 움직임을 확장하는 것

• 표준의 역할: 움직이기 어려운 것을 움직이게 함.

• 예) 논문 - 사람의 지식, 표본 - 자연

- 이점(3): 과학자에 대한 완전히 다른 이미지를 가짐.

• 과학자는 네트워크의 설계자이자 건축가

• 과학자들의 동맹은 정치인, 기업가, 투자자, 관료, 군인까지 포함함.

- 이점(4): 과학 정책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비전 세 가지

• 기초 과학과 기술의 상보적인 네트워크를 만들고 이를 매개하는 과학 기기 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임.

• 여러 가지 표준을 선점하거나 표준 제정 기구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함.

• 성공적인 과학은 실험실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험실 외부로 확장하는 것을 포함함.

  

  

  2. 고속도로, 과속방지턱, 안전벨트, 경로석


■ 건축가 로버트 모지스 [42-43쪽]

- 20세기 전반기에 뉴욕 시의 구조를 기획하고 설계함

- 인종차별적인 생각

- 전쟁 용사를 위한 주택을 건설하면서 흑인 병사들이 살지 못하도록 설계함

- 흑인들은 버스 타고 백인들은 승용차를 탄다는 것을 이용하여, 존스 비치 공원에 가는 고속도로에 구름다리를 낮게 만듦


■ 물리학자 아서 콤프턴 [43-44쪽]

- 2차 대전 후 워싱턴대학교 총장

- 학교 내 안전을 위해 과속 방지턱 설치

- 운전자들은 학생들의 안전을 생각해서 줄이는 것이 아니라 자기 차의 서스펜션이 고장날까봐 속도를 줄임


■ 도덕적인 관점을 사람들에게 부여하는 기술 [45-46쪽]

- 아이용 카시트

- 버스나 지하철에 있는 교통약자석


■ 기존의 인문학이나 사회과학이 간과한 점 [46-47쪽]

-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 인문학자들은 자연에서의 인간 본성을 성찰하지만 자연에서 도구를 다루며 산 것은 주목하지 않음

- 루소의 『인간 불평등 기원론』: 사회과학자들은 사유재산의 기원에 기술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음

- 기술 같은 비-인간 존재들은 인간과 결합하여 일종의 ‘잡종적 존재’를 만들고 우리에게 새로운 가능성과 제약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행위자(actor)’임.

- 테크노 사이언스: 새로운 비-인간들을 만들어내고 이해하고 길들여서 새로운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



  3. 까칠한 비인간 행위자들


■ 예측을 벗어나는 비-인간의 사례(1) [52-55쪽]

- 하버드대 의대 교수 폴 자멕닉이 암 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단백질을 합성함

• 합성한 단백질이 미량이라서 방사능동위원소 ¹⁴C를 포함한 아미소산으로 실험함

• ¹⁴C를 포함한 아미노산에서도 RNA가 검출됨.

• 이는 전혀 예상치 못한 현상(당시는 RNA가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는 증거가 발견되기 전)

• 암 세포를 이해하려고 단백질을 연구하다 새로운 RNA 발견

- 자메닉의 단백질 합성 실험 기법이 다른 과학자들에게 알려짐

- 마셜 니런버그와 그의 포닥 하인리히 마태이는 특정한 단백질을 합성하고자 함.

•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RNA가 관여하는 단백질 합성이 주형특이적임을 보이기 위해 합성RNA를 제어자로 사용함

• 이 과정에서 합성RNA인 폴리우리딜산이 폴리페닐알라닌 아미노산을 합성한다는 사실을 발견

• 유전 암호를 해독함. 1968년 노벨상 수상

 

■ 예측을 벗어나는 비-인간의 사례(2) [56-63쪽]

- 존스 비치 공원도로 위의 구름다리: 몇 십 년 뒤 컨테이너 차량들이 도로를 통과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

- 과속방지턱: 자전거 운전자와 스포츠카 운전자에게 피해. 앰뷸런스 운행에 지장을 줌

- 헬멧: 오스트레일리아에서 1990년대 초에 자전거 운전자의 헬멧 착용을 법률로 강제하자 젊은이들의 자전거 타는 비율이 줄어들어 사망률이 감소

• 젊은이들은 헬멧 쓰고 자전거 타는 것을 멋지지 않다고 여김.

- 권투・미식축구: 안전장치를 착용하여 심판과 선수들이 위험을 덜 감지하게 됨.

• 안전장치를 하지 않는 다른 운동보다 부상자나 사망자가 더 많이 발생함. 

- 안전벨트: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운전자가 자신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게 되어 사망자 수가 감소하지 않음


■ [63쪽]

- 인간은 항상 비-인간과 쌍을 이루어서 존재함.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기술은 새로운 네트워크를 만들기 때문에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지만 동시에 다른 문제를 낳음.

- 과학기술학의 역할 중 하나는 비-인간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 궤적을 살피는 것.



  4. 인간과 기계의 차이

 

■ [65-67쪽]

- 인간은 다른 인간들과 관계를 맺고, 이러한 관계는 비-인간들에 의해서 새롭게 탄생하고 증폭되고 변형되고 비틀어지기 때문에 인간을 생물학적인 존재로만 생각하기 어려움.

- 인간-비인간 네트워크에 의해 자유의지가 제약 받음.

• 예) 과속 방지턱, CCTV

- 인간을 만들고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함.

• 예) 임신 초기 초음파 검사, 수면분만, 유도분만, 장난감, 약국, 전기 등


■ 과학에서의 암묵지 [71-74쪽]

- 암묵지와 형식지의 구분

- 마이클 폴라니가 최초로 암묵지(tacit knowledge)를 제시함

• 예) 수영하는 법, 자전거 타는 법

- 실험에도 암묵지가 개입하므로 실현이 재현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예) 19세기 영국 엔지니어 헨리 베서머의 강철 제조법

- 암묵지가 개입할 여지가 없을 정도로 분명한 경우에도 ‘접촉’이 중요한 역할을 함

• 예(1): 실험 - 중력파를 측정하기 위한 간섭계. 러시아 물리학자와 유럽 물리학자

• 예(2): 이론 - 파인먼 다이어그램


■ 과학 정책과 암묵지 [76-78쪽]

- 핵무기 설계의 95퍼센트는 컴퓨터를 이용한 코딩, 나머지 5퍼센트는 경험적인 숙련에 의존하는 것

- 핵무기 디자이너들의 줄어들어 핵무기가 사라질 수 있다는 희망도

- 생물학 무기에도 암묵지에 대한 고려


■ 기계는 암묵지를 가질 수 있는가? [79-82쪽]

- 어떤 암묵지는 기계로도 구현된다.

• 예) 자전거 타는 로봇, 빵 만드는 로봇

-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때그때 달라지는 여러 요소들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암묵지는 기계에 구현하거나 정보로 바꾸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 예) 복잡한 도로에서 자동차와 행인 사이를 질주하면서 자전거를 타는 로봇

- 무인 자동차의 가장 큰 문제는 자동-수동의 변환

- 인간은 인간-기계 복합체로 존재할 때만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있음.



  5. 로봇 과학자는 불가능한가

 

■ [91-94쪽]

- 예술가와 마찬가지로, 과학자의 창의성에는 ‘상호작용’이 필수적임. 이러한 상호작용은 인간들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비-인간들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함.

• 예) 뉴턴과 훅의 서신 교환, 아인슈타인

• 예) 실험실의 협동 연구

- 실험 결과는 생각처럼 나오지 않는데 이런 경우 실험이 잘못 설계되었는지 가설이 틀렸는지 잘 모름.

- 실험을 반복하고 조건을 바꾸고 논문을 읽고 실험실 구성원이나 지도교수와 토론하는 과정을 반복함.

- 초고가 나와도 과학자 공동체를 효과적으로 설득하는 것도 문제

- 이러한 작업은 인공지능이 대신할 수 없음.


■ [94-96쪽]

- 인공 지능이 금융 전문가나 법률가를 대체할 수 없음.

- 금융 전문가는 금융 상품을 만들고 시장을 만들고 은행과 투자 회사를 설득하는 일을 함.

• 큰 거래는 사람 사이에서 이루어지므로 금융 전문가는 사람들을 설득하는 역할을 함.

- 판사나 배심원들이 법정에 들어올 때 개략적인 생각만 가지며, 그러한 생각은 변호인과 검사가 제시하는 주장과 증거에 의해 바뀜.

• 판결은 알고리즘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나타나는 여러 상호작용을 통해 서서히 만들어짐.

- 인간 행위자들의 창의성은 오랜 기간 동안의 상호작용 속에서 잉태됨.

- 창의적 업적은 사회적 관계와 상호작용 속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창의성은 인공지능의 영역이 될 수 없음.



  6. 사냥꾼과 학자


■ 과학에서 주변인의 역할 [98-109쪽]

- 과학에서의 혁신은 주변에서 일어난 경우가 많음.

• 예(1): 19세기 초 빛의 파동이론을 제창한 오귀스탱 프레넬은 파리가 아닌 지방에서 활동하던 무명 과학자

• 예(2): 19세기 빌헬름 분트는 생리학에서 심리학으로 진입하여 실험 심리학을 도입함

• 예(3): 데이비드 봄

• 예(4): 아인슈타인


■ 데이비드 봄의 예 [100-104쪽]

- 봄은 파시즘에 반대하여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공부하고 캘리포니아 공산당이 조직한 과학기술자 조합에서 정치적 활동도 함

- 냉전 시기 프린스턴대학교에서 해직 당함(1951년)

- 아인슈타인과 오펜하이머의 도움으로 브라질 상파울로 대학교 교수가 됨

- 봄은 미국에 있을 때 전통적인 코펜하겐 해석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1952년 논문에서 정통 해석을 대체할 완전히 다른 해석을 제시함

- 슈뢰딩거는 파동 함수를 이용하여 양자 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파동 방정식을 제안. 파동 함수에는 허수 i가 존재해서 파동 함수가 물리적으로 무엇을 나타내는지 해결하지 못함

- 보어와 하이젠베르크가 중심이 된 코펜하겐 학파는 입자의 궤적이 확률적으로만 존재하고 슈뢰딩거 파동 함수 제곱의 절대값이 이 확률 분포를 나타낸다고 봄. 입자가 측정되기 전까지는 확률적으로 존재하지만, 측정하는 순간에 파동 함수가 붕괴되고 한 지점에서 발견된다는 입장.

- 봄은 젊어서 믿었던 맑스주의 유물론이 코펜하겐 해석과 모순을 일으킨다는 점을 직시. 파동 함수가 빛의 속도를 넘는 향도파(pilot wave)이고 향도파가 물질인 입자를 이끈다고 함. 코펜하겐 해석이 제시하는 상식을 벗어나는 주장들을 가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입장.


■ 경계물의 예: 버클리대학교 척추동물박물관 [110-113쪽]

- 19세기 후반 캘리포니아의 생물학자들은 진화론적인 생태학을 연구해야 하는 필요

- 애니 알렉산더가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부의 일부를 캘리포니아의 자연을 보존하는 작업에 쓰기로 하고 버클리대학교 생태학자 조지프 그리넬을 만남

- 알렉산더는 버클리대학교 척주동물박물관을 설립할 돈을 기부함

- 그리넬의 목표는 생물학 연구. 이를 위해서 박물관의 유지와 확장이 중요함

- 알렉산더의 목표는 자연 보존

- 대학 관계자들의 관심사는 버클리대학교의 발전

- 수렵 사냥꾼이나 채집자들은 그리넬이 자신들의 일을 방해할까봐 연구를 탐탁지 않아함. 

- 그리넬은 여러 사람들을 끌어안기 위해 다양한 집단이 공유하는 비-인간을 활용함

• 예(1): 표본 - 사냥꾼과 채집자들은 연구 확장에 도움이 되는 존재가 됨

• 예(2): 캘리포니아 주 – 대학의 보직 교수들은 주에서 학교의 위상을 올리는 데 민감했고 채집가들에게 주의 자연을 보호한다는 자부심을 심어줌


■ 경계물의 역할 [113쪽]

- 여러 집단의 경계에 존재하는 경계물은 여러 이해관계를 매개하여 작은 네트워크를 만들어 하나의 목적에 일관성 있게 기여하도록 해주는 비-인간

- 사람들 사이에 경계물이 놓여 차이가 유지되면서 소통 가능한 상태가 됨. 사회 갈등 완화에 유용함.

  

  

(2020.12.05.)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