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15

[과학사] Westman (1980), “The Astronomer’s Role in the Sixteenth Century: A Preliminary Study” 요약 정리 (미완성)



[ R. S. Westman (1980), “The Astronomer’s Role in the Sixteenth Century: A Preliminary Study”, History of Science, 18(2): 105-147. ]

1. Disciplinary Communities and Rol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2. The Astronomer’s Role According to Osiander and Copernicus

3. The Astronomer in the University

4. The Emergent of a New Astronomical Role: The Court Astronomer

5. The Academic Reformers: Ramus, Savile, and Clavious

6. Conclusion

웨스트만은 <De Revolutionibus>의 출판 이후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에 대한 반응이 당시의 각종 기관에서 천문학자들의 사회적 역할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함.

오시앤더와 코페르니쿠스의 천문학자의 역할에 대한 다른 입장을 소개한다.

오시안더: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하고 계산만 하면 되고 물질계의 동인이나 천체의 모형의 선택은 독자들에게 있다.

코페르니쿠스: 천문학자에게도 물질계에 대한 새로운 주장을 할 권리가 있다. 자연철학자와 천문학자의 역할을 융합

대학의 천문학자-수학자들이 수학이나 천문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법학, 신학, 의학 중 하나의 분과로 가서 추가적인 연구를 해야만 했음.

사실상 천문학과 수학이 좋은 입지를 차지하지 못했음.

티코 브라헤를 비롯한 궁정 천문학자들도 천체에 대한 모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코페르니쿠스와 비슷한 입장.

차이점: 티코 브라헤는 대학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연구를 진행함.

웨스터만은 티코 브라헤의 이러한 시도가 천문학자들의 역할을 바꾸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함.

대학 밖에서의 이러한 시도에 발맞추어 대학 내에서도 수학 천문학자들의 위치나 역할을 재구성하려 한 움직임.

더 나아가서 수학을 모르기 때문에 자연철학자들이 오류를 범한다는 주장이 등장하면서 대학에서도 수학과 천문학의 위상이 높아짐.

수학자 및 천문학자들의 역할은 단순히 관측과 계산만을 하는 것에서 물질계의 동인이나 원리에 대한 이야기까지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변화했다는 것.

(2022.11.17.)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