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07

[과학철학] Feyerabend (2010), “Introduction” in Against Method 요약 정리

     

[ Paul Feyerabend (2010), “Introduction”, Against Method, 4th edition (Verso), pp. 1-5.
  Paul Feyerabend (1975), Against Method, 1st edition (New Left Books).
  파울 파이어아벤트, 「서론」, 『방법에 반대한다』 (그린비, 2019), 53-60쪽. ]
  
  
[pp. 1-2, 53-54쪽]
- ‘무정부주의’(anarchism)가 인식론과 과학철학에 매우 훌륭한 처방이라고 확신함.
- 역사, 특히 혁명의 역사는 방법론자들이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내용이 풍부하고 변화무쌍하며 다면적이며 이해하기 힘든 것.
• 우발적인 사건과 중대한 국면, 사건들의 진기한 연결
• 인간적 사상은 변화무쌍함.
• 인간들의 행위나 결단은 모두 그 궁극적인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성격을 지님.
- 방법론자들의 소박하고 단순한 규칙들이 ‘상호작용의 미궁’을 설명할 수 있는가?
- 파이어아벤트는 가차 없는 편의주의자만이 이러한 역사를 설명할 수 있다고 함.
• 편의주의자(opportunist)는 특정한 철학에 속하지 않고 그때그때 적합해 보이는 방편은 어느 것이라고 채택하는 사람
  
3, 56-57
- 과학사는 어떠한 사실들이나 사실에서 도출한 결론만으로 성립하지 않으며, 여러 관념들, 사실들에 대한 해석들, 대립하는 해석들이 일으키는 문제들, 실수 등을 포함함.
- 과학에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들’(bare facts)이 존재하지 않음.
- 우리의 지식으로 들어오는 ‘사실들’은 이미 어떤 일정한 방식에 따라 선택된 것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관념적임.
- 오늘날의 과학 교육의 목적은 과학을 ‘객관적’인 것으로, 또한 엄격하고 불변하는 규칙으로 쉽게 다룰 수 있도록 만드는 것.
- 과학 교육은 과학에 포함되는 요소를 단순화하여 과학을 단순화함.
- 1단계: 연구 영역이 제한됨.
• 과학의 영역은 역사의 다른 부분(형이상학이나 신학 등)과 분리됨.
• 과학은 그 자체의 ‘논리’를 가짐.
- 2단계: 이러한 ‘논리’에 대한 철저한 훈련은 그 영역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을 조건화함.
• 한 개인의 개인적인 성향은 그의 과학 활동과 연관성을 가져서는 안 되므로 그의 상상력은 억압되고 그의 언어도 그 자신의 것이 되지 못함.
• 이것은 과학적 ‘사실들’의 본성에 반영되어 ‘사실들’은 의견, 신념, 문화적 배경에서 독립적인 것으로 경험됨.
   
3-4, 57-58
- 엄격한 규칙들에 묶인 전통을 창조하는 일이 가능하게 됨.
- 과학은 지식을 다루는 독자적인 권리를 가지며, 이러한 전통에서 과학과는 다른 방법으로 얻은 결과를 배제하게 됨.
- 파이어아벤트는 이를 반대함.
- 이유(1): 우리가 탐구하는 세계는 대부분 미지의 존재(unknown entity)라는 점
• 따라서 우리는 선택지를 열어두고 우리 자신을 미리 제약해서는 안 됨.
- 이유(2): 과학교육이 인도주의적(humanitarian) 태도와 조화될 수 없다는 점
• 개인을 잘 계발하게 하는 유일한 길은 개성을 기르는 것인데 과학교육은 이것과 상충됨.
- 그래서 파이어아벤트는 무정부주의적 방법론과 이것을 따르는 무정부주의적 과학의 윤곽을 그리는 것부터 시작하기로 함.
  
  
(2020.11.15.)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감상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을 보면서 정말 천운이라는 것이 있는 것인가 싶었다. 주요 대선 주자들은 죄다 자기 발에 자기가 걸려 알아서 자빠졌지, 올망졸망한 잠재적 경쟁자들은 크지 않지, 무언가 안 좋은 것에 많이 얽혀 있는 것은 분명한데 이리저리 잘 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