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31
2016/10/30
[행동경제학] Thaler and Sunstein (2021), “Introduction” 요약 정리 (미완성)
[ Richard Thaler and Cass R. Sunstein (2021), Nudge: The Final Edition (Penguin Books).
리처드 탈러, 캐스 선스타인, 「초판 인트로 - 넛지가 당신의 모든 행동을 결정한다」, 『넛지: 파이널 에디션』, 이경식 옮김, 최정규 감수 (리더스북, 2022). ]
34
자유지상주의적 후견주의는 후견주의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약하며 비-강제적
37-38
편향되지 않은 예측을 해야 함.
예측은 얼마든지 틀릴 수 있더라도, 빗나가는 예측이 예측가능할 정도로 일정한 편향을 보이면 안 된다는 것
계획 오류(planning fallcay): 어떤 일을 마치는 데 드는 시간을 지나치게 낙관하는 편향
계획 오류라는 개념을 알고 있어도 예상보다 일이 오래 걸리게 됨.
38-
특정 선택지를 기본값으로 선택하는 설정이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침
옵트인(opt-in)을 옵트아웃(opt-out)으로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응답률을 25% 이상 높일 수 있음.
40-41
선택의 자유를 옹호하는 사람 중 상당수는 후견주의라면 무조건 반대함.
모든 시람이 어떤 것이든 스스로 선택하도록 정부가 내버려두어야 한다는 것
‘선택지를 최대한 늘릴 것!’이라는 회의적 태도에는 한 가지 잘못된 가정과 두 가지 오해가 있음.
41-45
- 잘못된 가정: 거의 모든 사람은 거의 대부분의 시간에 자신에게 가장 큰 이익을 주는 선택을 함.
- 오해(1):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할 때 외부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음.
- 오해(2): 후견주의에는 언제나 강제성이 동반됨.
(2023.05.30.)
2016/10/29
2016/10/27
전공 선택의 중요성
어떤 일을 대강 상상하는 것과 실제 해보는 것은 다르다. 실제로 해보면 대강 상상했을 때 고려하지 않았던 요소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역사 전공자 중에는 옛날 사람들이 했던 작업을 실제로 하는 사람들도 있다.
조선사 전공자 중에는 궁중 음식을 재현한 사람도 있다. 문헌을 토대로 하여 당시 궁중 음식 조리법대로 음식을 만든다. 조선 후기 음식은 오늘날 한국인의 입맛에 비교적 가까운데 조선 전기로 갈수록 음식 맛이 이상해서 도대체 무슨 맛으로 이런 음식을 먹었나 싶을 정도라고 한다.
조선사 전공이면 괜찮은 편이다. 선사시대 전공자 중에는 신석기 시대 당시의 배를 재현한 사람도 있다고 한다. 신석기 시대에는 나무 조각을 이어서 배를 만든 것이 아니라 통나무 안쪽을 파내어서 배를 만들었다. 이걸 재현한다는 것이다.
신석기 시대에는 간석기를 사용했다. 그러니 간석기부터 만들어야 한다. 돌멩이를 주워 와서 갈기 시작한다. 그렇게 간석기를 만들면 지도교수가 어디서 통나무를 가져온다. 대학원생들은 간석기를 가지고 통나무를 까기 시작한다. 하루에 여덟 시간씩 통나무를 까면 배 만드는 데 한 달 이상 걸린다고 한다.
그런데 신석기 시대에는 불을 사용했다. 교수는 가설을 바꾼다. “불을 사용하면 배를 만드는 시간이 줄어들지 않을까?” 교수는 어디서 또 통나무를 가져온다. 대학원생들은 간석기로 또 통나무를 깐다. 통나무를 깠을 때 나오는 톱밥에 불을 붙이고 통나무를 안쪽부터 태워가며 간석기로 깐다. 이러면 2주 정도 걸린다고 한다.
여기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전공을 잘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수가 아무리 인격자여도 전공을 잘못 선택하면 대학원생은 개고생 할 수밖에 없다.
(2016.08.27.)
2016/10/26
“그러니까 일단 아무하고나 사귀어 봐요”
내가 나이 서른둘 먹고도 궁상맞게 사는 게 보기 딱했는지, 나를 아끼는 몇몇 사람들이 술자리에서 나를 걱정하다 화를 못 참고 나한테 이렇게 소리쳤다. “아, 그러니까 그렇게 좀 살지 말고 일단 아무하고나 사귀어 봐요!”
나는 그들이 어떤 마음으로 알기 때문에 좋게 잘 이야기했다. “내가 아무리 곤궁하게 살지만 그렇다고 하여 마음에도 없는 여자랑 막 사귀면 되겠느냐”라고 답했다.
그런데 나한테 그렇게 말한 사람들은 모두 여자였다.
(2016.08.26.)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
-
대학원에는 학위를 받으면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주변 사람에게 주는 풍습이 있다. 예전과 달리 오늘날에는 논문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공개되지만 여전히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나누어주는 풍습이 남아있다. 어떤 행동 유형이 관례로 자리 잡으면 그 자체로 관성을...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되면 이러한 악순환을 끊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나는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면 정치보복의 악순환을 끊을 것이라고 믿는다. 정치보복의 악순환이라는 것은 정치보복을 당한 세력 중 일...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북아일랜드 - 헌책방 통합검색 ( www.bookisland.co.kr ) 노란북 (중고 책 가격비교) ( www.noranbook.net ) 북코아 ( www.bookoa.com ) ...
-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
-
김어준이 음모론자치고 생명이 긴 데는 다 이유가 있다. 우선, 누구나 인정하는 비교적 확실한 사실을 밑에 깔아놓고, 뭔가 의심스럽지만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이야기를 제보받았다고 하고, 이야기의 빈틈을 나름대로의 추측으로 살을 채워놓고, 이것을 일종...
-
학회에서 발표를 한다든지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때는 이름과 함께 소속도 명시하게 되어 있다. 대체로, 학생은 다니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하고, 강사나 교수는 일하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한다. 강사들이 학회 때마다 소속이 계속 바뀌기도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