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31
2016/10/30
[행동경제학] Thaler and Sunstein (2021), “Introduction” 요약 정리 (미완성)
[ Richard Thaler and Cass R. Sunstein (2021), Nudge: The Final Edition (Penguin Books).
리처드 탈러, 캐스 선스타인, 「초판 인트로 - 넛지가 당신의 모든 행동을 결정한다」, 『넛지: 파이널 에디션』, 이경식 옮김, 최정규 감수 (리더스북, 2022). ]
34
자유지상주의적 후견주의는 후견주의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약하며 비-강제적
37-38
편향되지 않은 예측을 해야 함.
예측은 얼마든지 틀릴 수 있더라도, 빗나가는 예측이 예측가능할 정도로 일정한 편향을 보이면 안 된다는 것
계획 오류(planning fallcay): 어떤 일을 마치는 데 드는 시간을 지나치게 낙관하는 편향
계획 오류라는 개념을 알고 있어도 예상보다 일이 오래 걸리게 됨.
38-
특정 선택지를 기본값으로 선택하는 설정이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침
옵트인(opt-in)을 옵트아웃(opt-out)으로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응답률을 25% 이상 높일 수 있음.
40-41
선택의 자유를 옹호하는 사람 중 상당수는 후견주의라면 무조건 반대함.
모든 시람이 어떤 것이든 스스로 선택하도록 정부가 내버려두어야 한다는 것
‘선택지를 최대한 늘릴 것!’이라는 회의적 태도에는 한 가지 잘못된 가정과 두 가지 오해가 있음.
41-45
- 잘못된 가정: 거의 모든 사람은 거의 대부분의 시간에 자신에게 가장 큰 이익을 주는 선택을 함.
- 오해(1):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할 때 외부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음.
- 오해(2): 후견주의에는 언제나 강제성이 동반됨.
(2023.05.30.)
2016/10/29
2016/10/27
전공 선택의 중요성
어떤 일을 대강 상상하는 것과 실제 해보는 것은 다르다. 실제로 해보면 대강 상상했을 때 고려하지 않았던 요소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역사 전공자 중에는 옛날 사람들이 했던 작업을 실제로 하는 사람들도 있다.
조선사 전공자 중에는 궁중 음식을 재현한 사람도 있다. 문헌을 토대로 하여 당시 궁중 음식 조리법대로 음식을 만든다. 조선 후기 음식은 오늘날 한국인의 입맛에 비교적 가까운데 조선 전기로 갈수록 음식 맛이 이상해서 도대체 무슨 맛으로 이런 음식을 먹었나 싶을 정도라고 한다.
조선사 전공이면 괜찮은 편이다. 선사시대 전공자 중에는 신석기 시대 당시의 배를 재현한 사람도 있다고 한다. 신석기 시대에는 나무 조각을 이어서 배를 만든 것이 아니라 통나무 안쪽을 파내어서 배를 만들었다. 이걸 재현한다는 것이다.
신석기 시대에는 간석기를 사용했다. 그러니 간석기부터 만들어야 한다. 돌멩이를 주워 와서 갈기 시작한다. 그렇게 간석기를 만들면 지도교수가 어디서 통나무를 가져온다. 대학원생들은 간석기를 가지고 통나무를 까기 시작한다. 하루에 여덟 시간씩 통나무를 까면 배 만드는 데 한 달 이상 걸린다고 한다.
그런데 신석기 시대에는 불을 사용했다. 교수는 가설을 바꾼다. “불을 사용하면 배를 만드는 시간이 줄어들지 않을까?” 교수는 어디서 또 통나무를 가져온다. 대학원생들은 간석기로 또 통나무를 깐다. 통나무를 깠을 때 나오는 톱밥에 불을 붙이고 통나무를 안쪽부터 태워가며 간석기로 깐다. 이러면 2주 정도 걸린다고 한다.
여기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전공을 잘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수가 아무리 인격자여도 전공을 잘못 선택하면 대학원생은 개고생 할 수밖에 없다.
(2016.08.27.)
2016/10/26
“그러니까 일단 아무하고나 사귀어 봐요”
내가 나이 서른둘 먹고도 궁상맞게 사는 게 보기 딱했는지, 나를 아끼는 몇몇 사람들이 술자리에서 나를 걱정하다 화를 못 참고 나한테 이렇게 소리쳤다. “아, 그러니까 그렇게 좀 살지 말고 일단 아무하고나 사귀어 봐요!”
나는 그들이 어떤 마음으로 알기 때문에 좋게 잘 이야기했다. “내가 아무리 곤궁하게 살지만 그렇다고 하여 마음에도 없는 여자랑 막 사귀면 되겠느냐”라고 답했다.
그런데 나한테 그렇게 말한 사람들은 모두 여자였다.
(2016.08.26.)
전원주택을 처음 구입하는 사람들의 과욕
예전에 박재희 박사가 EBS에서 손자병법 강의할 때 한국인과 중국인이 처음 사업할 때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한 적이 있다. 사업 자금이 1억 원 있으면 중국인은 그 돈을 3등분하여 세 번 사업한다고 한다. 처음 사업하면 무조건 망하게 되어 있으니 사업 ...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농협에서 <금융거래정보 등의 제공 사실 통보서>를 우리집에 보냈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을 제공했다는 내용이었다. 검찰청에서는 왜 농협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 정보제공을 요구했는가? 몇 년 전, 아버지는 녹색 무슨 협...
-
김누리 교수는 <세바시>에서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요구하는 내용의 강연을 했다. 강연 서두에서 김누리 교수는 어떻게 아동 우울증이 가능하냐고 묻는다. 어떻게 아이 앞에 우울이라는 말이 붙을 수 있느냐, 이건 검은 백마 ...
-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는 정말 재미없는 책이다. 사전과 비슷한 책이라서 재미난 부분이라고는 한 군데도 없다. 나는 그 책을 두 번이나 읽었다. 정확히 말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칸트 직전까지만 두 번 읽었다. 나는 왜 ...
-
■ 지도교수와의 첫 만남 - 지도교수: “네 이론은 무엇인가?” - 김정운: “선생님 이론을 배우러 왔습니다.” - 지도교수: “남의 이론을 요약하는 것으로 학위 논문을 쓸 수 없다. 네가 제시하고 싶은 이론의 방향을 생각해서 다시 오라.” ...
-
어머니의 사랑이나 헌신을 언급할 때 흔히 나오는 이야기 중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사랑에 눈 먼 한 젊은이가 있었습니다. 그는 연인에게 변하지 않을 사랑을 고백했고 연인은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그의 어머니의 심장을 가져오라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