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8/04

[경제학의 철학] Hausman (1998), “Problems with Realism in Economics” 요약 정리 (미완성)



[ Daniel M. Hausman (1998), “Problems with Realism in Economics”, Economics and Philosophy, 14(2): 185-213. ]

1. Realism

2. Realism versus Instrumentalism

3. Instrumentalism in Economics in the 1950s

4. Realism versus Anti-Realism

5. Does Economics Refer to Unobservables?

5.1 Are preferences and expectations 'theoretical entities'?

5.2 Other unobservables in economics

6. Transcendental Realism

7. Local Realism

8. Conclusions: Problems with Realism in Economic Methodology

1. Realism

2. Realism versus Instrumentalism

3. Instrumentalism in Economics in the 1950s

4. Realism versus Anti-Realism

5. Does Economics Refer to Unobservables?

[p. 196]

실재론자를 반-실재론자나 도구주의자와 구분하는 존재론적, 의미론적, 인식론적 쟁점은 대체로 경제학과 무관하다.

이유: 경제 이론 대부분은 새로운 관찰 불가능한 존재자를 다루지 않기 때문

5.1 Are preferences and expectations 'theoretical entities'?

5.2 Other unobservables in economics

6. Transcendental Realism

7. Local Realism

8. Conclusions: Problems with Realism in Economic Methodology

(2023.04.17.)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사람은 고쳐 쓰는 것이 아니라는 말에 대하여

사람은 고쳐 쓰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 있다.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말인지, 최근에 생긴 말인지, 옛날부터 있기는 있었는데 최근에 유행한 말인지 정확히는 모르겠다. 그런데 왜 사람은 고쳐 쓰면 안 되는가? 대개는 사람(또는 사람의 본성)은 안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