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8

하이데거 짤



이우창 교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와 서강대 철학과 대학원생들 사이에 어떠한 논쟁이 있는 모양이다. 이우창 교수가 7월 24일에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 대하여 <서강올빼미>라는 사이트에 그와 관련된 글이 올라왔고, 이후 이우창 교수와 서강대 철학과 대학원생들은 자신의 입장을 추가로 설명하는 글을 각자 페이스북과 <서강올빼미>에 올렸다.

이우창 교수가 처음에 올린 글은 한국의 교양 인문학 서적에 흔히 나타나는 오류에 관한 것이다. 교양 서적의 저자들이 낡고 단순한 시대구분 인식을 그대로 따르며

(a) “신 중심의 중세에서 벗어나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근대로”

(b) “데카르트 이래 보편화된 이성 중심의 근대적 주체가”

같은 오류 투성이 표현이 등장하는 것만 봐도 그러한 실태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서강올빼미>에서는 (a)가 허구적인 것은 맞지만 (b)는 정상참작의 여지가 있다면서 하이데거의 해석을 언급했다. 여기서부터 글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서강올빼미>의 게시글이든 그에 대한 이우창 교수의 페이스북 글이든, 무슨 내용인지도 모르겠고, 글도 잘 읽히지 않았다. 철학사든 지성사든 전공자들끼리 알아서 하겠지. 나는 모르겠다.

다만, 내가 그들의 논쟁 중 하나 건진 것이 있었는데, 바로 이 짤이다. 서강대 철학과 대학원의 윤유석 선생이 자신의 게시글에 삽입한 것인데, 링크를 타고 들어가 보니 하이데거 전공인 모양이다. 하이데거 전공이니 부담 없이 이런 짤을 만들 수 있었을 것이다.

* 링크: [서강올빼미] 근대에 대한 상투어 비판하기/변명하기(1)

( https://forum.owlofsogang.com/t/topic/5115 )

(2024.08.08.)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