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30
2023/12/26
<세계인문학포럼>에 대한 나의 인식 변화
제7회 <세계인문학포럼>이 11월에 열린다는 소식을 학회 공지메일을 통해 알았다. <세계인문학포럼>이라고 하는 이름부터 수상하다. 철학도 아니고 역사도 아니고 문학도 아니고 인문학이란다. 한 학문에서도 분야별로 얼마나 논의할 것이 많은데 인문학을 통으로 묶어서 포럼으로 만든다니 멀쩡한 이야기가 나와봤자 얼마나 나오겠는가? 게다가, 포럼의 대주제나 중주제도 공존, 소통, 연대, 상생, 화합 같은, 인문학쟁이들이 약 팔 때 주로 사용하는 단어들이다. 그런데도 그런 게 아직도 안 망하고 벌써 7회째 열린다는 것이다. 도대체 누가 저런 데서 발표를 하는 걸까? 어디 욕이나 한 번 해보아야겠다 하는 생각으로 <세계인문학포럼> 홈페이지를 살펴보았다.
올해 기조강연의 연사로 초청된 사람은, 자크 오몽, 백영서, 마이크 김, 케스틴 말름켸르라고 한다. 다 모르는 사람이다. 모르는 사람이라 섣불리 욕을 할 수 없다. 세부 프로그램을 찾아보았다. 분과세션 주제들도 다 수상하다. 다 무슨 소통, 연대, 공존, 상생 같은 단어가 들어가 있다. 수상하다, 수상하다 하면서 죽 넘겨보다가 익숙한 이름이 눈에 들어왔다. 학회에서 만난 선생님이었다. 훌륭한 분으로 알고 있는데 왜 여기서 발표하지? 인공지능 윤리와 관련하여 발표하는 것이었다. 하긴, 인공지능 윤리를 꼭 과학철학회나 윤리학회 같은 데서만 발표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학회마다 참가비가 있고 숙박비를 추가로 내야 할 수도 있는데 <세계인문학포럼>에 참가하려면 얼마를 내야 할까? 참가비가 비싸다면 굳이 <세계인문학포럼> 같은 데 참석할 이유는 없지 않을까? 세부 전공이 같은 전공자들 앞에서 발표한다면 <세계인문학포럼>의 분과세션에서 발표하는 것보다 더 좋은 피드백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세계인문학포럼>에서는 “모든 발표자에게는 소정의 발표비가 지급되며, 발표일에는 숙박과 식사가 제공”되며 “국외 거주 발표자의 경우, 항공료 지원이 포함”된다고 한다. 학회에 참석한다는 것은 참가비를 내면서 노동력까지 제공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세계인문학포럼>에서는 발표비까지 제공한다는 것이다. 나는 그 사실을 알자마자 <세계인문학포럼>에 발표자로 참석하려면 어떤 주제로 발표해야 할지 생각하게 되었고, 또 금방 떠올랐다. 다른 학회 사람들이 보아도 부끄럽지 않을 정도로 내 실력이 성장하는 대로 <세계인문학포럼>에 발표자 신청을 할 생각이다.
그런데 나 혼자 가면 심심하지 않을까? 다른 과학철학 전공자들을 꼬드겨서 여러 사람이 인공지능 윤리로 발표하겠다고 하면 세부세션 하나를 통째로 먹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번 개최지는 부산이라고 한다. 부산 바다를 보면서 회를 한 접시 먹는다고 해보니 괜찮겠다 싶었다. 교통비를 학과에서 지원받을 수 있으면, 학회 참석을 핑계로 하여 저렴하게 부산 여행을 다녀올 수 있는 것 아닌가?
이래서 내가 사람들의 인식이 마치 사회 현상의 주요 원인이라도 되는 양 호들갑을 떠는 일련의 작업을 보면 그것이 연구로서 가치를 지니기나 하는지 의심부터 하는 것이다. <세계인문학포럼>에 대한 나의 인식이 바뀌는 데는 불과 10분도 걸리지 않았다.
* 뱀발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인데, 제3회 <세계인문학포럼>에는 기조강연 연사로 김영식 선생님, 이태수 선생님, 피터 갤리슨이 초청되었다고 한다.
(2023.10.26.)
2023/12/25
2023/12/24
효산 손창락 선생님의 일곱 번째 개인전에 다녀와서
효산 손창락 선생님 개인전에 다녀왔다. 인사동 백악미술관에서 10월 19일(목)부터 10월 25일(수)까지 한다.
내가 학부 때 서예동아리를 하기는 했지만 글씨를 잘 쓰는 것도 아니고 아는 게 많은 것도 아니라서 어차피 작품을 봐도 잘 모르기는 하지만, 그래도 봤을 때 마음이 더 가는 게 있고 덜 가는 게 있다. 마음이 더 가는 것을 몇 개만 꼽아보자면 다음과 같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금문으로 된 것이 많았는데 내가 금문에 대해 아는 것이 전혀 없기 때문에 봐도 뭐가 뭔지 잘 몰랐다. ‘아, 모르겠다’ 하면서 전시회장을 돌아다니는데 2층 전시실에 해서로 된 작품이 있었다. 소식의 <염노교> 중 “亂石崩雲 驚濤裂岸”(란석붕운 경도렬안)을 해서로 쓴 것이었다. “부서진 바위는 구름을 뚫고 놀란 파도는 언덕을 찢어”라는 뜻 때문이었는지는 모르겠으나, 바위처럼 굳세고 탄탄한 느낌이 있는 것 같았다.
예서로 쓴 “知足常樂 能忍自安”(지족상락 능인자안)에도 눈길이 멈추었다. 아마도 “만족할 줄 알면 항상 즐겁고 능히 참으면 스스로 편안하다”는 뜻처럼 소박하고 담담한 느낌이 들어서였던 것 같다.
2층 전시관 한 쪽 벽이 금문으로 된 천자문으로 가득 차 있었다. 2층 전시관 입구 맞은 편에 있는 벽에 있는 것이라 2층에 들어서자마자 보인다.
“花樣年華”(화양연화)는 금문으로 쓴 것이라서 글씨에서 어떠한 느낌인지 솔직히 잘 모르겠다. 보통 ‘화양연화’라고 하면 ‘인생에서 가장 찬란하고 화려했던 시기’라고 풀이하는데 이 작품에서는 “아름다운 시절”이라고만 적었다. 만약에 ‘화양연화’를 ‘인생에서 가장 찬란하고 화려했던 시기’라고 적었다면 고지(故紙)의 색상과 상반되어 어울리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는데, ‘아름다운 시절’이라고 여섯 글자로만 표현하니 고지의 느낌과 더욱 어울리지 않았나 싶다.
내가 금문을 전혀 모르기는 하는데 “麟鳳龜龍”(린봉구룡)은 동물이라서 그런지 회화적인 느낌이 느껴지는 것 같았다. 기린, 봉황, 거북, 용은 신령한 전설상의 동물로, 품성이 고상하고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인물이나 흔히 볼 수 없는 매우 진귀한 물건에 비유한 것이라고 한다.
1층부터 3층까지 둘러보고 다시 1층으로 돌아왔다. 1층 입구 맞은 편 벽에는 금문으로 쓴 이백의 <春夜宴桃李園序>(춘야연도리원서)가 있다. 흔히들 말하는
천지는 만물이 쉬어가는 여관이요
세월은 영원한 나그네
덧없는 인생은 꿈 같은 것
기쁨을 누린들 얼마나 계속되리
가 이 시의 첫 구절이다. 물론, 나는 금문도 모르고 시도 모르니 전시관에 들어와 처음 그 작품을 보고 3층까지 올라갔다 내려와서 다시 보아도 뭐가 뭔지는 잘 몰랐다. 그런데 잘 보면 작품 하단에 주묵으로 찍은 점이 있고 작품 좌측 하단에는 주묵으로 쓴 글씨가 있다. 다른 글씨는 다 검정색인지 그 점과 글씨만 주황색인가? 선생님은 이렇게 답하셨다. “다 써놓고 보니까 한 글자 빼먹었더라구. 그래서 저렇게 했어.”
주묵은 보통 서예를 가르칠 때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표시할 때 쓴다. 학생이 글씨를 써서 가지고 가면 선생님은 어느 획이나 글자를 빼먹었는지, 어떤 게 잘못되었는지 등을 주묵으로 표시한다. 일종의 빨간펜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나는 선생님께 다시 여쭈어보았다. “일부러 저렇게 하신 건가요?” 선생님은 웃으면서 답하셨다. “아니, 다시 쓰기 힘들어서 저렇게 했어.”
이백의 시라고 생각하고 보니 주묵으로 틀린 곳을 표시한 곳이 그리 튀어보이지 않았다. 두보의 시였는데 한 글자 빼먹었다면 체력이 모자랐더라도 다시 쓰셨을지도 모르겠다.
* 뱀발
참고로, 작품 사진 게시와 관련하여 효산 선생님의 허락을 받았다. 그런데 사진으로는 실물을 봤을 때의 느낌이 전달되지 않는 것 같다.
(2023.10.24.)
[외국 가요] 빌리 홀리데이 (Billie Holiday)
Billie Holiday - I’m a fool to want you ( www.youtube.com/watch?v=qA4BXkF8Dfo ) Billie Holiday - Blue Moon ( www.youtube.com/watch?v=y4bZ...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학회에서 발표를 한다든지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때는 이름과 함께 소속도 명시하게 되어 있다. 대체로, 학생은 다니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하고, 강사나 교수는 일하고 있는 학교를 소속으로 표기한다. 강사들이 학회 때마다 소속이 계속 바뀌기도 하는...
-
Billie Holiday - I’m a fool to want you ( www.youtube.com/watch?v=qA4BXkF8Dfo ) Billie Holiday - Blue Moon ( www.youtube.com/watch?v=y4bZ...
-
크라잉넛 - 말 달리자 ( www.youtube.com/watch?v=7QhJm8-UlKw ) 크라잉넛 - 서커스 매직 유랑단 ( www.youtube.com/watch?v=S7q3jOPrbQk ) 크라잉넛 - 게릴라성 집중호우 ( www...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 일반각 반직선 OA가 고정되어 있고, 또 다른 반직선 OP가 점 O를 중심으로 회전한다면, - 고정된 반직선 OA는 ‘시초선’ - 회전하는 반직선 OP는 ‘동경’ 동경이 회전하는 방향은 두 가지 - 음의 방향: 시계 바늘이 도는 방향과 같은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