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8/10

[과학기술학] 홍성욱 (1999), 1장. “과학사회학의 최근 동향 ㅡ 사회구성주의, 과학적 실천, 포스트모더니즘” 요약 정리

   
[ 홍성욱, 『생산력과 문화로서의 과학기술』 (문학과지성사, 1999). ]
  
  
  1. ‘스트롱 프로그램’ 사회구성주의가 등장한 배경
  2. 스트롱 프로그램
  3. 새로운 경향: 실험으로의 복귀
  4. 라투르와 울가의 『실험실 생활』과 ‘구성주의’
  5. 실험실, 『파스퇴르화』 『활동중인 과학』 그리고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6. ‘기술의 사회적 구성’과 ‘잡종 공학’
  7. 구성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8. 스트롱 프로그램과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사회구성주의 [21-22쪽]
- 사회구성주의(social constructionism): “과학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
- 스트롱 프로그램(Strong Program)은 과학 지식이 과학 외적인 요인들, 즉 사회적・정치적・경제적・철학적・이데올로기적・성적 요인에 의해 구성된다는 입장.
-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은 사회가 과학에 의해 구성됨을 강조함.
- 과학과 사회의 ‘공동구성’(co-construction)이나 ‘공동형성’(co-shaping)에 대한 논의


  1. ‘스트롱 프로그램’ 사회구성주의가 등장한 배경

■ [22-23쪽]
- 사회가 지식에 영향을 준다거나 지식이 사회적 요인을 반영한다는 생각
• 칼 마르크스
• 칼 만하임과 에밀 뒤르켐
- 이들이 말한 과학적 지식은 자연과학이 아니라 사회과학이나 인문학.
• 진정한 자연과학은 과학자의 개인적 성향 등을 반영하지 않고 자연 속에 존재하는 것을 반영할 뿐이라고 생각함.

■ 스트롱 프로그램 [23-27쪽]
- 1970년대 에든버러 학파가 ‘스트롱 프로그램’이라는 새로운 과학사회학 프로그램을 제안함.
• 에든버러 학파(Edinburgh School): 데이비드 블루어, 베리 반스 등 과학사회학자들이 에든버러 대학에 있어서 붙은 이름.
• 스트롱 프로그램은 자연과학의 지식도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함.
- 스트롱 프로그램 등장에 영향을 준 요소(1): 토머스 쿤의 과학 혁명 개념
• 과학 이론의 의미는 과학자들이 공유하는 특정한 과학적 패러다임에서 온전히 찾을 수 있음. 과학 작업이 가지는 본질적으로 공동체적이고 사회적인 성격을 강조함.
- 스트롱 프로그램 등장에 영향을 준 요소(2): 철학적 개념들
• 핸슨의 관찰의 이론 적재성 개념
• 과인의 미결정성 이론
- 과학 이론이 불충분하게 결정된다면, 나머지 부분을 결정짓는 것은 과학 외적인 사회적 요인이라고 스트롱 프로그램은 주장함.
• 과학 논쟁은 내적 요소만으로 끝나지 않고 반드시 외적 요소에 의해 끝난다고 함. 
• 과학적 합의는 ‘사회적으로 중재된 협상’
• 과학적 지식은 자연의 산물만이 아니라 사회적 타협의 산물이기도 함.
• 과학 이론은 매우 유연해서 과학자들이 주물러 만들어낼 수 있음
- 스트롱 프로그램 등장에 영향을 준 요소(3): 과학과 사회의 연관성을 보여준 과학사 저작들
• 내적 접근법 대 외적 접근법의 논쟁
• 내적 과학사(internal history of science): 과학 내적 요인을 강조함.
• 외적 과학사(external history of science): 과학 발전에 끼친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요인들의 중요성을 강조함.
- 1930년대 내외 논쟁
• 1931년 소련의 물리학자 보리스 헤센(Boris Hessen)은 뉴튼 물리학이 탄도학이나 항해술 같은 17세기의 기술적・경제적 필요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주장함.
• 헤센의 주장은 버날, 홀데인, 니덤 등에게 충격을 줌.
• 알렉산더 코아레는 17세기 과학 혁명은 기술적・경제적 요소에 의해 일어난 혁명이 아니라 ‘개념의 혁명’이었다고 주장함. 갈릴레오의 물리학은 기술은커녕 실험의 영향도 거의 받지 않았다는 것.
• 헤센의 주장은 통속 마르크스주의자의 주장으로 폄하됨.
- 1960-70년대 내외 논쟁
• 요인(1): 과학이 제도적・사회적・정치적 요인들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는 과학사 연구
예1) 19세기 말 영국의 전자기학은 독일이나 프랑스의 전자기학과 다름
예2) 18세기 말 프랑스 라부아지에의 화학은 영국 프리스틀리의 화학과 다름
예3) 1950년대 발전한 양자전기역학(QED)은 대체로 미국 과학임.
• 요인(2): 더 세련된 마르크스주의 저작들의 등장
예1) 진화론과 빅토리아 시대의 정치・경제의 상호 영향에 관한 로버트 영의 연구
예2)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 독일의 비-인과적인 양자역학에 대한 폴 포먼의 연구
  
   
  2. 스트롱 프로그램

■ [27-28쪽]
- 데이비드 블루어의 『지식과 사회적 이미지(Knowledge and Social Imagery)』(1976)
• ‘스트롱 프로그램’이라는 말이 처음 등장함.
• 프로그램의 네 가지 명제를 제안함.
- 스트롱 프로그램의 네 가지 명제
• 인과성(causality): 과학 지식에 대한 설명은 사회적 조건과 지식 사이의 인과 관계로 맺어져야 함.
• 공평성(impartiality): 참과 거짓, 합리성과 비-합리성, 성공과 실패 같은 대립항들을 각각 공평하게 설명해야 함.
• 대칭성(symmetry): 이분법상의 대립항들을 같은 원인으로 설명해야 함.
• 반성성(reflexivity): 사회적 설명이 스트롱 프로그램 자체에도 적용되어야 함.
- 블루어는 방법론적 상대주의를 주장함.
• “객관성은 사회학적이다.”


■ 스트롱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 [28-29쪽]
- 대칭 논제에 대한 비판
• 대칭 논제는 매우 모호함.
• 합리적 믿음과 비합리적 믿음, 과학에서의 성공과 실패를 설명하는 데 같은 원인을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은 말이 안 됨.
- 대칭 논제에 대한 홍성욱의 해석
• 블루어의 대칭 명제를 조금 약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과학사회학이 엔-레이(N-rays) 같은 실패와 오류만 사회학적으로 설명할 것이 아니라 뉴튼 과학 같은 성공한 과학도 사회학적으로 설명해야 한다는 것.
- 반성 명제에 대한 비판
• 반성성 명제가 참이라면 스트롱 프로그램도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 되고 스트롱 프로그램의 명제도 틀린 것이 될 수 있다.
• 모든 주장이 상대적이고 모든 객관성이 사회적이라면 스트롱 프로그램 자체의 타당성을 판가름할 길도 없어진다.
- 반성 논제에 대한 홍성욱의 해석
• 스트롱 프로그램은 서로 경합중인 주장을 판단할 수 있는 ‘실질적’ 기준이 없다고 주장한 적이 없고 자신들의 이론이 절대적으로 옳다고 주장하지도 않았다.
• 여러 의견 중에 어떤 의견이 절대적으로 옳은지 알 수 없더라도 그 의견이 속한 맥락을 자세히 보면 어떤 의견이 옳은지는 판단할 수 있다.

■ [29-30쪽]
- 과학이 형성되는 데 어떤 사회적 요인이 관여하는가?
• 이에 대한 원칙은 없음.
• 과학 형성에 어떤 사회적 요인이 관여할지는 경험적인 연구로만 확인할 수 있음.
• 과학 논쟁은 블랙박스를 열어서 만들어지고 있는 과학(science-in-the-making)을 살펴볼 수 있게 함.
- 콜린스가 제시한 과학을 연구하는 세 가지 단계
• 1단계: 과학 논쟁의 분석을 통해 과학의 해석적 유연성을 발견하는 단계. 즉, 과학이 아직 다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던 상태를 발견하고 재구성하는 것.
• 2단계: 해석적 유연성을 제한하여 논쟁을 종결짓는 기제 발견.
• 3단계: 이런 기제와 사회 구조의 관계를 찾음.

■ 스트롱 프로그램의 초기 연구 사례 [30-31쪽]
- 골상학(phrenology)
- 통계학
  

  3. 새로운 경향: 실험으로의 복귀

■ [31-32쪽]
- 스티븐 섀핀과 사이먼 섀퍼의 『리바이어던과 공기 펌프』(Leviathan and the Air-Pump)
• 비트겐슈타인의 ‘삶의 형식’ 개념에 기초하여 ‘실험적 삶의 형식’을 검토함.
• 실험에는 이론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 그 나름대로의 독자적 삶이 있다는 뜻.
- 보일의 공기 펌프 실험은 어떻게 재현되었는가?
• 당시 공기 펌프는 너무 비싸고 조립하기 어려워서 전 유전에 몇 대밖에 없었음.
• 모든 공기 펌프의 공기 누출 비율이 각기 달라 표준을 정하기 어려웠음.
- ‘실험으로의 복귀’(return to experiment)라는 1980년대 중반의 흐름을 반영함.

■ 1980년대 초까지의 분위기 [32-33쪽]
- 1980년대 초까지 과학사학자들과 과학철학자들은 과학적 실행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음.
- 개념적 요인 강조
• 코아레는 실험적 요인보다 개념적 요인을 강조함. 기구는 단지 기록 장치나 감각 기관의 연장으로 생각함.
• 핸슨이 말한 관찰의 이론 의존성. 실험 데이터가 이론에 의존하므로 이론을 잘 이해하면 실험도 이해할 수 있다는 해석.
• 쿤은 과학 혁명 기간에 일어난 개념 변화를 강조함.
- 1980년대 초까지도 실험에 대한 이론의 우위와 실험의 이론 의존성이 정설
- 이에 대한 반박: 17세기 이후 실험적 방법은 중요한 과학적 방법이 되어 과학자들 일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이론적 추론이 아니라 실험이 됨.

■ 실험과 과학적 실행에 주목하기 시작하게 한 요소들 [33-43쪽]
- 과학자들의 실행에 주목하면 패러다임의 중요한 국면이 드러날 것이라는 점을 간파함
• 과학자들은 교육 과정에서 교과서를 푸는 일을 통하여 패러다임을 접하게 됨.
• 교육받으면서 익힌 문제해결 방법은 과학자가 되는 데 중요한 ‘노하우’가 됨.
• 패러다임은 과학자들이 하는 일의 총체로 해석될 수 있음.
- 제롬 라베츠(Jerome Ravetz)의 『과학 지식과 그 사회적 문제점』은 과학 지식을 획득하고 정교하게 하는 작업을 장인의 활동에 비유함.
• 과학 지식에는 장인의 숙련된 솜씨(skill)처럼 암묵적인 차원이 있음.
• 과학자는 자기가 쓰는 도구의 달인이 되어야 함.
• 과학적 실행상의 숙련(skill)이 필요함.
- TEA 레이저에 관한 해리 콜린스의 연구
• TEA 레이저: 횡자극 대기 압력 이산화탄소 레이저의 준말
• 1970년 캐나다 국방연구 실험실에서 TEA 레이저를 발명함.
• TEA 레이저를 복제하는 데 성공한 집단: 직접 방문을 하거나 사람을 보내거나 전화 통화 등으로 캐나다팀과 접촉함.
• “모든 유형의 [과학] 지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원리로 정식화할 수 없는 암묵적 규칙으로 이루어져 있다.”
- 중력파에 관한 해리 콜린스의 연구
• 1969년 미국 메릴랜드의 물리학자 조지프 웨버는 중력파를 발견했다고 공표함.
• 1970년 열 개 집단이 웨버의 결과를 재현하는 시험을 한 뒤 베버가 틀렸다고 발표함.
• 콜린스는 웨버가 사용한 것과 똑같은 검파기를 조립해서 시험을 정확히 재현하려 한 집단이 하나도 없음을 발견함. 각자 자기들 나름대로 검파기를 만든 것.
• 왜 그들은 웨버의 실험을 정확히 복제하지 않았으며, 그러면서도 왜 중력파에 대해 ‘동일한’ 실험을 한다고 생각했는가?
• 콜린스는 다른 실험을 동일한 것으로 생각하게 하는 사회적인 협상이 있다고 주장함.
- 콜린스가 제시한 실험자 회귀(experimenter’s regress)
• 아무도 발견하지 못한 중력자를 발견하려면 중력파 검파기를 조립해야 한다.
• 그렇게 조립한 중력파 검파기가 훌륭한지 알려면 그 장치로 중력파를 찾아내야 한다.
• 우리는 중력파를 발견한 적이 없으므로 어떤 신호가 중력파인지 알 수 없다.
- 콜린스는 실험자의 무한 회귀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았음.
• 왜 무한 회귀가 일어나지 않는가. 무엇이 회귀에 종지부를 찍는가.
• 서로 다른 기기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이 중요함.
• 캘리브레이션 과정에 얽혀 있는 사회적 협상이 실험자의 회귀를 종결지음.
- 해킹의 『표현과 개입』(Representing and Intervening)
• 현미경을 통하여 보는 과정에 우리의 개입이나 조작이 수반됨. 우리가 그냥 보기만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더 잘 보기 위해서 보는 과정에 다양한 방법으로 개입함.
• 실험적 실재론: 대상을 조작하는 정도가 대상이 존재하는 정도를 결정한다.
• “당신이 전자를 뿌릴 수 있다면 전자는 틀림없이 존재한다.”
• 해킹의 주장은 관찰의 이론 의존성을 실험 데이터의 이론 의존성으로 확대 해석하면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줌.
예) 허셜의 적외선 발견. 관측을 지지한 이론은 없었고 관측을 통해 열선 이론에 도달함.
• 이론적 제약들이 실험 과학자들에게 부담이 되기도 하지만 이론적 제약이 반드시 이론에 들어맞기만 하는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님.
예) 19세기 말 마이컬슨의 실험. 마이컬슨은 에테르 이론의 신봉자였지만 그가 원하는 대로 실험 데이터가 나오지 않음.
• “실험에는 그 나름의 삶이 있다”: 이론을 시험하기 위해 실험을 고안하는 것이 아니며 측정도 실험자의 작업에서 아주 적은 부분만을 차지함. 실험 과학자들의 목표는 자연적 요소와 기구를 결합해서 (자연이 아닌) 실험실에서 신기한 현상을 창조하는 것.
• 새로운 기구를 만드는 것은 이러한 점에서 중요함.
예) 옴의 법칙은 자연 법칙이지만 옴이 실험실에서 새로운 장치들을 결합하여 창조한 것이기도 함.
- 피터 갤리슨: “기구에도 나름의 삶이 있다”
• 어떤 기구는 발명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사용되기도 함.
예) 유도 코일(induction coil)은 처음에 물리학적 목적으로 발명되었지만 나중에는 엑스레이와 전자기파를 만들기 위해 사용됨.
• 과학자의 실천은 이론・실험・기구의 다양한 전통이 만들어내는 다각적 제한 요소들에 의해 제한됨.
- 앤드루 피커링은 과학적 실행의 유연성(plasticity)을 강조함.
• 실험 사실에서 도출된 명제의 진실성은 과학 이론과 실행이 실재와 일치했을 때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과학자가 자기 주변의 다양한 밑천(resource)들을 ‘반죽해서’ 안정시키고 논리 정연하게 만들었을 때 구성됨.


  4. 라투르와 울가의 『실험실 생활』과 ‘구성주의’

■ 구성주의가 사회구성주의와 다른 점 [43-44쪽]
- 사회가 과학을 구성하는 것보다 과학이 사회를 구성하는 것에 더 관심을 기울임
-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 사이의 대칭을 주장함.

■ 브루노 라투르와 스티브 울가의 『실험실 생활』 [44-47쪽]
- 과학 지식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다른 연구들과 달리 인류학적 방법을 사용함.
• 이를 통해 기존의 연구들이 간과한 것을 발견함.
- 특징(1): 과학자들은 수많은 ‘쓰기’ 활동을 함.
• 읽은 논문을 기록하고 발상을 메모하고 관찰 기록을 기록하고 연구 논문을 씀.
• 실험실에 있는 많은 기구들은 직간접적으로 기록과 관련이 있음.
- 특징(2): 과학적 사실의 생산
• TRF(thyrotropin releasing factor)
• TRF는 호르몬이므로 전 우주에 존재하는 TRF의 총량은 매우 적음. 소크 연구소는 동물의 뇌에서 TRF를 추출하기 위해 돼지 머리 500톤을 소비함.
• 실험자 회귀의 문제가 관련됨. 참인 데이터를 배경 잡음과 어떻게 구별했는가?
- 라투어와 울가의 사회학적인 대답
• 소크 연구소뿐만 아니라 다른 분자생물학자 집단도 같은 주제로 작업함.
• 두 집단이 서로 교류하고 경쟁을 하면서 TRF의 존재를 정하는 데이터 표준에 관한 사회적 타협이 이루어짐.
• 이러한 타협이 있기 전에는 "TRF가 존재하지 않았다".

■ [47-49쪽]
- 홍성욱은 리투르와 울가의 결론에 동의하지 않음.
- 라투르와 울가의 연구는 사람들이 과학적 사실을 생산하는 실험실로 관심을 돌리게 함.
• 1970년대 마르크스주의 과학 비판자들은 『실험실 생활』의 해석이 자본주의 사회의 과학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해석과 일치한다고 주장함.
• 라투르는 자신이 과학에서 사회적 요소를 찾으려고 한 것이 아니라고 반박하고, 급진 과학 진영의 시도와 마르크스의 작업은 정반대라고 주장함.
- 라투르는 급진 과학주의자들과 스트롱 프로그램의 시도에 반대함.
• 전제(1): 과학의 사회적 요소를 비판하기 위해서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사회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안다고 가정해야 함.
• 전제(2): 자본주의의 과학은 자본주의에서 발견할 수 있는 왜곡된 사회 요소를 반영한다고 가정해야 함.
• 과학이 사회 구성에 연루되어 있어서 사회가 무엇으로 이루어졌는지 알 수 없음.
• 과학은 사회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행위자 간의 사회적 게임을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에 사회적 요소로 과학을 설명할 수 없음.
• 과학은 단순히 사회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 행위자 간의 사회적 게임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적 요소로 과학을 설명할 수 없음.
• 과학 그 자체가 ‘다른 정치’(politics pursed by other means).


  5. 실험실, 『파스퇴르화』 『활동중인 과학』 그리고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 실험실과 파스퇴르화 [49-52쪽]
- 무엇이 과학자를 다른 전문가와 다른 존재로 만드는가?
• 과학자들에게는 실험실이 있고 다른 전문가들에게는 실험실이 없기 때문.
- 파스퇴르화
• 19세기에 세균은 인간보다 강함. 세균은 인간을 죽이지만 인간을 세균을 못 죽임.
• 인간은 파스퇴르의 실험실에서만 세균보다 강해질 수 있었음.
• 실험실의 조건을 안정적으로 만들어 ‘블랙박스화’하고 이를 실험실 밖으로 유포함.
• 백신은 실험실의 축소판이고, 예장 접종이 성공한 것은 사회를 실험실화한 것임.
-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의 동맹
• 실험실이 특수한 것은 기구, 실험 대상 등 비인간 행위자가 가득 차 있기 때문.
• 과학자와 비인간 행위자 사이의 힘겨루기
• 과학자가 비-인간 행위자를 치환해서 새로운 네트워크를 만들며, 성공할 때마다 비-인간 행위자들이 가졌던 힘을 동맹군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

■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의 동맹 [52-54쪽]
- 인간 행위자와 비-인간 행위자의 동맹이 과학을 다른 인간 활동과 구분함.
- 동맹의 결과(1): ‘물건’들이 과학과 기술에 똑같이 중요하므로 과학과 기술의 차이가 거의 사라짐.
• 라투르는 과학과 기술을 분리하지 않고 기술과학(technoscience)이라는 말을 사용함.
• 동맹 네트워크는 이질적인 과학-기술-사회적 요소들 사이의 네트워크이므로 과학과 사회의 구별도 흐려짐.
- 동맹의 결과(2): 문서(inscription)의 의미를 재해석함
• 과학자들이 힘을 쟁취하고 유지할 수 있는 수단.
• 옮기기 쉬워서 새로운 동맹을 만드는 중요한 수단으로 기능함.
- 동맹의 결과(3): 의무 통과점(obligatory passage point)
• 의무 통과점: 사람들이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지점.
• 사람들이 의무 통과 지점을 통과할 때마다 과학과 과학자는 더 많은 힘을 얻음
예) 단위와 표준에 관한 연구에 국가가 엄청난 돈을 지출한 것은 단위와 표준이 가장 기본적인 의무 통과점이기 때문.


  6. ‘기술의 사회적 구성’과 ‘잡종 공학’

■ 기술의 사회적 구성론(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55-58쪽]
- 뉴튼의 법칙이나 TRF가 사회적으로 구성되었다는 주장과 달리, 에디슨의 송전 기술 체계가 사회적으로 구성되었다는 주장은 상식적으로 들림.
• 기술의 사회적 구성론에서 새로운 점은 무엇인가?
- 기술적 사회적 구성론(SCOT)은 본질주의를 부정함.
• 본질주의(essentialism): 기술의 단선적으로 발전한다는 주장
• SCOT는 사회 집단들이 기술 발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함.
예) 자전거의 발전을 고려할 때 기술자, 남성 이용자, 여성 이용자, 스포츠 자전거 이용자, 자전거 반대론자까지 고려해야 함.
- 자건거의 예
• 초기 발전 단계에, 스포츠 자전거 이용자들은 커다란 바퀴(56인치)가 달린 자전거를 좋아하고 여성 이용자들에게는 치마에 맞게 설계된 자전거가 필요함.
• 공기 타이어는 기술자들에게는 골치 아픈 것이었고 스포츠 자전거 이용자들에게는 불필요한 것이었음(용수철 프레임이 충격을 흡수함).
• 자전거 경주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면서 공기 타이어를 장착한 안전 자전거가 다른 자전거보다 빠르다는 것이 입증됨.
• 초기 자전거 설계에서 중요한 고려 요소가 아니었던 속도가 부각됨.
• 안전 자전거가 다른 자전거보다 우월하다는 결론은 기술적 논리가 아니라 사회 집단과 이들의 이해관계와 인공물의 상호 작용에서 나온 우연한 사건들의 의한 것임.
- SCOT의 해석적 유연성(interpretative flexibility)
• 초기 단계에 있는 기술적 인공물들은 발전 방향과 용도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

■ 기술 구성에 대한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가들의 이론 [58-60쪽]
- 존 로(John Law)의 잡종 공학(heterogeneous engineering)
• 기술의 안정화는 잡종적인 요소간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내는 한 가지 기능임.
• 사회적인 것은 기술적인 것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기술-사회 네트워크 자체가 안정화되어야 함.
- 시스템 이론의 예: 토마스 에디슨
• 훌륭한 기술자는 기술 시스템의 건설자


  7. 구성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 사회구성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관계 [60-62쪽]
- 포스트모더니즘: 거대하고 거창한 이론이나 구조를 내세워 사회・역사, 인간 지식 등을 설명하려는 시도를 포기하는 것
•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정의가 수십 가지 있으므로 일단 간단하게 정의하기로 함.
- 사회구성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유사성
• 유사성(1): 과학만을 합리적인 지식으로 취급하는 것(계몽적 합리성)에 대한 거부
• 유사성(2): 과학 지식 구성의 국소적・우연적・맥락적 성격 부각
• 유사성(3): 과학적 실행에 관한 연구.
• 유사성(4): 과학 발전의 다중성과 다양성이 존재했다는 쪽을 지지함.
- 모든 사회구성주의자들이 스스로를 포스트모더니스트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님.
• 라루트는 우리가 근대인 적도 없었다고 주장함.
• 사회구성주의자들이 데리다, 푸코, 들뢰즈, 라캉, 크리스테바 등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도 별로 없음.
• 사회구성주의 과학사회학은 쿤 등의 과학철학, 지식사회학의 성과임.


  8. 스트롱 프로그램과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사회구성주의에 대한 홍성욱의 평가 [62쪽]
- 홍성욱은 사회구성주의가 과학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넓혀주었다고 평가함.
•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던 근대 과학의 특징들을 매우 논쟁적인 것으로 바꿈
• 과학적 사실의 생산, 실험의 복제, 이론・기구・실험의 관계 등이 생각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는 것을 알게 됨.
- 홍성욱은 사회구성주의에 대한 비판을 무시할 수 없다고 함.
• 스트롱 프로그램을 더 이상 스트롱하지 않음. 1970년대와 1980년대의 프로그램을 오늘날 그대로 받아들일 사람은 거의 없음.

■ 스트롱 프로그램 초기 연구의 예 [62-64쪽]
- 19세기 골상학 논쟁에 대한 스티븐 섀핀의 연구
• 섀핀은 골상학이 19세기 에든버러 중간계층 사람들의 계급적 성향과 잘 맞아떨어져서 그 당시 에든버러에서 인기 있는 과학이 되었다고 주장함.
- 섀핀 연구에 대한 의문점: 
• 질문(1): 왜 섀핀은 런던의 물리학자들이 연구하던 전자기론이 아니라 에든버러에서 유행한 골상학을 택했는가? 당대 과학이론이 수백 가지인데 왜 골상학을 선택했는가?
• 질문(2): 섀핀은 에든버러의 경제헉 관심이나 젠더적 쟁점이나 다른 요인이 아니라 계급적 이해관계가 골상학과 관련되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았는가? 전자기학도 비슷한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 질문(3): 왜 특정 사회적 요인이 특정한 방식으로 과학의 내용을 결정했는가?
- 사회와 과학이 연결되는 방식이 임의적이라는 비판.
- 에든버러 학파의 답변: “우리는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을 직관적으로 많이 알고 있다.”
• 섀핀: “어느 관념이든 어떤 종류의 사회적 기능에 봉사할 수 있으며, 관념과 사회적 목적의 결합은 우연적이다”
- 스트롱 프로그램의 가장 심각한 약점은 이러한 우연성
• 사회적 이해관계와 과학 관념 사이에는 논리적 연결이 없음.
• 스트롱 프로그램의 명제를 받아들인다면, 연구자의 이해관계가 사회적 이해관계와 과학 관념 사이의 연결을 찾는 과정에 연루된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함.

■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 대한 홍성욱의 비판 [64-67쪽]
- 군사적 메타포, 무명의 행위자보다 영웅적 행위자에게 주목
• 현대 과학에 대한 비판 결여
• 과학자들의 활동이 하버마스가 ‘의사소통적 행위’라고 부른 것과 비슷하지 않은가?
• 힘겨루기는 경계 공간, 경계물의 형성을 설명 못함
• 경계물은 한 쪽이 이김으로써가 아니라 이해관계를 중재함으로써 생겨남.
예) 분자생물학, 물리화학, 천체물리학, 전자공학, 컴퓨터과학 등 경계 분야의 학문.
  
  
(2018.12.08.)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외국 가요] 맥 드마르코 (Mac DeMarco)

Mac DeMarco - Heart To Heart ( www.youtube.com/watch?v=qBoQzo98EpQ ) ​ ​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