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8/16

[기출문제] (인식론)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논문제출자격시험 (1996년 2학기-2011년 1학기)

■ 서양철학전공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역 구분

- 과학철학

- 논리 및 언어철학

- 인식론

- 형이상학 및 존재론

■ 1996년 2학기

1. 데카르트의 제일철학에서 신존재 증명이 지니는 인식론적 위상에 대해 논하시오.

2. 흄의 인과율에 대한 분석을 정리하고, 그것이 흄 전후의 철학사 전개과정에서 미치는 영향과 파급 효과에 대해 논하시오.

3. 칸트에서 ‘시간’(Zeit)이란 무엇인가?

4. 칸트에서 ‘있음’(Dasein)의 의미를 밝히시오.

5. 지향성 개념이 지니는 인식론적 의미는 무엇인가?

■ 1997년 1학기

1.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감각적 성질(혹은 감각적 지각 능력)이 이론적 인식의 영역으로부터 배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 그것이 실천적 행위의 영역에서 다시 인정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성찰』의 논증 구조에 준하여 답해보시오.

2. 흄의 철학에서 상상(Imagination)이 어떤 중요성을 가지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인과문제나 실체의 문제와 관련시켜 논하시오.

3. 칸트는 “고정 불변성(Beharrlichkeit)은, 그 아래에서만 사물 또는 대상으로서의 현상들이 가능한 경험 중에서 규정될 수 있는 하나의 필수 조건이다”(KrV, A 189/B232)고 말한다. 이 말이 함축하는 바를 밝히시오.

4. 후설의 경우 순수의식의 일반적 구조을 탐구함에 있어 반성에 대한 탐구가 차지하는 위치는 무엇인가?

■ 1997년 2학기

1. Descartes의 「제2성찰」 후반부에 나오는 ‘밀랍 분석’의 논증 구조를 밝히고, 이 분석이 지닌 인식론적 의도와 함의를 논하시오.

2. Hume의 Treatise 1권 ‘이성에 관한 회의주의’라는 이름의 절에 “지식이 확률로 전락한다.”(Knowledge degenerates probability)는 주장이 나온다. 이 주장의 내용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논변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Hume의 대응은 어떠했는지를 밝히시오.

3. Kant의 『순수이성비판』은 “선험적 종합판단은 어떻게 가능한가?”를 주제적으로 묻는다. 여기서 다루는 ‘선험적 종합명제’의 한 예를 들고, 그것의 가능 근거를 설명하시오.

4. ‘현상학적 환원’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그것이 지니는 여러 가지 인식론적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5. Quine의 자연주의 인식론에 대한 A. Goldman의 입장은 어떤 것인지 논하시오.

■ 1998년 1학기

1. “존재하는 모든 것은 원인을 가진다”는 maxim에 대한 Hume의 반박 논변을 소개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2. 지식의 정의와 관련하여 소위 ‘게티어 문제’(Gettier’s problem)란 어떤 것인지 설명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3. Kant에서 ‘순수 지성 개념’이 사물 인식의 범주로서 객관적 타당성을 가짐을 해명하시오.

4. Husserl의 『Ideen 1』에 나오는 “사태를 근원적으로 제시해 주는 개개의 직관이 인식의 권리 원천이다”라는 명제가 지닌 인식론적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5. Descartes의 방법적 회의에서 ‘꿈의 가설’이 지니는 의미와 그 가설이 논파되는 과정을 논평하시오

■ 1998년 2학기

1. 칸트 『순수이성비판』의 다음 구절을 해설하시오.

“현상은 언제나 두 면을 갖는 바, 한 면에서는 객체 그 자체가 고찰되고-그것을 직관하는 방식은 고려치 않으며, 그러나 그 때문에 언제나 그것의 성질은 문제성 있는 것으로 남지만,- 다른 면에서는 이 대상에 대한 직관 형식이 주시되는데, 그 형식은 대상 그 자체에서가 아니라 그것이 그에게 현상하는 주관에서 찾아져야만 하며, 그러나 그럼에도 이 대상의 현상에 실제로 그리고 필연적으로 속해 있는 것이다.”

2. Hume은 대상의 지속적, 독립적 존재여부에 관한 일반인들의 입장과 철학자들의 입장을 구별해 보았다. 이 입장들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Hume 자신은 이 문제에 관하여 어떤 입장을 취하였는가?

3. 지식의 정당화 이론으로서의 토대주의와 정합주의를 비교, 평가해 보시오.

4. 데카르트적 성찰 전체에서 과장법적 회의가 지닌 역할과 의미에 대하여 논하시오.

5. “방법”과 “사태”의 관계에 대한 다음의 현상학적 진술에 대해 논하시오.

“방법은 밖으로부터 어떤 영역에 자의적으로 끌어다가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영역의 탐구를 위한 방법은 그 영역의 본질적 구조에서 유래하는 규범이다.”

■ 1999년 1학기

1. 데카르트의 <둘째 성찰>에 나오는 ‘밀랍분석’의 논증구조와 그 의도에 대하여 논하시오.

2. Hume의 지각이론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3. 칸트에서 ‘표상(Vorstellung)’은 1)무엇이며, 2)어떤 하위개념들을 가지며, 3)어떤 성분들로 형성되는가?

4. Husserl이 제시한 현상학적 환원의 방법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20세기 초 유럽의 철학적 상황과 관련하여 그것이 지니는 의의를 논하시오.

5. Quine의 자연주의와 Hume의 자연주의를 비교하여 논하시오.

■ 1999년 2학기

5問 3擇

1. Hume은 어떤 근거에서 철학적 관계들을 두 종류로 구분하였는지 철학적 관계의 예들을 들어 설명하시오. 또 그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면 지적하시오.

2. 인식론적 토대주의와 정합주의의 장, 단점을 비교, 논하시오.

3. 칸트 인식 이론에서 ‘상상력의 형상적 종합’(die figürliche Synthesis der Einbildungskraft)을 설명하시오.

4. 사실학(Tatsachenwissenschaften)과 본질학(Wesenswissenscften)은 각기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고, 이 둘의 관계에 대해 논하시오.

5. 데카르트에게서 지각이란 무엇인가?

■ 2000년 1학기

5問 3擇

1. “존재하는 모든 것은 원인을 가진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적어도 한 개의 논거를 소개하고, 이 논거에 대한 Hume의 반박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2. 칸트의 ‘양태’(Modalität) 범주가 대상 인식에서 하는 기능을 설명하시오.

3. 후설의 <Ideen Ⅰ>에 나오는 다음 구절에 나타난 지향성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그것이 인식론에 대해 지니는 의의 및 한계에 대해 논하시오.

“우리가 파악하였듯이 이처럼 막연하고 넓게 파악된 지향성 개념은 현상학의 초기 단계에서 꼭 필요한 개념이다.”

4.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밀랍분석이 갖는 의미를 논하시오.

5. 현대 영미 분석철학 인식론자들이 이해하는 지식에 대한 고전적(전통적) 정의를 제시하고, 이 정의에 대한 Gettier의 비판을 설명하시오. 이 설명은 다음을 포함해야 한다: 1) 고전적 정의에 대한 반례, 2) 그 반례가 전통적 정의의 어떤 결함을 드러내는지에 대한 설명.

■ 2000년 2학기

5問 3擇

1.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자아가 지닌 특권적 지위와 그 한계를 논하시오.

2. 흄의 회의주의의 특징을 고대 퓌로니즘(Pyrrhonism)과 대비하여 논하시오.

3. 칸트의 ‘초월적’(tranzendental) 진리 개념 “인식과 대상의 합치”를 설명하시오.

4. 후설에서 ‘순수 자아’와 ‘체험’의 관계를 서술하시오.

5. 현대 분석철학에서 이해하는 지식에 대한 전통적 정의와 이에 대하여 제기된 Gettier의 비판적 반례를 설명하고, Gettier의 예에서 끌어낼 수 있는 교훈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시오.

■ 2001년 1학기

5問 3擇

1. 지식에 대한 전통적 정의에 따르면, 한 믿음 P가 지식이 되기 위해서는 1) P가 참이어야 하며 또한 2) P의 믿음이 인식적으로 정당하여야 한다. 진리 조건과 인식 정당성의 조건이 두개의 독립적인 필요조건으로 제시되는 이유를 설명하고, 진리와 인식 정당성 사이의 관계를 논하시오.

2. 퓌로니즘(Pyrrhonism)에 대한 흄의 입장을 정리해 보시오.

3.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읽을 수 있는 ‘관념’에 대한 정의를 간략히 정의하고, 그것이 제기하는 인식론적 문제를 자유롭게 논하시오.

4. 칸트에서 ‘공간, 시간’ 표상의 경험적 실재성과 초월적 관념성을 설명하시오.

5. 후설의 심리주의 비판에 대해서 쓰시오.

■ 2001년 2학기

5問 3擇

1. 믿음(Belief)의 본성, 원인, 결과 등에 대한 Hume의 입장은 무엇이었는지 논의하시오.

2. 데카르트의 <두 번째 성찰>에 나오는 밀랍 분석이 의도하는 바를 인식론적 관점에서 논하시오.

3. 칸트에서 순수지성의 종합적 원칙 가운데 하나인 “모든 직관들은 연장적 크기들이다”를, 특히 술어 ‘직관’, ‘크기’, ‘연장적 크기’에 주목하여 설명하시오.

4. 명증(Evidenz)이란 무엇인지 설명하고, 명증의 종류 및 명증 이론이 지니는 인식론적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5. 현대 인식론에서 나타나는 자연주의적 경향(자연화된 인식론)을 설명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 2002년 1학기

5問 3擇

1. 데카르트적 의미의 ‘사유’(cogitatio)란 무엇인가? 그의 두 번째 성찰을 중심으로, 그리고 그 개념의 인식론적 함축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논하시오.

2. Hume이 <인성론>에서 제시한 ‘이성에 관한 회의주의’의 두 논변을 소개하고, 이 논변을 Hume은 어떻게 평가하였는지 설명하시오.

3. 칸트에서 순수 지성의 종합적 원칙 가운데 하나인 ‘질(質) 개념의 객관적 사용 원칙’ : “모든 현상들에서 실질적인 것, 즉 감각의 대상인 것은 밀도적 크기, 곧 도(度)fmf 갖는다”( 순수이성비판 B207)가 뜻하는 바를 설명하시오.

4. 현상학적 환원과 관련하여 ‘내재적 지각’(immanente Wahrnemung)과 ‘초월적 지각’(tranzendente Wahrnemung)의 구별을 설명하고, 이러한 구별이 지니는 인식론적 의미에 대해 논하시오.

5. Gettier 문제가 지식의 전통적 정의에 대해 제기하는 문제가 무엇인가 설명하고 그 의의를 기술하시오.

■ 2003년 2학기

다음에서 3문제를 골라 답하시오.

1. 데카르트가 밀랍분석을 통해 증명하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2. 흄에서 “필연적 연관”(necessary connexion)의 성격을 설명하시오.

3. 칸트 『순수이성비판』에서 “초월적 주관”(das transzendentale Subjekt)을 설명하시오.

4. 후설의 지향성 개념의 발견이 지니는 인식론적 의의는 무엇인가?

5. 현대 분석철학전통의 인식론에 있어서 인식정당성과 진리와의 관계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소개하고, 이 논쟁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옹호하시오.

■ 2004학년도 2학기

다음 중 세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데카르트의 <성찰>에 나타난 cogitatio의 유형의 구별에 대해 논하시오.

2. 흄의 회의주의의 성격을 논하시오.

3. 칸트에서 실체범주의 객관적 사용 원칙, 곧 ‘제1유추의 원칙’: “현상들의 일체의 변전(變轉)에서도 실체는 고정적이며, 실체의 양은 자연에서 증가되지도 감소되지도 않는다”(KdrV B224)를 해설하시오.

4. 현상학적 환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설명하고 그것들이 지니는 인식론적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5. 자연화된 인식론에 대해 논하시오.

■ 2005년 1학기

☞ 다음 중 3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두 가지 신 존재 증명이 떠맡는 각기 서로 다른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2.다음은 D. Hume의 <A Treatise of Human Nature>에서 뽑은 글이다.

“[...] From causes which appear similar, we expect similar effects. This is the sum of all our experimental conclusions. Now it seems evident that, if this conclusion were formed by reason, it would be as perfect at first, and upon one instance, as after ever so long a course of experience; but the case is far otherwise [...]”

1) 우선 밑줄 친 부분을 번역하고,

2) 이 부분에서 Hume이 주장하고 있는 바가 무엇인지 간략히 서술하시오.

3.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에서 ‘필연적으로 보편타당한 대상 인식’의 가능성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서술하시오.

4. 현상학적 환원과 본질직관의 방법이 지니는 인식론적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5. 회의론의 대표적인 논증인 무지로부터의 논증(Descartes의 논증이 한 예)을 설명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법을 모색하시오.

■ 2006년 2학기

☞ 다음 중 3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데카르트에서 자아 존재의 확실성은 직관적 진리인가 추론적 진리인가.

2. Hume 인식론에서 Knowledge, Proof, Probability 이 세 가지가 각각 어떻게 다른지 예를 들어 논하시오.

3. 칸트에서 질 범주인 ‘실재성(Realität)’과 양태 범주인 ‘현실성(Wirklichkeit)’의 차이와 공유점을 설명하시오.

4. “대상을 근원적으로 제시해주는 모든 직관이 인식의 권리원천이다”라는 “모든 원리 중의 원리”에 대해 논하시오.

5. 지식의 폐쇄성(Closure of Knowledge)이란 어떤 주장인가를 설명하고, 이것이 회의론과 관련하여 갖는 의의를 논하시오.

■ 2007년 1학기

- 다음 중 3 문제를 선택하여 답하시오.

1.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밀랍 분석’이 차지하는 역할과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2. ‘원인’에 대하여 흄이 내린 두 정의를 정확히 기술하고, 흄이 왜 두 가지 정의를 내릴 수밖에 없었는지, 두 정의의 내용상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여기에 문제점이 있다면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논의하시오.

3. 칸트에서 범주(순수지성개념)들의 ‘형이상학적 연역’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4. ‘어떤 사태 영역과 그에 대한 탐구방법’의 관계를 해명하고 있는 다음 구절에 대해 논하시오.

“방법은 밖으로부터 빌려올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어떤 영역을 탐구하기 위한 특정한 방법은 그 영역의 특수성에서 유래하는 규범이다.”

5. 지식에 대한 전통적 정의를 비판하는 게티어의 예를 제시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하시오.

■ 2008년 1학기

1. 데카르트의 밀납 분석은 무엇을 의도하는가? <둘째 성찰>의 성취가 잘 드러나도록 논하시오.

2. 흄의 이론에 따르면 관념들의 관계(relations of ideas)와 사실 문제(matters of fact)에 대한 우리의 인지적 접근 방식은 근본적으로 서로 다르다.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자세히 설명해보시오.

3. 칸트의 ‘실재성(Realität)’ 범주와 ‘현존(Dasein)’ 범주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4. 후설의 <Ideen I>에서 명증(Evidenz)은 무엇을 뜻하는지, 그리고 어떤 종류의 명증이 있는지 설명하면서 명증 개념이 지닌 인식론적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5. 인식정당성에 대한 토대론과 정합론을 설명하고, 양자를 비교평가하시오.

■ 2008년 2학기

1. 데카르트의 신 존재 증명이 순환논증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비판에 대하여 논하시오.

2. 흄(Hume)은 '원인'에 대하여 두 개의 정의를 내렸다. 그 두 정의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과 함께 그로부터 생기는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논해 보시오.

3. 칸트에서 양 개념의 객관적 사용의 원칙: “모든 직관들은 연장적 크기들이다.”(KrV, B202)를 설명하시오.

4. 본질직관에 대해 설명하고 그것이 지닌 인식론적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5. 게티어(Gettier) 반례에 대한 신빙성주의(Reliabilism)적 입장에서의 대응책을 설명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 2009년 1학기

※ 아래의 다섯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적 의미의 명증성이란 무엇인가? 인식론적 장단점이 드러날 수 있도록 논하시오.

2. 흄은 회의주의를 이성과 관련된 것과 감각과 관련된 것으로 구분하여 논하였다. 각각 어떤 논변인지 설명해보시오.

3. 대상인식에서 ‘잡다를 일람(Synopsis)’하는 감각기능을 칸트에 따라 설명해보시오.

4. 후설의 Ideen I 24절에 나오는 ‘das Prinzip aller Prinzipien’의 내용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그것이 지니는 인식론적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5. 인식정당성에 대한 토대론을 BonJour가 어떻게 비판하는가를 설명하고, 이에 대하여 토대론자가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가를 모색하시오.

■ 2009년 2학기

1.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관념(idea)이란 무엇인가?

2. 흄은 Treatise Book IV section V (“Of the Immateriality of the Soul”)에서 데카르트의 실체관을 비판하고 있다. 그 비판의 요지와 함께, 어떻게 해서 지각도 실체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올 수 있었는지도 설명해보시오.

3. 칸트에서 순수 지성 개념들의 ‘형이상학적 연역’을 설명하시오.

4. 본질직관과 개체직관의 구별에 대해 설명하고 그것이 지니는 인식론적 의미에 대해 논하시오.

5. 콰인이 제안한 ‘자연화된 인식론’에 대한 김재권의 비판을 설명하고 그의 비판이 타당한지 논하시오.

■ 2010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다섯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사유 혹은 생각(cogitatio)이란 무엇인가?

2. ‘귀납의 문제’(the Problem of Induction)란 Hume의 인식론에서 제기된 문제를 말한다. Hume은 이 문제를 <Treatise> I권, III부, section VI에서다루고 있다. 그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3. 칸트의 초월철학에서 의식의 선험성(Apriorität)의 의의를 서술하시오.

4. 1) Gegenstand schlechthin, 2) Gegenstand im Wie seiner Bestimmtheiten, 3) Gegenstand im Wie seiner Gegebenheitsweise의 구별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그것이 지니는 인식론적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5. 지식의 전통적 정의에 대한 게티어(Gettier) 반례를 설명하고, 골드만(Goldman)이 논문 “A Causal Theory of Knowing”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지식 정의가 게티어 반례를 만족스럽게 해결할 수 있는지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 2010학년도 2학기

※ 아래의 다섯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의 『성찰』에 등장하는 몇 가지 신 존재 증명들을 열거하고 그것들 각각이 지닌 고유한 특징이나 역할이 드러날 수 있도록 서로 비교하시오.

2. 흄은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section 4, part ii 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The bread, which I formerly ate, nourished me; that is, a body of such sensible qualities was, at the time, endued with such secret powers; but does it follow, that other bread must also nourish me at another time, and that like sensible qualities must always be attended with like secret powers? The consequence seems nowise necessary.”

(1)과 (2) 문항 모두 답하시오.

흄은 마지막 문장에서 빵이라고 해서 항상 내게 영양소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는 결론을 결코 내릴 수 없다고 주장하는데,

(1) 어떤 근거에서 흄이 이렇게 주장하는지를 설명하시오.

(2) 흄의 이러한 논변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3. 칸트의 초월철학에서 ‘통각(Apperzeption)’의 기능을 ‘지성(Verstand)’과 관련하여 설명하시오.

4. 『이념들 I』의 4부에서 논의된 명증의 유형에 대한 구별에 대해 설명하고 그것이 가지는 인식론적 의의에 대해 논하시오.

5. Quine이 생각하는 자연화된 인식론이란 무엇인가를 설명하고, 그가 이를 어떻게 옹호하는지 설명하시오.

■ 2011학년도 1학기

※ 아래의 다섯 문제 중 세 문제를 골라 대답하시오.

1.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밀랍 분석이 갖는 의미와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2. 흄은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section 2 “Of the Origin of Ideas”에서 이른바 “복사 테제”(Copy Thesis)를 주창하나, 스스로 이 테제에 다음과 같은 반례가 있음을 지적한다:

“There is, however, one contradictory phenomenon, which may prove, that it is not absolutely impossible for ideas to arise, independent of their correspondent impressions. I believe it will readily be allowed, that the several distinct ideas of color, which enter by the eye, or those of sound, which are conveyed by the ear, are re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ough, at the same time resembling. Now if this be true of different colors, it must be no less so of the different shades of the same color; and each shade produces a distinct idea, independent of the rest. For if this should be denied, it is possible, by the continual gradation of shades, to run a color insensibly into what is most remote from it; and if you will not allow any of the means to be different, you cannot, without absurdity, deny the extremes to be the same. Suppose, therefore, a person to have enjoyed his sight for thirty years, and to have become perfectly acquainted with colors of all kinds, except one particular shade of blue, for instance, which it never has been his fortune to meet with. Let all the different shades of that color, except that single one, be placed before him, descending gradually from the deepest to the lightest; it is plain, that he will perceive a blank, where the shade is wanting, and will be sensible, that there is a greater distance in that place between the contiguous colors than in any other. Now I ask, whether it be possible for him, from his own imagination, to supply this deficiency, and raise up to himself the idea of that particular shade, though it had never been conveyed to him by his sense? I believe there are few but will be of opinion that he can: And this may serve as a proof, that the simple ideas are not always, in every instance, derived from the correspondent impressions; though this instance is so singular, that it is scarcely worth our observation, and does not merit, that for it alone we should alter our general maxim.”

(1) 과연 이 “missing shade of blue”가 “복사 테제”(copy thesis)를 위반한다고 생각하는가? 즉 이 “missing shade of blue”가 진정 복사 테제의 반례가 되는지 논하시오.

(2) 흄은 이 반례를 두고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그의 반응은 타당한가?

3. 칸트의 ‘초월적 진리(transzendentale Wahrheit)’ 개념을 설명하시오.

4. 노에마(Noema)란 무엇이며 노에마에는 어떤 종류의 것이 있는지 설명하시오.

5. “뗏목과 피라미드”(“The Raft and the Pyramid”)에서 소사(Sosa)는 기존의 토대론과 정합론을 모두 비판하고 대안으로 “an epistemology of intellectual virtues”를 제시한다. 소사의 토대론과 정합론 비판을 소개하고 그의 대안인 “지적 덕으로서의 인식론”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2020.01.22.)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외국 가요] 빌리 홀리데이 (Billie Holiday)

Billie Holiday - I’m a fool to want you ( www.youtube.com/watch?v=qA4BXkF8Dfo ) ​ Billie Holiday - Blue Moon ( www.youtube.com/watch?v=y4b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