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an Ravenscroft (2005), Philosophy of Mind: A Beginner’s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pp. 25-38.
이안 라벤스크로프트, 「제2장. 행동주의」, 『심리철학: 초보자 안내서』, 박준호 옮김 (서광사, 2012), 52-74쪽. ]
2.1 철학적 행동주의
(Philosophical behaviorism)
2.2 철학적 행동주의 옹호 논증
(Arguments in favor of philosophical behaviorism)
2.3 철학적 행동주의 반대 논증
(Arguments against philosophical behaviorism)
2.4 방법론적 행동주의
(What is methodological behaviorism?)
2.5 방법론적 행동주의 옹호 논증
(Arguments for methodological behaviorism)
2.6 방법론적 행동주의 반대 논증
(Arguments against methodological behaviorism)
■ 철학적 행동주의와 방법론적 행동주의 [52쪽]
- 철학적 행동주의
• ‘논리적 행동주의’나 ‘분석적 행동주의’로도 불림.
• ‘심적 상태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물리주의자의 답을 제시함.
- 방법론적 행동주의
• 심리학자가 어떤 방식으로 탐구해야 하는지 설명함.
- 두 유형의 행동주의는 일정한 상황에서 산출하려는 성향을 보이는 행동을 강조함.
2.1 철학적 행동주의
(Philosophical behaviorism)
53
- 심적 상태는 일정 상황에서 일정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성향
- 고통은 발이 부러질 때 또는 ...할 때 울거나 움츠리거나 ...하려는 경향
• 첫 번째 생략부호는 매우 긴 행동과 상황의 목록을 지시함.
• 두 번째 생략부호는 고통과 연관된 행동이 여러 가지임을 지적함.
- 고통스러운 상태는 어떤 일이 우리에게 일어났을 때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하려는 성향
- 사자가 근처에 있다고 믿는 것은 당신이 사자를 보거나, 사자 소리를 듣거나, 또는 ...할 때, 안전한 곳으로 달려가거나 총을 집어들거나, 또는 ...하는 것.
유의할 점 [53-54
- 유의할 점(1): 철학적 행동주의는 심적 상태가 일정 상황에서 일정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성향의 원인이라고 주장하지 않음.
• 몸에 일정한 일이 벌어질 때 우리가 일정한 방식으로 행위하려는 성향의 원인이 고통이 아니라 그러한 성향이 고통임.
- 유의할 점(2): 일정한 상황에 처한 타인이 반응하는 방식을 관찰하여 그들의 심적 상태에 관해서 알게 된다는 주장과 철학적 행동주의를 구별해야 함.
• 나무 타는 냄새를 맡으면 산불 발생을 알아챌 수 있지만, 산불이 연기인 것은 아님.
54
- 철학적 행동주의자들이 ‘행동’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물리적 사건을 언급함.
- 철학적 행동주의자는 심적 상태에 관한 물리주의적 설명을 제시함.
• 심적 상태는 일정 상황에서 일정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성향
• 심적 상태를 유발하는 행위와 상황도 모두 물리적 사건.
2.2 철학적 행동주의 옹호 논증
(Arguments in favor of philosophical behaviorism)
55-
- 심적 상태에 관한 좋은 이론이 설명해야만 하는 심적 상태의 여섯 가지 특징
• 특징(1): 어떤 심적 상태는 세계의 상태에 의해서 일어남.
• 특징(2): 어떤 심적 상태는 행위를 일으킴.
• 특징(3): 어떤 심적 상태는 다른 심적 상태를 일으킴.
• 특징(4): 어떤 심적 상태는 의식적임.
• 특징(5): 어떤 심적 상태는 세계속의 사물을 향한 것임.
• 특징(6): 어떤 종류의 심적 상태는 어떤 종류의 뇌 상태와 체계적으로 상관됨.
- 철학적 행동주의는 세 가지 특징을 잘 설명함. 넷째 특징을 잘 설명할 수도 있음.
- 나머지 두 특징은 철학적 행동주의자에게 심각한 도전임.
55-57
- 특징(1): 어떤 심적 상태는 세계의 상태에 의해서 일어남.
• 압정을 밟는 것은 이러이러한 행동을 하게 하는 성향을 띠게 할 수 있음.
- 특징(2): 어떤 심적 상태는 행위를 일으킴.
• 성향은 유리잔이 가지는 깨지기 쉬운 성질과 같은 것
• 고통이 울먹임(과 기타 행동)의 성향이라면, 나의 울먹임의 원인 중 하나는 내가 고통에 처해 있음임.
- 특징(5): 어떤 심적 상태는 세계속의 사물을 향한 것임.
• 에베레스트 산의 높이가 8,848미터라는 믿음은 에베레스트 산에 관한 것이고, 에베리스트 산을 8,848미터 높이라고 표상함.
• 이는 내용에 관한 이론과 관련됨.(9장)
• 철학적 행동주의와 내용에 관한 이론을 다루지 못한다고 할 수 없지만, 아직 철학적 행동주의자 중 어느 누구도 이에 대한 자세한 이론을 제시한 적은 없음.
- 특징(6): 어떤 종류의 심적 상태는 어떤 종류의 뇌 상태와 체계적으로 상관됨.
• 유리잔이 깨지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것은 일정한 분자 구조를 가지기 때문임.
• 심적 상태는 두뇌 상태와 체계적으로 상관됨.
■ 철학적 행동주의 옹호 논증(1) [57-58
- 심적 상태와 행동 성향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함.
- 어떤 사람이 심적 상태 M에 특정한 행동 성향을 보이는 데 지속적으로 실패하는 상황은 그 사람이 심적 상태 M에 처하지 않았다는 강한 증거가 됨.
• 예) 누군가가 커피를 원한다고 말했지만 막상 커피를 제공했을 때 마시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 사람이 커피를 원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것임
- 심적 상태와 행동 성향 사이의 연관은, 심적 상태에 관한 철학적 행동주의자 분석에서 직접 귀결됨.
• 예) 커피를 원함이 커피를 마시려는 성향이라면, 커피를 마시고 싶어 하는 사람이 커피를 마시려는 경향을 띠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님.
- 논증 요약
• P1. 심적 상태와 행동 사이에는 강한 연관이 존재함.
• P2. 심적 상태는 행동 성향이므로 이러한 연관을 잘 설명함.
• C. 심적 상태와 행동 사이의 연관은 철학적 행동주의가 옳다는 주장을 지지함.
- 그러나, 심적 상태와 행동 성향 사이의 강한 연관을 설명하는 다른 이론이 존재함.(4장)
■ 철학적 행동주의 옹호 논증(2) [58-
- 검증주의는 1920-30년대 비엔나 학파의 의미 이론
• 진술(statement)의 의미에 관한 새로운 설명
• 진술은 세계가 일정한 방식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문장
• 진술의 의미는 그 진술의 검증 방법
- 진술이 옳음을 증명하는 유일한 방법은 감각을 통한 관찰
• 예) ‘고양이 담요 위에 있다’는 진술의 의미는 ‘정상적인 관찰자가 제대로 본다면 담요-위-고양이라는 시각 경험을 가지게 될 것이고, 그리고 정상적인 관찰자가 제대로 감촉한다면 담요-위-고양이의 촉각 경험을 가지게 될 것이며, 그리고 정상적인 관찰자가 제대로 듣는다면, 담요-위-고양이에 대한 청각 경험을 가지게 될 것이다’라는 것.
- 검증주의자들은 검증될 수 없는 진술은 무의미하다고 봄.
• 예) 정신이 비-물리적 대상이라는 데카르트의 진술을 거부함. 검증할 방법이 없음.
- 검증주의는 자연스럽게 철학적 행동주의로 이어짐.
- 그러나 현대 언어철학자들에게 검증주의는 틀린 이론
• 콰인: 개별 진술은 검증될 수 없으며 많은 개별 진술들로 이루어진 전체 이론이 검증되거나 반박됨.
2.3 철학적 행동주의 반대 논증
(Arguments against philosophical behaviorism)
30, 60
- 철학적 행동주의에 심각한 도전을 제시하는 특징들은 의식과 심적 상태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것임.
60-
- 특징(3): 어떤 심적 상태는 다른 심적 상태를 일으킴.
A. 그는 오늘이 금요일라고 믿는다
B. 그는 금요일이 급여일이라고 믿는다
C. 그는 오늘이 급여일이라고 믿는다
- 믿음 A와 B는 믿음 C를 가지도록 할 것임.(인과관계)
- 믿음 A, B와 믿음 C 사이에는 증거 관계도 존재함.
• 믿음 A, B는 믿음 C를 믿는 일이 합당함을 보증함.
- 이는 사고 과정의 합리적인 방식을 보여줌.
- 계산 이론과 관련하여 명확한 두 가지
• (1) 계산 이론은 사고 합리성을 다루는 이론 중 유일하게 잘 발달한 이론임.
• (2) 계산 이론은 행동주의와 전혀 양립가능하지 않음.
- 현재로서는 행동주의가 사고의 합리성을 설명하는 것은 어려움.
61-
- 특징(4): 어떤 심적 상태는 의식적임.
- 철학적 행동주의는 의식에 관하여 할 말이 전혀 없음.
• 내가 압정을 밟고 즉각 통증을 알아챘다고 해보자.
- 압정을 밟고 특정한 방식으로 행위를 하려는 성향이 어떻게 고통을 줄 수 있는가?
- 압정을 밟을 때마다 이를 감지하고 소리를 내는 로봇은?
■ 철학적 행동주의 반대 논증(1) [62-
- 거친 사나이가 되기로 결심한 블로그스
• 블로그스는 다리가 부러지면 고통은 느끼지만 소리를 지르지 않음.
- 블로그스로 이루어진 공동체
- 고통을 느끼지만 전형적으로 고통과 연관된 종류의 행동을 하려는 성향은 가지지 않을 수 있음.
- 고통 행동을 산출하려는 성향은 고통의 필요조건이 아님.
- 퍼트넘의 ‘초-금욕주의자’(superstoics)
- 한 번도 고통을 느껴본 적 없지만 고통 상태에 있는 척하는 방법을 배운 완벽한 연기자
• 고통스럽지만 고통 행동 성향을 보이지 않을 수 있고, 고통을 느끼지 않지만 고통 행동 성향을 보일 수도 있음.
■ 철학적 행동주의 반대 논증(2) [63-
- 철학적 행동주의는 각 모든 심적 상태에 대응하는 각 행동이 있다고 가정함.
- 그런데 행동 성향은 개인의 욕망, 신념 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
• 예) 사자의 공격을 피하는 최선의 방법은 모든 동작을 멈추는 것이라고 믿는 사람은 사자가 나타났을 때 그 자리에 가만히 서 있을 것임.
- 행동은 여러 심적 상태에 의해서 결정됨.
2.4 방법론적 행동주의
(What is methodological behaviorism?)
66-67
- 방법론적 행동주의자는 심리학의 임무가 자극과 행동의 연결 법칙을 발견하는 것이라고 제안함.
- 효과 법칙(the law of effect): 어떤 유기체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작동을 산출한 직후에 강화를 받으면, 자극에 반응하여 작동을 산출하려는 경향이 증가함.
• 불이 켜짐(자극)
• 쥐가 지렛대를 누름(작동)
• 먹이가 나옴(강화)
- 효과 법칙은 유기체의 내적 상태는 전혀 언급하지 않음.
• 배웠다, 원한다, 믿는다 등
- 방법론적 행동주의자는 유기체의 내적 상태인 심리적 상태를 말해봐야 얻을 것이 없으며 심리학이 할 수 있는 최선은 자극과 행동 사이의 상관관계를 찾는 일이라고 주장함.
• “유기체가 자극 S1, S2, S3, ...을 받는다면 행동 B로 반응하려는 경향을 띨 것이다.”
2.5 방법론적 행동주의 옹호 논증
(Arguments for methodological behaviorism)
■ 방법론적 행동주의 옹호 논증(1) [67-
- 스키너(1980)
• 관찰불가능한 상태와 속성에 관한 이론은 불량 학문임.
• 심적 상태는 직접 관찰할 수 없음
• 그러므로 심적 상태에 대한 이론은 모두 불량과학임.
- 반박: 최상의 과학에 속하는 많은 이론이 관찰불가능한 것을 다룸.
• 예) 물리학자의 전자, 고생물학자의 공룡, 지질학자의 지구 핵 등
- 관찰불가능한 상태에 대한 이론의 도입과 검증은 과학 발전의 토대임.
■ 방법론적 행동주의 옹호 논증(2) [69-
- 1920대에서 50년대까지 행동주의는 동물의 행동을 성공적으로 예측함.
- 그러나 1950년대 말 방법론적 행동주의가 인간의 심리를 잘 다루지 못한다는 것이 명확해짐.
- 1960년대 ‘인지 혁명’으로 심적 상태의 이론화 시작
2.6 방법론적 행동주의 반대 논증
(Arguments against methodological behaviorism)
■ 방법론적 행동주의 반대 논증(1) [70-
- 촘스키: 자극과 단일한 반응을 연결하는 법칙은 없음.(Chomsky 1959)
• 예) 렘브란트의 작품을 감상하는 친구의 반응 범위는 크고 다양할 것임.
- 가능한 반박: 렘브란트의 작품은 단일한 자극이 아니라 큰 자극 집단이며, 각 자극은 다른 반응을 유도함.
• 예) 물감 사용 방식이 일으키는 반응, 원근법의 사용이 일으키는 반응 등
- 촘스키: 행동주의자는 피-실험자의 말을 예측할 방도가 없으며, 그림의 어떤 측면이 어떤 발언을 유발하는지 미리 확인할 방도도 없음.
- 모든 반응이 일정 자극의 통제하에 존재한다는 주장은 근거 없음.
■ 방법론적 행동주의 반대 논증(2) [71-
- 방법론적 행동주의는 우리가 모든 상황에 반응하는 방식은 전적으로 경험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가정함.
• 유기체가 현재 수용하고 과거에 수용한 자극을 알면, 우리는 그 유기체가 어떻게 반응할지 예측할 수 있다는 것.
- 그러나 인간의 일부 언어 반응은 본유적 지식(태어나면서 갖춘 지식)에 의해 결정됨.
• 예) 모든 언어에 공통된 ‘심층’ 문법 지식
(2024.09.24.)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