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3

[심리철학] Jaegwon Kim (2011), Ch 3 “Mind and Behavior: Behaviorism” 요약 정리 (미완성)



[ Jaegwon Kim (2011), Philosophy of Mind, 3rd Edition (Routledge), pp. -.

김재권, 「제3장. 마음과 행동: 행동주의」, 『심리철학』, 권홍우・원치욱・이선형 옮김 (필로소픽, 2023), 105-쪽. ]

3.1 데카르트적 극장과 “상자 속의 딱정벌레”

(The Cartesian Theater and the “Beetle in the Box”)

3.2 행동이란 무엇인가?

(What Is Behavior?)

3.3 논리적 행동주의: 실증주의적 논증

(Logical Behaviorism: A Positivist Argument)

3.4 “폴은 치통을 앓고 있다”에 대한 행동주의적 번역

(A Behavioral Translation of “Paul Has a Toothache”)

3.5 행동주의적 정의의 문제점

(Difficulties with Behavioral Definitions)

3.6 고통은 고통 행동을 함축하는가?

(Do Pains Entail Pain Behavior?)

3.7 존재론적 행동주의

(Ontological Behaviorism)

3.8 고통과 고통 행동 간의 실제 관계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Pain and Pain Behavior)

3.9 심리학에서의 행동주의

(Behaviorism in Psychology)

3.10 행동이 왜 마음에 중요한가?

(Why Behavior Matters to Mind)

3.1 데카르트적 극장과 “상자 속의 딱정벌레”

(The Cartesian Theater and the “Beetle in the Box”)

3.2 행동이란 무엇인가?

(What Is Behavior?)

3.3 논리적 행동주의: 실증주의적 논증

(Logical Behaviorism: A Positivist Argument)

3.4 “폴은 치통을 앓고 있다”에 대한 행동주의적 번역

(A Behavioral Translation of “Paul Has a Toothache”)

3.5 행동주의적 정의의 문제점

(Difficulties with Behavioral Definitions)

3.6 고통은 고통 행동을 함축하는가?

(Do Pains Entail Pain Behavior?)

3.7 존재론적 행동주의

(Ontological Behaviorism)

3.8 고통과 고통 행동 간의 실제 관계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Pain and Pain Behavior)

3.9 심리학에서의 행동주의

(Behaviorism in Psychology)

3.10 행동이 왜 마음에 중요한가?

(Why Behavior Matters to Mind)

(2024.10.0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감상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을 보면서 정말 천운이라는 것이 있는 것인가 싶었다. 주요 대선 주자들은 죄다 자기 발에 자기가 걸려 알아서 자빠졌지, 올망졸망한 잠재적 경쟁자들은 크지 않지, 무언가 안 좋은 것에 많이 얽혀 있는 것은 분명한데 이리저리 잘 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