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자들끼리 발표하는 모임에서 발표 내용에 대해 비평할 때, 다른 사람들이 비평하는 것과 내가 비평한 것을 비교해 보면, 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약간 거칠게 말하는 면이 있는 것 같다. 거칠게 말한다는 것은, 같은 내용인데 강한 표현을 쓴다는 것도 아니고 인신 비방 같은 것을 한다는 것도 아니다. 논평하는 범위가 다른 사람보다 넓고 논리적인 수준이 약간 떨어진다는 것이다. 가령, 다른 사람들이 어느 부분의 논리적인 연결이나 흐름에 대해 논할 때, 나는 그보다는 큰 단위에서 어느 부분부터 어느 부분까지 버리라고 한다든지, 어느 부분은 떼어놓고 석사학위 받은 다음에 생각하라고 말하는 식이다.
나는 왜 이렇게 거칠게 말하는가? 두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내가 대학원에 오래 다니기는 했지만 딱히 추상적인 사고를 하는 데 소질이 없어서다. 안 배워도 되는 게 있고 배워도 안 되는 게 있는데, 나는 추상적이거나 논리적인 사고가 잘 안 되는 것 같다. 하려고 노력하는 데 잘 안 된다. 다른 하나는 어차피 큰 틀에서 다 뜯어고쳐야 하는 판이라 지엽적인 부분의 논리적인 오류를 잡는다고 해결이 안 되는 상황인 경우다. 3분의 2쯤은 떼어내고 3분의 1을 가지고 잘 추슬러야 하는 경우라면, 굳이 떼어낼 부분 가지고 이래라 저래라 해봐야 시간 낭비에 불과하다.
그런데 사람들이 뭘 몰라서 따로 떼어버릴 부분을 가지고 이러쿵 저러쿵 말하는 것도 아니다. 그런 사람들은 대부분 나보다 똑똑하거나 적어도 석사학위를 순탄하게 받았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그렇게 논평하는 것이다. 자기들이 순조롭게 석사학위를 받았기 때문에 남들도 그러리라 생각하고 어떻게든 그 사람이 가져온 것의 원형을 그대로 두면서 그 상태에서 뭔가 미세하게 조정하여 결과물을 이끌어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나처럼 전혀 순조롭지 않게 석사학위를 받은 지난 사람은, 그 못지않게 험한 과정을 겪을 사람을 보면 그 사람이 어떤 일을 겪을지 안다. 그러니 포기할 부분은 빨리 포기하고 남은 부분을 추리라고 하는 것이다.
이런 게 일종의 생존 편향일 수 있다. 전투기든 폭격기든 비행기를 잘 다루는 사람들이 무사히 비행장에 도착했다고 치자. 회피 기동도 잘 하고 하여간 임무 수행을 잘 하고 돌아온 사람들보고 정비사한테 원하는 바에 대해 말하라고 한다면, 꼬리 날개가 어떠니 하는 말을 할지도 모른다. 그들은 치명적인 부위를 피격당하지 않아서 그렇게 말한다. 그런데 나처럼 격추될 뻔하다가 가까스로 비행장에 돌아온 사람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엔진 쪽 장갑은 무조건 두껍게 해주세요. 네? 힘들다구요? 안 돼요! 안 그러면 죽어요!”
노벨상 수상자들은 그들의 지도교수도 노벨상 수상자일 가능성이 높은데, 노벨상 받은 사람이 잘 가르쳐서 학생도 노벨상을 받는 건지, 아니면 노벨상 받을 정도로 뛰어난 학생이라 노벨상 수상자의 지도 학생이 되는 건지는 모른다더라 하는 이야기를 들은 적은 있다. 그런데 그게 나하고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그건 그들 세계의 일일 뿐이다. 석사학위를 받는 것도 어려운 학생을 돕는 일은 그 못지 않게 어려움을 겪었던 사람이 해야 한다. 문제는 그런 학생은 학위 과정을 거치며 학문적으로 다 죽어버리고, 죽은 사람은 말이 없기 때문에, 그런 학생들을 도울 사람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내가 보기에, 좋은 석사학위논문을 쓸 학생이 더 좋은 논문을 쓰게 할 능력은 아직 나에게는 없는 것 같지만, 석사학위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을 학생이 덜 고생하고 석사학위를 받을 수 있는 지침 정도는 내가 다른 사람보다 더 잘 줄 수 있을 것 같다. 지금까지의 흐름을 통해 유추해 볼 때, 내가 어떻게든 가까스로 박사학위를 받게 된다면, 내가 그러한 경험을 살려서 위기에 처한 박사과정생이 숨통을 트이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러자면 일단 내가 박사학위를 받아야 한다. 그런데 내가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을까? 어떻게든 박사학위를 받아야겠다.
(2024.01.04.)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