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6

[인식론] Gettier (1963),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요약 정리



[ Edmund L. Gettier (1963),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Analysis, 23(6): 121-123. ]

■ 논문의 목적 [p. 121]

- 어떤 사람이 주어진 명제를 안다는 것에 관한 필요충분조건을 제시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되어 있음.

(a) S는 P를 안다 IFF

(i) P는 참이다,

(ii) S는 P를 믿는다, 그리고

(iii) S가 P를 믿는 것이 정당화된다.

- 치좀이 제시한 지식의 필요충분조건

(b) S는 P를 안다 IFF

(i) S는 P를 받아들인다,

(ii) S는 P에 대한 적절한 증거를 가진다, 그리고

(iii) P는 참이다.

- 에이어가 제시한 지식의 필요충분조건

(c) S는 P를 안다 IFF

(i) P는 참이다,

(ii) S는 P가 참이라고 확신한다, 그리고

(iii) S는 P가 참이라고 확신할 권리를 가진다.

- 게티어는 조건들이 S가 P를 안다는 명제가 참이기 위한 충분조건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a)는 틀렸다고 논증할 것임.

• 같은 논변은 (b)와 (c)도 실패함을 보여줄 것임.

■ [pp. 121-122]

- 게티어는 두 가지를 지적함.

- 지적(1): 어떤 사람이 실제로는 거짓인 명제를 믿는 것이 정당화되는 것이 가능함.

- 지적(2): S가 P를 믿는 것이 정당화되고, P는 Q를 함축하고, S는 P로부터 Q를 연역하고 Q를 연역의 결과로 받아들인다면, S는 Q를 믿는 것이 정당화됨.

- 게티어는 (a)에서 진술한 조건들이 어떤 명제들에 대하여 참이지만 그 사람이 그 명제를 아는 것이 거짓인 다음과 같은 사례를 제시함.

■ 사례(1) [p. 122]

- 스미스와 존스가 같은 직장에 지원했다고 가정하자.

- 스미스는 다음과 같은 연언 명제에 관한 강력한 증거를 가진다고 가정하자.

(d) 존스는 채용될 것이며, 존스의 호주머니에는 동전 열 개가 있다.

- (d)에 대한 스미스의 증거

• 사장이 결국 존스를 채용할 것임을 스미스가 확신하게 함.

• 스미스가 10분 전에 존스의 호주머니에 있는 동전을 세어보니 열 개임.

- 명제(d)가 함축하는 바는

(e) 호주머니에 동전 열 개가 있는 사람이 채용될 것이다.

- 스미스는 (d)가 (e)를 함축함을 알고, (d)에 근거하여 (e)를 받아들이며 (d)에 관한 강력한 증거를 가진다고 가정하자.

• 이 경우 스미스가 (e)를 참이라고 믿는 것이 정당화됨.

- 그러나 존스가 아닌 스미스가 채용되었고, 스미스는 몰랐지만 그의 호주머니에 동전 열 개가 있다고 해보자.

- 명제(d)는 틀렸지만 명제(e)는 참임.

- (i) (e)는 참이고, (ii) 스미스는 (e)가 참이라고 믿었고 (iii) 스미스가 (e)를 참이라고 믿는 것이 정당화됨.

- 그러나 스미스의 호주머니 속에 있는 동전 수 덕에 (e)는 참이지만 스미스는 그 사실을 몰랐으므로 스미스는 (e)가 참임을 알지 못했다는 것도 명확함.

■ 사례(2) [pp. 122-123]

- 스미스가 다음 명제에 관한 강한 증거를 가진다고 가정하자.

(f) 존스는 포드를 소유한다.

- 증거: 스미스의 기억에서 존스는 과거에 항상 차를 가졌고, 그 차는 포드였고, 존스는 포드에 스미스를 태워주었음.

- 스미스에게 소재를 완전히 잊어버린 브라운이라는 또 다른 친구가 있다고 해보자.

- 스미스는 무작위로 다음과 같은 세 명제를 구성함.

(g) 존스가 포드를 소유하거나, 브라운은 보스턴에 있다.

(h) 존스가 포드를 소유하거나, 브라운은 바르셀로나에 있다.

(i) 존스가 포드를 소유하거나, 브레스트-리토프스크에 있다.

- (f)는 위의 각 명제를 함축함.

- 스미스가 세 명제 각각을 믿는 것은 정당화됨.

• 스미스는 (f)가 각 명제를 함축함을 인식하고, (f)에 기반하여 (g), (h), (i)를 받아들임.

• 스미스는 강한 증거로부터 (g), (h), (i)를 올바르게 추론함.

- 물론, 스미스는 브라운이 어디 있는지 모름.

- 그런데 두 조건이 유지된다고 해보자.

• 조건(1): 존스가 포드를 소유하지 않음.

• 조건(2): 스미스는 몰랐지만 우연히 명제(h)에서 언급한 장소에 정말로 브라운이 있음.

- 두 조건이 유지된다면, (i) (h)는 참이고, (ii) 스미스가 (h)가 참이라고 믿고, (iii) 스미스가 (h)를 참이라고 믿는 것이 정당화된다고 하더라도, 스미스는 (h)가 참이라고 알지 못함.

■ 결론 [p. 123]

- 위의 두 사례는 누군가가 주어진 명제를 안다는 것에 대한 충분조건을 정의(a)가 진술하지 못함을 보여줌.

- 두 사례를 적절하게 변용하면 (b)와 (c)도 그러함을 충분히 보여줄 것임.

(2024.01.22.)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초등학교 셔틀버스의 전원주택 진입로 출입을 막다

전원주택 진입로에 깔린 콘크리트를 거의 다 제거했다. 제거하지 못한 부분은 예전에 도시가스관을 묻으면서 새로 포장한 부분인데, 이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몇 배 두꺼워서 뜯어내지 못했다. 그 부분을 빼고는 내 사유지에 깔린 콘크리트를 모두 제거했다.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