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30
맨발 걷기의 위험성
어머니의 아는 사람의 남편이 맨발로 걷는 게 건강에 좋다고 하여 맨발로 산을 오르다 살모사에게 물려 이틀 간 병원에 입원했다고 한다. 정말 죽을 뻔했다고 한다. 혈액 순환 개선하려다가 다시는 혈액이 순환되지 않을 뻔했다.
작년 추석 때 집 근처에서 살모사를 본 적이 있다. 짜잔한 뱀들이야 많이 봤지만(그래도 볼 때마다 무서워서 몸이 굳는다) 살모사를 정면에서 본 것은 그 때가 태어나서 처음이었다. 나는 뱀이 몸을 지면에 대고 있다가 진동을 느끼고 자기보다 큰 동물이 오면 피한다고 알고 있었고 실제로 내가 본 대부분의 뱀들은 그랬는데, 이 놈의 살모사는 사람을 봐도 도망가지 않고 오히려 몸을 부풀렸다. 알이라도 품고 있었으면 모성 본능 같은 것 때문인가보다 하고 이해하겠는데 그 살모사는 아무 이유 없이 그랬다. 약간 멀리서 쿵쿵 뛰었는데도 살모사는 도망가지 않았다. 무서워서 내가 길을 돌아갔다.
산에서 맨발로 걷다가 뱀에 물린 그 아저씨는 자기의 발걸음 진동에 뱀이 피할 줄 알았다가 뱀에 물렸을지도 모르겠다. 자연이 좋다 좋다 하지만 그건 자연을 적당히 파괴하여 인간에게 유해한 것을 다 치워놓고 나서 좋다고 하는 것이다. 자연을 만만하게 보다가 자연에 묻히는 수가 있으니 항상 조심해야 한다.
(2023.09.30.)
2023/11/29
2023년 추석 사진
올해 추석 인사 때 같이 보낸 사진은 나비 사진이다. 어차피 될 아재라면 차별화된 아재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하고 작년 추석부터 추석 인사 때 달 그림이나 사진 대신 가을의 다른 풍경이나 소품 같은 것을 사진 찍어서 메시지와 함께 보내기로 했는데, 올해 추석에는 마땅한 것이 없어서 호랑나비 사진을 보냈다. 뒤란에 떨어진 홍시를 주워다 방문 앞에 놓았더니 호랑나비가 와서 빨아먹고 있는 것을 사진으로 찍은 것이다.
추석 때 성묘를 하고 집으로 돌아오는데 어머니께서 고구마꽃이 피었다고 하셨다. 산소와 바로 붙어 있는 고구마밭에 고구마꽃이 서너 송이 피었다. 벌초할 때는 고구마꽃이 안 보였는데 성묘 마치고 돌아갈 때 보였다.
고구마꽃은 심하게 덥고 가물 때 피기 때문에 원산지인 아프리카에서는 고구마꽃을 흔하게 볼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몇십 년 만에 한 번 볼 수 있다고 알고 있다. 10년 전쯤에 고구마꽃을 보았을 때는 고구마밭 여기저기에 고구마꽃이 잔뜩 피었었는데 올해는 몇 송이 피지 않았다.
고구마꽃을 사진 찍고 호랑나비 대신 고구마꽃 사진을 보낼 걸 그랬나 싶었는데, 막상 찍은 것을 보니 고구마꽃이라고 해도 별 게 없었다. 내년에는 조금 더 예쁜 사진을 찍기로 했다.
(2023.09.29.)
2023/11/28
[경제학] Canova and Sala (2009), “Back to square one: Identification issues in DSGE models” 요약 정리 (미완성)
[ Fabio Canova and Luca Sala (2009), “Back to square one: Identification issues in DSGE models”,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6(4): 431-449. ]
1. Introduction
2. A few definitions and an example
2.1. The role of the objective function
2.2. The mappings from the structural parameters to the sample objective function
2.3. The problems
2.4. Two common but problematic solutions
2.5. Summary and remedies
3. Population identification issues in a prototype DSGE model
3.1. The model
3.2. Some graphical evidence
3.3. The size of the weak identification region
3.4. Summary
4. Identification and the sample objective function
4.1. The results
4.2. Are there alternatives?
4.3. Conclusion
5. Detecting the source of the problems
5.1. Theoretical considerations
5.2. Practical issues
5.3. An application
6. Conclusions and practical suggestions
1. Introduction
2. A few definitions and an example
2.1. The role of the objective function
2.2. The mappings from the structural parameters to the sample objective function
2.3. The problems
2.4. Two common but problematic solutions
2.5. Summary and remedies
3. Population identification issues in a prototype DSGE model
3.1. The model
3.2. Some graphical evidence
3.3. The size of the weak identification region
3.4. Summary
4. Identification and the sample objective function
4.1. The results
4.2. Are there alternatives?
4.3. Conclusion
5. Detecting the source of the problems
5.1. Theoretical considerations
5.2. Practical issues
5.3. An application
6. Conclusions and practical suggestions
(2024.06.09.)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
-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김누리 교수는 <세바시>에서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요구하는 내용의 강연을 했다. 강연 서두에서 김누리 교수는 어떻게 아동 우울증이 가능하냐고 묻는다. 어떻게 아이 앞에 우울이라는 말이 붙을 수 있느냐, 이건 검은 백마 ...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 지도교수와의 첫 만남 - 지도교수: “네 이론은 무엇인가?” - 김정운: “선생님 이론을 배우러 왔습니다.” - 지도교수: “남의 이론을 요약하는 것으로 학위 논문을 쓸 수 없다. 네가 제시하고 싶은 이론의 방향을 생각해서 다시 오라.” ...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이번 학기 강의 평가가 나왔다. 그럭저럭 나쁘지 않게 나왔다. 학부 수업에서 강의 평가 평점 테러를 당했던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종종 들었는데, 다행히 나는 그런 것을 안 당했다. 첫 학부 수업을 무사히 마쳤다. 나는 수업에서 무리해서 진도를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