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31
[한시] 이백 - 월녀사(越女詞)
2022/07/30
[한국 가요] 캐스커 (Casker)
캐스커 - 향 [온스테이지]
( www.youtube.com/watch?v=yz65gTweCeE )
캐스커 - 꼭 이만큼만 [온스테이지]
( www.youtube.com/watch?v=L-tuKezAciU )
(2022.09.23.)
[경제학의 철학] Kincaid (2012), “Some issues concerning the nature of economic explanation” 요약 정리 (미완성)
[ Harold Kincaid (2012), “Some issues concerning the nature of economic explanation”, in Uskali Mäki (ed.)(2012), Philosophy of Economics: Handbook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13 (North Holland), pp. 137-158. ]
1. Some Controversies about Explanation
2. Formal Criteria for Explanation in Economics
3. Theoretical Entities and Explanation
4. When Do Models Explain?
5. Macro and Microexplanation
6. Functional Explanation and Evolutionary Economics
7. The Nature of Economic Causes
8. Conclusion
137
2절: 경제학의 설명에 관한 순수하게 형식적인 해명들을 살펴봄
3절: 경제학은 관찰불가능한 존재자와 관련된 설명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논변을 살펴봄
4절: 거시 대 미시 설명을 둘러싼 쟁점들
5절: 모형이 비-실재적이면서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6절: 특히 진화적 게임 이론에서 기능적 설명과 선택주의적 설명
7절: 경제학의 표준 회귀 모형이 제기하는 인과에 관한 존재론적 가정들
1. Some Controversies about Explanation
137
연역 법칙적 모형
137-138
비판들
138
원인을 언급하는 것이 설명이라는 것
138
통합(unification)과 관련하여 설명을 해명하는 것
킨케이드의 의심은 그러한 해명이 헴펠의 프로젝트가 새 옷을 입은 것 아니냐는 것
138-139
키처의 해명에 관한 수많은 의심들
2. Formal Criteria for Explanation in Economics
140
솔로우 모형
원래의 솔로우 모형은 환영받지 못한 결과를 가짐
개발도상국에 투자하는 것이 선진국에 투자하는 것보다 더 큰 대가로 돌아온다는 것
이는 증거가 없음
141-142
3. Theoretical Entities and Explanation
4. When Do Models Explain?
147
모형이 비-실재적이라도 해도 실제 원인들을 골라낸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5. Macro and Microexplanation
147-148
가능한 주장들
148
이론 환원에 관한 주장으로서 개체주의는 매우 정교하게 상세화될 수 있음. 과학사와 과학철학에서 상당한 문헌들이 있기 때문
148-149
환원의 잠재적 방해물
1. 복수 실현
2.
6. Functional Explanation and Evolutionary Economics
7. The Nature of Economic Causes
8. Conclusion
(2023.05.16.)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만화로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
-
대학원에는 학위를 받으면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주변 사람에게 주는 풍습이 있다. 예전과 달리 오늘날에는 논문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공개되지만 여전히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나누어주는 풍습이 남아있다. 어떤 행동 유형이 관례로 자리 잡으면 그 자체로 관성을...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
-
지난 주 사랑방 욕실 벽에 청개구리가 붙어 있었다. 언제 어떻게 들어왔나 모르겠다. 작년 여름에 창문 틈으로 청개구리가 들어온 적이 있기는 한데, 그래도 작년에 들어온 청개구리는 아닐 것이다. 그런데 청개구리가 올해 들어왔다고 해도 이상하다. 내가 창...
-
용의 꼬리와 뱀의 머리 중 어느 것이 좋은가? 용의 꼬리가 낫다. 뱀의 머리라고 나 잘났네 해보아야 땅꾼한테 잡히면 뱀술이나 뱀탕이 된다. 용은 아무도 건드리지 않는다. 용들끼리 꼬리 걸고 도박하다가 꼬리가 작두에 잘리는 게 아닌 이상 용의 꼬리가 낫...
-
한국 가요에 등장하는 곤충 중에 가장 고통받는 곤충이 있다면 아마도 반딧불이(개똥벌레)일 것이다. 1980년대에 나온 신형원의 <개똥벌레>나 2020년대에 나온 중식이의 <나는 반딧불>에는 모두 고통받는 곤충으로서 반딧불이가 등장...
-
고등학교 사회탐구 <윤리와 사상>에서는 헤겔 변증법도 가르친다. 놀라운 일이다. 나는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했지만 헤겔이 무슨 말을 했는지는 전혀 모르고, 다만 철학 전공자들을 괴롭혀온 나쁜 놈이라고만 알고 있다. 대학원도 철학과로 왔지만...
-
올해는 구찌뽕나무 가지를 말려보았다. 구찌뽕나무는 잎, 가지, 열매, 뿌리를 모두 약재로 쓸 수 있다고 한다. 구찌뽕나무 가지의 효능으로는 항암 효과, 숙취 해소, 당뇨 개선, 노화 방지, 신경통, 관절염, 요통, 기타 여성질환 완화 등이 있다고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