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1/31

[외국 가요] 이너 써클 (Inner Circle)

  

Inner Circle - Sweat (A La La La La Long)

( www.youtube.com/watch?v=5M65q33b6hc )

(2023.09.19.)

[강연] 민승기 교수

  

[플라톤 아카데미] 슬라보예 지젝 - 라깡과 헤겔 사이 (민승기 교수)

( www.youtube.com/watch?v=oELjR67NzHA )

[두산인문극장 2014] 오, 나의 친구들이여 친구란 없다 (민승기 교수)

( www.youtube.com/watch?v=Gu6280GgcZ0 )

(2018.02.04.)

2018/01/29

방과후 학교 기말고사 문제

     

방과후 학교 기말고사 문제를 학교에 제출했다. 학생부 내신에 들어가는 과목이라고 한다. 해당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대체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으면서도 전부 100점을 받게 해서는 안 되며 그러면서도 나름대로 변별력이 있게끔 문제를 출제해야 한다고 했다. 학교에서 요구한 대로 객관식으로 스물여덟 문제를 만들었다. 내가 만든 문제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문제) 포퍼는 과학과 사이비과학의 구획 기준을 ‘◯◯가능성’이라고 했다. ◯◯은 무엇인가? 


① 반증

② 검증

③ 입증

④ 확증

⑤ 통증


이번에 내가 만든 문제는 다 이런 식이다.

(2017.11.29.)


2018/01/27

마음 속에 사는 새 한 마리



어떤 사람이 말했다. “나는 안 좋은 이야기를 들으면 또 쉽게 상처를 받는다. 왜 그러는지 모르겠다. 내가 보기와 달리 마음이 매우 여리다. 꼭 마음에 작은 새가 한 마리가 사는 것 같다.”

나는 그 새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었고 그 사람은 모른다고 했다. 나는 이렇게 물었다. “제가 새에 관해서 잘 모릅니다만, 그 새 이름이 혹시 ‘십새’ 아닙니까?”

두 사람은 큰 소리로 웃었다.





(2017.11.27.)


2018/01/25

자연과 더불어 산다는 것

   

10년 전 내가 학부를 다닐 때, 서양 철학의 시대는 끝났고 동양 철학이 대안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런 사람들은 서구의 자연관과 동아시아의 자연관을 비교하며 자연에 투쟁적인 서양 철학이 현대 사회에 문제를 일으켰으므로 자연과 더불어 살고자 한 동양 철학이 그 대안이라고 했다. 그들이 근거로 제시한 건 서구 사람들이 말 몇 마디 험하게 한 것과 동아시아 사람들이 예쁜 문구 몇 개 만든 것이었다. 그 때는 일반인은 물론이고 일부 동양철학 교수들도 그런 멍청한 소리를 하던 시절이었다.

자연과 더불어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집 주변에 등 굽은 소나무가 몇 그루 있고 새가 짹짹 울고 다람쥐가 왔다 갔다 하는, 사람이 살만한 곳에서 사는 것이다. 멧돼지가 산에서 튀어나와서 농작물을 다 헤집어놓고 호랑이가 갓난아이를 물어가고 맹금류가 가축을 공격하고 늪지에서 튀어나온 아나콘다하고 코브라 트위스트를 하는 것이 아니다. 자연과 더불어 산다는 것은 인간이 사람 손 타지 않은 원시림에서 인간이 야생 동물처럼 사는 것이 아니며 생존을 위해 자연과 투쟁을 벌이는 것도 아니다. 인간에게 위협이 되지 않는 정도로 정돈된 자연을 적절히 이용하며 사는 것을 말한다. 자연과 더불어 산다는 이야기를 할 정도면 자연을 이미 어느 정도 개발해서 먹고 살만한 상태인 것이다.

신석기 시대 수준의 농사만 짓기 시작해도 해당 지역의 생물 종은 급감한다. 인간에게 필요한 몇 가지 작물만 남기고 나머지는 다 태워 없애니 인간이 키우지 않는 생물들은 살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숲에 불을 지르고 늪을 메우며 농경지를 만들고 마을을 만드는 것이 모두 환경 파괴다. 동아시아 사람들이 그런 환경 파괴를 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것은 이미 몇 천년 전에 환경을 파괴해서 사람이 살만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은대에는 중국에도 밀림이 있었고 심지어 코끼리도 살았다. 고대 중국 사람들이 밀림을 없애면서 코끼리는 중국 남부 지방으로 밀려났고 강남을 개발하면서 농경지와 주거지가 확대되며 코끼리의 서식지는 줄어들었다. 자연과 더불어 살기를 좋아한다는 동아시아 사람들은 그렇게 코끼리를 멸종시켰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중국 고대 문헌에 살벌한 이야기가 등장하는 때는 밀림이 중국을 뒤덮을 때이고 문헌에 슬슬 예쁜 문구가 등장하는 시기는 밀림이 작살나고 사람이 살만해지기 시작할 때라는 점이다. 즉, 동아시아 사람들이 태평한 소리를 문헌에 남겨놓은 것은 그들이 자연 친화적이어서가 아니라 자연을 파괴한 대가로 살만한 환경을 얻었기 때문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동양 철학이 서양 철학의 대안이라는 일부 동양 철학 교수들은 동양사에 대한 상식도 없으면서 철학책에 나오는 몇 마디가 사람들의 정신을 지배해서 자연과 더불어 사는 문명이 만들 수 있다는 몽상을 한 것뿐이다.

지금도 자연과 더불어 살겠다는 사람들은 전원주택을 만들며 자연을 파괴하고 있다. 인구밀도 낮고 녹지가 조성된 곳에서 살고 싶어 하는 것은 동아시아 사람들이 자연과 더불어 살고자 해서가 아니라 인간의 본능이 그렇기 때문이다. 서구 사람들도 먹고 살려고 자연을 파괴한 것이지 자연을 보면 기분이 나빠서 그랬겠는가. 그까짓 말 몇 마디 예쁘게 만드는 것이 뭐가 그리 대단한 일이라고 동양적 가치를 운운하는지 모르겠다. 나도 그 정도 문구 정도는 쉽게 만들어줄 수 있다.

(2017.11.25.)

2018/01/24

[과학기술학] MacKenzie (1994), “Computer-related accidental death: an empirical exploration” 요약 정리 (미완성)

  

[ Donald MacKenzie (1994), “Computer-related accidental death: an empirical exploration”, Science and Public Policy, 21(4): 233-248. ]

1. Definition of terms

1.1. Death

1.2. Accidental

1.3. Computer

1.4. Related

2. Method

3. Overall data

4. Physical causes

5. Software error

6. Human-computer interaction

6.1. Medical

6.2. Military

6.3. Air

6.4. Robot-related

6.5. Other automated industrial plant

7. Conclusions

7.1. How safe are computers?

7.2. Need for systematic data collection

7.3. The technical and the human

7.4. Self-negating prophecies

p. 233

컴퓨터 시스템은 얼마나 안전한가?

p. 233

논문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치명적인 사고에 관한 경험적 조사에 무엇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살펴보는 것

1. Definition of terms

p. 234

‘computer-related accidental death’의 정의는 무엇인가?

1.1. Death

p. 234

1.2. Accidental

p. 234

1.3. Computer

1.4. Related

p. 235

2. Method

3. Overall data

p. 239

4. Physical causes

5. Software error

p. 240

- safety-critical computing에 관한 논의는 소프트웨어 오류와 data set에 초점을 맞춤

6. Human-computer interaction

6.1. Medical

6.2. Military

6.3. Air

6.4. Robot-related

6.5. Other automated industrial plant

7. Conclusions

7.1. How safe are computers?

p. 244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데이터는 불충분하기는 함

p. 245

p. 245

- 디지털 컴퓨터가 상대적으로 새로운 위험을 도입한다는 주장도 있다.

- software-controlled systems은 논리적으로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시스템의 복잡성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설계상 결함을 숨기는 위험을 늘림

7.2. Need for systematic data collection

7.3. The technical and the human

p. 245

컴퓨터와 관계된 사망 사고가 설계 결함에 의해서만 일어난 경우는 드물다.

p. 246

multi-causality

페로가 system accidents라고

p. 246

- Rochlin (1991): “intensive computerisation은 기술과 인류의 관계를 바꿀 수 있다.”

p. 246

전통적인 해군 함정이나 전투기에서, 인간은 정보 운용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

컴퓨터화된 상황에서, 자동화된 시스템은 중요해짐

인간의 궁극적인 통제는 여전히 그러한 시스템에서 남아 있지만,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인간의 책임은 줄어듦

p. 246

danger는 stress와 routine 모두에서 온다.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p. 246

컴퓨터 시스템을 안전하게 더 안전하게 만들려면, 컴퓨터 시스템의 기술적인 측면만 강조하는 것보다 컴퓨터가 ‘실제 세계’에서 작동할 때의 인식적이고 조직적인 측면도 강조해야

심리학자와 조직 분석가가 컴퓨터 과학자와 같이 해야

p. 246

타이타닉 효과: 시스템을 더 안전하다고 믿을수록, 일어날 수 있는 사고는 더 재앙적이다.

7.4. Self-negating prophecies

p. 246

많은 맥락에서, 컴퓨터는 인간을 더 안전하게 함

예) 산업에서의 자동화

p. 247

우리가 컴퓨터가 안전하다고 믿으면 우리는 컴퓨터를 위험하게 만들 수 있다.

우리가 컴퓨터를 위험하다고 믿으면 우리는 컴퓨터를 더 안전하게 만들 수 있다.

(2017.06.21.)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