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1/28

[인식론] 슈토이프 (2008), 제5장 “토대론” 요약 정리 (미완성)


[ Matthias Steup (1996), An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Epistemology (Prentice-Hall)

마티아스 슈토이프, 「제5장. 토대론」, 『현대 인식론 입문』, 한상기 옮김 (서광사, 2008) ]

후퇴논증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기초 믿음 - 후퇴 종론자

(1) 후퇴논증이 잘못되면 회의주의로 빠진다.

(2) 정합론에서는 후퇴지점으로 돌아올 수 있다고 한다. 이를 토대론자는 순환적 후퇴라고 비판한다. (단선적 정당화 ↔ 전체론적 정당화)

(3) 토대론은 정합론과 회의주의에 반대해야 한다.

레러: 스스로 정당화되는 믿음이어야 기초믿음이다.

이는 자기 정당화의 문제이다.

의심 불가능성, 오류 불가능성, 확실성이 필요하다.

그런데 경험이 잘못되는 경우가 있다.(지각적 믿음)

정당화에 대한 토대론의 설명

(1) 믿음을 기초 믿음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 오류 불가능한 믿음

(2) 정당성이 어떻게 기초 믿음에서 비기초 믿음으로 옮겨지는가? - 연역적으로 도출

토대론자도 정합성이 믿음에 기여하는 것을 안다.

(2023.04.19.)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