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15

오타쿠는 왜 좋은 연구자(또는 교수)가 못 되는가

   
협동과정 격언 중에 “오타쿠는 좋은 연구자(또는 교수)가 되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왜 오타쿠는 좋은 연구자가 되지 못하는가. 그 격언을 말해준 사람에게 그 이유를 물어보았으나 그 사람도 그 이유까지는 몰랐다.
  
얼핏 보았을 때는 오타쿠나 연구자나 별반 다르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둘 사이에는 결정적인 차이점이 있다. 나는 오타쿠가 좋은 연구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추측한다.
   
오타쿠는 이미 알려진 지식이나 정보에 만족한다. 자기가 알고 있든 다른 사람이 알고 있든, 세상에 이미 알려진 것까지만 관심이 있다. 아무리 잡다하게 많이 알아도 딱 거기까지다. 그래서 그런지 오타쿠들을 보면 하나 같이 신이 나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들은 하나를 알아도 좋고 둘을 알아도 좋고 마냥 좋다. 오타쿠들끼리 누가 더 오타쿠인지 대결을 벌이다 자존심에 상처를 입을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 알고 있는 것에서 자족적인 즐거움을 느끼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게 즐거워 죽겠으니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을 물고 빨고 좋아하기나 하지 그 이상을 나아가지 않는지도 모르겠다.
  
연구는 알려지지 않은 것에서 시작된다. 이미 알려진 것이 맞는 것인지, 알려진 것 사이에 빠져있는 빈 칸에는 무엇이 들어가야 하는지를 탐구한다. 아무리 흥미로운 것이어도 남들이 뻔히 아는 것을 모아놓기만 하는 것은 연구가 아니다. 나도 모르고 남도 모르고 아무도 모르는 것을 알아내야 연구가 된다. 그래서 그런지 연구자들에게는 오타쿠들에게서 보이는 위험해 보이는 흥분 같은 것이 보이지 않는다. 답이 무엇인지, 답이 있기는 있는지 모르는 판에 그런 이상한 흥분을 느낀다면 무언가가 이상한 사람일 것이다. 열 개를 알아도 답이 안 나오고 열한 개를 알아도 답이 안 나오니 괴로울 수밖에 없다. 아무리 많이 알아도 답이 안 나오면 연구가 아니다. 어쩌다 가닥이 잡히나 싶으면 잘 나가는 놈이 와서 그거 아니라면서 훨씬 좋은 논문을 내놓아서 쓰던 논문을 엎어버리게 만드는 판이다. 그래서 웬만큼 잘 나가지 않는 이상 마냥 좋아하기도 힘들 것이다.
  
오타쿠처럼 어떤 것에 대해 과한 관심이나 애착을 보이다가 연구자가 되는 경우도 있기는 있겠지만, 관심과 애착이 강해지기만 한다면 정상적인 연구자가 되지는 못할 것이다. 어떤 것을 잘 모으다 보면 다른 연구자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할 수도 있겠지만 어떤 것을 모으는 것 자체가 연구는 아니다. 몇 년 전에 어떤 대학원생이 젠체하며 좋은 연구자가 되려면 오타쿠가 되어야 한다고 나에게 말한 적이 있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개소리인 것 같다. 그 대학원생은 연구를 잘 하고 있으려나.
  
  
* 뱀발: 내가 예전에 고등학교에 아르바이트하러 가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왜 오타쿠는 좋은 연구자(또는 교수)가 되지 못하는지 물어본 적이 있다. 학생들이 어떤 대답을 할지 궁금했다. 내가 생각한 것이 정답은 아니지만 내가 생각한 것과 비슷한 답변을 하거나 내가 생각한 것보다 더 좋은 답변을 하면 책 한 권을 선물로 주겠다고 했다. 나는 학생들이 전혀 엉뚱한 이야기를 할 줄 알았는데 시작한 지 몇 분 되지도 않아 어떤 학생이 내가 생각한 것과 거의 비슷한 대답을 했다. 어떻게 알았을까. 주변 학생들이 말해주었다. 그 학생이 오타쿠라고. 그 다음 시간에 나는 약속대로 그 학생에게 책 한 권을 주었다. 그 학생이 좋은 연구자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오타쿠의 한계를 직시하는 좋은 오타쿠가 될 만한 학생이었다.
  
  
(2020.01.15.)
     

2020/03/14

농담 잘하는 아저씨가 되고 싶다

   
방송인 중에 데뷔 초에 시시껄렁한 이야기로 인기를 끌다가 연차가 쌓이면서 정치나 시사로 분야를 바꾸는 사람들이 있다. 꼭 그래야 하나 싶다. 물론, 방송 수명을 늘리기 위한 특단의 조치라고 한다면 이해 못할 것도 아니겠지만, 나이 든 사람에 대한 기대치 때문에 그러는 것이라면 유감스러운 일이다. 그들 중 대부분은, 정치나 시사에 대한 전문성도 없으면서 이전에 보여주었던 유머와 해학을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중년 남성에 대한 어떠한 기대가 있는 것 같기는 하다. 가령, 중년 남성에게는 세상일에 대해 한두 마디쯤 할 수 있는 지식이나 경륜 같은 것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지식을 갖추면 좋겠지만 실제로 그러한 지식을 갖춘 사람은 드물다. 세상 즐거울 일 없는 아저씨나 할아버지들이 하루 종일 신문 보고 뉴스 본다고 해서 교양 있는 사람이 되거나 지적인 사람이 되지 않는다. 그런 아저씨들이나 할아버지들의 지적 수준의 최대치는 <김어준의 뉴스공장>이나 <정규재TV> 정도다. 아저씨들이나 할아버지들이 아는 척 안 하고 똥폼만 덜 잡아도 훨씬 품위 있는 아저씨나 할아버지가 될 수 있다. 방송인이라고 해서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다. 나이 좀 먹었다고 모르던 것을 저절로 알게 되는 것도 아닌데, 왜 아는 척 하고 똥폼을 잡는가.
    
남들 연애사에 대해 명언 몇 마디로 이러쿵저러쿵 한 것으로 떴다고 하자. 머리가 새하얗게 될 때까지 명언을 모으는 것이다. 미국 명언, 프랑스 명언, 일본 명언, 그렇게 계속 명언을 찾고 찾다가 나중에는 고대 그리스 명언, 메소포타미아 명언, 고대 그리스 명언, 갑골문에 나오는 명언, 그렇게 계속 찾다가, 방송에서 안 불러주면 대학원 가서 명언 연구로 학위를 받는 것이다. 여자 꼬시는 법으로 떴다고 하자. 허리가 꼬부라질 때까지 여자 꼬시는 이야기를 모으는 것이다. 10대 여자 꼬시는 법, 20대 여자 꼬시는 법, 30대 여자 꼬시는 법, 40대 여자 꼬시는 법, 그렇게 70대 여자 꼬시는 법까지 수집하는 것이다. 반세기 가량 이야기를 모으면 사료적 가치가 지닌 문헌을 남길 수도 있다. 시대가 시대이니만큼 정치적으로 올바른 여자 꼬시는 법, 페미니즘에 부합하는 여자 꼬시는 법으로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왜 나이를 먹으면 재미없고 심각한 이야기를 해야 하는가? 쥐뿔 잘 알지도 못하면서 왜 심각한 표정으로 개소리를 해야 하는가?
  
이런 측면에서 보면, 원로 코미디언들은 존경스러운 면이 있다. 그들은 70대, 80대가 되어서도 젊어서 하던 코미디를 한다. 코미디 소비층이 바뀌었지 그들의 기량은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 코미디언 한무는 어쩌다 방송에 나오면 사람 입으로 낼 수 있는 온갖 방귀소리를 모사한다. 뽀빠이 이상용은 지금도 수첩에 유머를 수집해 놓는다고 한다. 뽀빠이 이상용이 하는 개그 중 일부는 지금 들어도 재미있다.
  
나도 곧 있으면 마흔 살이 될 것이다. 나이 먹었다고 진중한 척 한다고 괜히 내 수준을 넘어서는 되도 않는 이야기는 하지 않을 생각이다. 실없는 농담을 썩 잘 하는 아저씨가 되었으면 좋겠다. 주변 사람들하고 하하호호 웃고 떠들고 살면 됐지, 유식한 척 해봐야 다 들통 나는 거 굳이 그래야 하나 싶다. 유시민에 따르면, 사람은 60살이 되면 뇌가 썩기 시작한다고 한다. 정말로 뇌가 썩어서 농담을 재미있게 할 수 없게 된다면, 젊은 사람들 앞에서 농담 안 하고 나하고 비슷하게 늙은 사람들 앞에서 농담을 하면 될 것 같다. 치매가 오기 전까지는 동년배들이 재미있어할만한 농담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2020.01.14.)
     

2020/03/13

[물리학] Geroch (1978), Ch 1 “Events and Space-Time: The Basic Building Blocks” 요약 정리

   
[ Robert P. Geroch (1978), General Relativity from A to B (The University of Chicago), pp. 3-10.
  로버트 게로치, 『로버트 게로치 교수의 물리학 강의』, 김재영 옮김 (2003, 휴머니스트), 25-37쪽, 1장. 「사건과 시공간: 기본적인 틀」. ]
  
  
■ [pp. 3-5, 25-28쪽]
- 사건: 물리적 세계에서 발생하는 일을 시간의 폭이나 공간의 크기(extension)를 갖지 않도록 이상화한 개념. 
- 두 사건이 일치한다는 것은 두 사건이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서 일어난다는 것
- 사건은 실재인가, 실재라면 어떤 종류의 것인가? 물리학은 그러한 문제를 다루지 않음.
- 여기서 물리학의 관심사는 사건들 사이의 관계

■ 아리스토텔레스 관점 [pp. 5-6, 28-31]
- 사건은 그것이 발생한 시간과 공간에서 가지는 위치로 특정 지어짐.
- 공간은 x, y, z의 직교 좌표계로 표현할 수 있음.
- 각 좌표에 동조화(synchronized)된 시계가 있다고 가정하면, 어떤 지점에서 사건이 일어s라 때 그 점에 있는 시계를 확인하여 사건의 시각을 정의할 수 있음.
- 사건에 대한 기록은 x, y, z, t의 값으로 주어짐.
• x, y, z,는 공간의 위치, t는 사건이 일어난 시각.

[pp. 6-8, 31-33쪽]
- 고정된 두 사건이 있을 때 다음과 같은 질문들은 유의미한가?
- 질문(1): 두 사건은 공간에서 같은 위치를 차지하는가?
• 유의미한 질문.
• 두 사건이 같은 위치에 있다는 것은 x₀=x₀′, y₀=y₀′, z₀=z₀′라는 것임.
- 질문(2): 두 사건은 동시에 일어났는가?
• 유의미한 질문.
•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났다는 것은 t₀=t₀′라는 것임.
- 질문(3): 두 사건의 거리는 무엇인가?
• 유의미한 질문.
• l² = (x₀-x₀′)² + (y₀-y₀′)² + (z₀-z₀′)²
- 질문(4): 두 사건의 경과 시간은 무엇인가?
• 유의미한 질문.
• l= t₀-t₀′
- 아리스토텔레스 관점에서 유의미한 일상의 개념의 예
• “이 입자는 정지해 있는가?”
• “이 입자의 빠르기는 얼마인가?”
- 상대성 이론의 관점에서 위의 질문은 모두 유의미하지 않음

[pp. 8-10, 33-37쪽]
- 특정 사건의 위치와 시간을 극한으로 줄이면 그 사건은 시공간에서 부피나 면적을 가지지 않는 점으로 대응시킬 수 있음.
예) 한 입자가 있다면 위치는 없으나 시간의 폭을 가진 ‘세계선’으로 표현할 수 있음.


- 세계선: ‘무엇’의 모든 사건들을 정확히 지나가며, 중간에 갈라지지 않는 곡선.

  
- 두 사건의 세계선이 만난다는 것은 두 입자의 충돌로 해석할 수 있음.
  
  
(2018.10.26.)
     

2020/03/11

진작 그 말을 하지

   
동료 대학원생 중에 학부에서 생명과학을 전공한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이 아는 사람 중에 뇌 과학 연구자가 있는데 철학 논문을 읽는다고 했다. 그 말을 듣고 나는 의심이 들었다.
  
- 나: “과학 하는 사람이 철학 논문을 읽어요? 그냥 취미 생활로 그러는 게 아니라 연구 때문에 그렇다는 거잖아요? 혹시 뇌과학이 과학으로서 덜 정립되어서 그런 거 아니에요?”
- 대학원생: “그런 건 아닌데 [...] 그 분이 심리학과 철학을 같이 전공했어요.”
- 나: “못 믿을 사람이구만. 심리학을 해도 못 믿겠고 철학을 해도 못 믿을 판인데, 심리학에 철학을 같이 했다면 더 못 믿을 사람이구만.”
- 대학원생: “그 분이 세 번째로 쓴 논문이 <사이언스>에 실렸어요.”
- 나: “아, 내가 모르고 오해했네요. 진작 그 말을 하지.”
  
뒤에서 대화를 듣던 다른 대학원생이 배를 잡고 웃었다. 라투르 책에 등장한 사례와 거의 똑같은 대화를 눈앞에서 보니 웃음을 참을 수 없다고 했다. 라투르의 『젊은 과학의 전선』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 갑(예전 논쟁을 재개하는 듯이 대화한다): “왜소증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이 있다는데, 너는 어떻게 생각해?”
- 을: “새로운 치료법? 어떻게 알아? 그냥 네가 지어낸 거잖아.”
- 갑: “잡지에서 읽었다고.”
- 을: “설마! 컬러판 부록에 있었나 보구나.”
- 갑: “아니, <타임스>(The Times)였고, 기사를 쓴 사람은 기자가 아니고 박사 학위 소유자였어.”
- 을: “그게 무슨 상관이야? 그 사람은 RNA와 DNA의 차이도 모르는, 어쩌면 직장을 못 구한 물리학자일 수도 있어.”
- 갑: “그렇지만 그 사람은 노벨상을 받은 앤드류 섈리와 동료 여섯 명이 <네이처>(Nature)에 쓴 논문을 인용했어. 그것은 국립보건원(NIH)과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같이 거대 기관들의 지원을 받은 대규모 연구였어. 그 논문은 성장 호르몬을 분비하는 호르몬의 염기 서열이 무엇인지를 밝혀냈어. 이건 의미 있는 일 아닌가?”
- 을: “어, 그럼 처음부터 네가 그렇게 말했어야지. 그렇다면 달라지지. 그래, 뭔가 의미 있는 일이겠네.”(68-69쪽).
  
라투르가 글을 개떡 같이 써서 그렇지 통찰력 있는 연구를 한다는 데는 많은 사람들이 동의한다고 한다.
  
  
* 참고 문헌: 라투르, 『젊은 과학의 전선』, 황희숙 옮김 (아카넷, 2016).
  
  
(2020.01.11.)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