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02

[과학철학] 이상욱 (2006), “대칭과 구성: 과학지식사회학의 딜레마” 요약 정리 (미완성)



[ 이상욱 (2006), 「대칭과 구성: 과학지식사회학의 딜레마」, 『철학적 분석』 14호, 67-93쪽. ]

1. 머리말

2. 초점을 흐리는 비판 걷어내기

3. 대칭적 연구방법의 힘과 대가: 사회과학으로서 과학지식사회학?

4. 구성의 힘과 대가: 철학으로서의 과학지식사회학?

5. 맺음말

1. 머리말

68

과학지식사회학(SSK: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

과학지식사회학이 사회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머튼식의 전통적 과학사회학이 사회학에서 차지하던 비중보다도 상대적으로 작음.

과학지식사회학이 과학기술학(STS: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큼.

68-69

과학지식사회학의 주요 연구자들은 원래부터 철학적인 주제에 큰 관심을 가졌음.

콜린스: 주요 저작이 회의주의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시작함.

블로어: 오랜 기간 비트겐슈타인을 해석하는 문제에 매달려 있었음.

반즈: 토마스 쿤 과학철학의 방법론적 함축에 대한 책을 씀.

70

- 이상욱의 주장: 과학지식사회학의 연구방법 중 특별히 과학지식을 대칭적(symmetric)이고 구성적(constructive)으로 분석하는 것이 그들로 하여금 딜레마에 봉착하게 함.

2. 초점을 흐리는 비판 걷어내기

71

- 잘못된 비판(1): 과학지식사회학자들이 반-과학적(anti-scientific)이라는 것

주로 과학자들이 내리는 평가

73

- 잘못된 비판(2): 과학지식사회학자들이 자신들이 잘 모르는 주제에 대해 함부로 말함.

과학논쟁에 관련된 전문적 내용에 대해 올바로 파악하지도 못한 채 함부로 섣부른 상대주의적 결론을 이끌어낸다는 것

74

해리 콜린스는 성공적인 과학사회학자가 되려면 ‘기여적 능력’은 아니더라도 ‘소통적 능력’은 반드시 획득해야 한다고 함.

기여적 능력(contributive competence): 과학연구에 핵심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

소통적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전문가들에게조차 도움이 되는 제안을 할 수 있는 능력

3. 대칭적 연구방법의 힘과 대가: 사회과학으로서 과학지식사회학?

75

블로어

대칭(symmetry): 현재 참이라고 믿는 지식이나 현재 거짓으로 결론이 난 지식 모두 동일한 인과적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그것의 전파와 수용을 설명해야 한다는 원칙

76-

대칭적 연구는 현재 참이라고 믿는 지식과 현재 거짓으로 판단된 지식 모두를 동일한 (사회적) 인과과정으로 설명하려고 하기 때문에 과학 현상에 대한 인과적 설명에 있어서 일종의 통일성을 확보할 수 있음.

79

프리드만은 좀 더 원론적 관점에서 블로어의 비트겐슈타인 독해를 비판함.

81-82

과학지식사회학자들이 자신들의 작업을 철학으로 인정하는 순간 그들의 작업은 과학사의 연구 결과가 지닌다고 생각되는 중립적 자료로서의 역할을 잃게 됨.

대칭적 연구방법론과 관련된 과학사회학의 첫째 딜레마

82

과학지식사회학자들의 철학적 논의는 종종 현대 철학의 진전된 논의를 무시한 채 덜 세련된 허수아비를 공격함.

4. 구성의 힘과 대가: 철학으로서의 과학지식사회학?

89

둘째 딜레마

과학지식사회학의 지적 참신함과 매력은 과학지식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대담한 주장에 거의 담겨있음.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여러 면에서 과학지식사회학자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강하게 주장할 수 없는 것임이 드러남.

구성은 오직 전체 이야기를 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얻는 경우가 많음.

구성은 특정 분석수준을 지칭하는 말이 될 수는 있어도 인과적 우월함을 제시한다고 이해될 수는 없음.

과학지식사회학의 핵심 주장이 일정한 지적 권위를 가지기 위해서도 구성은 약화된 방식으로 이해되어야만 함.

그러나 구성을 약화된 방식으로 이해하면 과학지식사회학자들이 추구하는 큰 주장은 설득력을잃게 됨.

5. 맺음말

(2025.01.30.)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