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01

[심리철학] Jaegwon Kim (2011), Ch 4 “Mind as the Brain: The Psychoneural Identity Theory” 요약 정리 (미완성)



[ Jaegwon Kim (2011), Philosophy of Mind, 3rd Edition (Routledge), pp. 91-.

김재권, 「제4장. 두뇌로서의 마음: 심리-신경 동일론」, 『심리철학』, 권홍우・원치욱・이선형 옮김 (필로소픽, 2023), 151-쪽. ]

4.1 마음과 두뇌의 상관관계

(Mind-Brain Correlations)

4.2 마음-두뇌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Making Sense of Mind-Brain Correlations)

4.3 단순성으로부터의 논증

(The Argument from Simplicity)

4.4 심리-신경 동일성에 관한 설명 논증

(Explanatory Arguments for Psychoneural Identity)

4.5 심성 인과로부터의 논증

(An Argument from Mental Causation)

4.6 심리-신경 동일론에 대한 반론들

(Against Psychoneural Identity Theory)

4.7 환원적 물리주의와 비환원적 물리주의

(Reductive and Nonreductive Physicalism)

4.1 마음과 두뇌의 상관관계

(Mind-Brain Correlations)

4.2 마음-두뇌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Making Sense of Mind-Brain Correlations)

4.3 단순성으로부터의 논증

(The Argument from Simplicity)

4.4 심리-신경 동일성에 관한 설명 논증

(Explanatory Arguments for Psychoneural Identity)

4.5 심성 인과로부터의 논증

(An Argument from Mental Causation)

4.6 심리-신경 동일론에 대한 반론들

(Against Psychoneural Identity Theory)

4.7 환원적 물리주의와 비환원적 물리주의

(Reductive and Nonreductive Physicalism)

(2024.10.0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내가 철학 수업을 올바른 방향으로 하고 있다는 증거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