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02

[과학사] A.M. Diamond Jr. (1988), “The Polywater Episode and the Appraisal of Theories” 요약 정리 (미완성)



[ Arthur M. Diamond Jr. (1988), “The Polywater Episode and the Appraisal of Theories”, in A. Donovan et al. (eds)(1988), Scrutinizing Science: Empirical Studies of Scientific Change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181-198. ]

1. Background and Data

2. Relevance of Polywater to the Thesis Clusters

3. Thesis (T2.8)

4. Theses (T2.5) and (T2.6)

5. Thesis (GA4.5)

1. Background and Data

[pp. 181-182]

- 소련의 학자 페디야킨(Fedyakin)이 1961년 중합수(Polywater)를 발견함.

• 중합수는 아주 작은 모세관에 넣고 압축하면, 일반적인 물보다 끓는점이 높고 어는점이 낮은 물

- 소련의 저명한 물리화학자 보리스 데랴긴(Boris Deryagin)의 강연으로 미국과 영국에도 알려짐

• 1973년 데랴긴이 중합수 현상이 물에 포함된 불순물 때문에 나타났을 것이라고 결론 내릴 때까지 중합수를 주제로 한 논문은 400건 이상 출판됨.

[pp. 182-183]

- 문헌 자료 수집

• 112건의 출판물 대상으로 찬성/반대/중립으로 구분

• 찬성: 중화수의 이상한 현상들은 일반 물과 다른 구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 반대: 중화수의 이상한 현상들은 물에 포함된 불순물 때문에 발생한다.

• 찬성 66건, 반대 42건, 중립 4건

- 연구자 분류

• 찬성 문헌들을 썼으면 찬성 연구자. 이후 반대 문헌을 써도 초기에 찬성 문헌을 썼으면 찬성 연구자로 분류함.

• 반대 문헌들을 썼으면 반대 연구자

• 어느 쪽 문헌도 쓰지 않았으면 중립

2. Relevance of Polywater to the Thesis Clusters

3. Thesis (T2.8)

4. Theses (T2.5) and (T2.6)

5. Thesis (GA4.5)



[p. 195]

- 1968년 기준으로 생물학적 연령과 전문가적 연령(Ph. D. 이후 경력)을 분류함.

- (1), (3), (5): 생물학적 연령과 중합수에 비판적인 것은 음의 상관관계. 나이 든 학자일수록 중합수에 더 우호적

- (2), (4), (6): 경력과 중합수에 비판적인 것은 양의 상관. 학자로서 경력이 길수록 중합수에 더 비판적

- 그러나 상관도가 충분히 크지 않기 때문에 유의미한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 나이/경력이 새로운 지도 가정의 수용과 큰 상관관계가 있다고 말하기 어려움.

(2018.12.05.)


댓글 없음:

댓글 쓰기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감상

이재명의 대통령 당선을 보면서 정말 천운이라는 것이 있는 것인가 싶었다. 주요 대선 주자들은 죄다 자기 발에 자기가 걸려 알아서 자빠졌지, 올망졸망한 잠재적 경쟁자들은 크지 않지, 무언가 안 좋은 것에 많이 얽혀 있는 것은 분명한데 이리저리 잘 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