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9/23

[기출문제] (인식론) 서울대 철학과 대학원 논문제출자격시험 (1990년 1학기-1996년 1학기)

   
■ 서양철학전공 논문제출자격시험 영역 구분
- 과학철학
- 논리 및 언어철학
- 인식론
- 형이상학 및 존재론
  
  
■ 1990년 1학기 석사

1. 데까르뜨의 <성찰> 제 2에는 ‘정신이 신체보다 인식되기가 더 쉽다’는 제목이 붙어있다. 밀랍을 예로 드는 이 논의를 상세히 논술하고 여기서 주장되는 데까르뜨의 입장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이것을 비판하시오.

2. 로크는 지식(knowedge)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그리고 그가 Essay, Bk.2의 ch.1에서 밝힌 지식의 네가지 종류를 설명해보시오.

3.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에서 ‘내용없는 사고는 공허하고, 개념없는 직관은 맹목이다. 그러기에 그 직관들을 지성화하고, [...] 그 개념들을 감성화하는 것은 다같이 필수적이다’(A51,B75)고 주장한다. 이 귀절의 뜻을 해석하면서, 여기서 ‘필수적’은 무엇을 위해서 ‘필수적’인지를 명시적으로 밝히시오.

4. <현상학의 이념>(1907)에서 처음으로 제시된 현상학적 방법을 <논리연구>(1900/01)에서 사용된 후설의 방법과 비교하면서 설명하시오.

5. Ayer가 The problem of Knowledge에서 제시한 앎(knowing)의 정의는 어떤 것인가? 그리고 Ayer의 견해를 비판해보시오.


■ 1990년 1학기 박사

1. Hume이 <인성론>의 ‘of sceptism with regard to reason’이라는 section에서 제시한 두가지 회의주의 논변을 소개하고 Hume은 왜 이 논변들이 건전(sound)하지만 설득력은 없다고 보았는지 밝히시오.

2.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에서 ‘시간상으로는(der Zeit nach) 어떠한 인식도 경험에 선행하지 않는다. [...] 그러나 모든 우리의 인식이 경험과 함께(mit) 시작된다고 해서, 그렇기 때문에 그것 모두가 바로 경험에서(aus)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B1)고 주장한다. 강조된 낱말의 함의를 특히 염두에 두어 이 구절의 뜻을 해석하시오.

3. 헤겔의 <정신현상학>은 ‘자연 의식이 참된 知에 이르는 도정(Weg)’(PhG, Ein1.)이다. 여기서 ‘지연 의식’, ‘참된 지’란 어떤 것이며, 자연 의식은 참된 지에 어떻게 (방법과 방식) 이를 수가 있는가?

4. ‘Eine absolute Realität gilt genau so viel wie ein rundes Viereck’ 이것은 Ideen Ⅰ의 2. Absch.에 나타나는 글이다. 이 글에 나타난 후설의 입장을 이와 대립되는 입장과 비교하면서 밝히시오.

5. 인과적 지식이론(causal theory of knowledge)에 의하면 ‘S knows that P’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또, 이 정의에 대한 내재주의(internalism)의 비판과 이 비판에 대한 외재주의(externalism)의 응답을 각각 설명하시오.


■ 1990년 2학기 석사

1. 외계(또는 외적 사물)의 실재에 관한 데까르뜨의 증명을 서술하고 이와는 분명히 다른 견해 하나를 들어 서로 비교하시오.

2. 칸트의 진리개념 ‘인식과 그 대상의 합치’가 갖는 의의를 밝히시오.

3. 본유관념이란 무엇인가? 로크는 본유관념이 없다는 점을 어떻게 증명하였는가? 그리고 그 증명의 성공 여부는?

4. 후설은 Die Idee에서 초월(Tranzendenz)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5. 철학적 회의주의란 무엇인가? 회의주의적 주장의 예를 들고 이를 반박해보시오.


■ 1990년 2학기 박사

1. 흄에 의하면 인과는 철학적 관계로도 규정되고 또 자연적 관계로도 규정된다. 먼저 이 두 관계로 규정된 인과의 내용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고, 왜 그는 인과를 이와 같이 양면적으로 규정해야 했는지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2. 칸트가 제시한 ‘순수지성개념, 실체’의 객관적 사용 원칙: ‘현상들의 일체의 變轉에서도 실체는 고정적이며, 실체의 양은 자연에서 증가되지도 감소되지도 않는다’를 해설하시오.

3. 헤겔의 이른바 <자기 의식의 변증법>에서 ‘부정성(Negativität)=행위(Tun)=자유(Freiheit)=역사(Geschichte)’의 의미를 ‘절대자’의 이념 아래에서 생각해보시오.

4. Es ist also ein prinzipeller Irrtum zu meinen, es komme die Wahrnehmung an das Ding selbst nicht heran.
    
이것은 Ideen Ⅰ, §43 Aufklärung eines prinzipiellen Irrtums의 첫머리에 나온다. 무슨 뜻인가를 밝히면서 후설의 현상학적 입장을 설명하시오.

5. 지식의 정당화 문제와 관련하여 기초주의(Foundationalism)와 정합주의(Coherentism)의 입장은 각각 어떻게 다르며 각 입장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 1991년 1학기 석사

1. “나는 있다, 나는 現存한다. 이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얼마 동안인가? 물론 내가 생각하고 있는 동안이다. 왜냐하면 만일 내가 생각하기를 아주 그친다면 그 순간 나는 또한 存在하기를, 즉 現存하기를 그치겠기 때문이다.”

“나는 있다, 나는 現存한다라는 命題는 내가 이것을 말할 때마다 혹은 정신에 의하여 파악할 때마다 必然的으로 참이다.”

데까르트의 『省察』 2에 나오는 위 두 문장에서 “나는 있다, 나는 現存한다”라는 명제에 붙은 但書는 무슨 뜻을 갖는가?

2. 칸트에서 경험적 자아(das empirische Ich)와 초월적 자아(das transzendentale Ich)의 구별을 설명하시오.

3. 자연종(natural Kinds)에 대한 Locke의 견해를 명목상의 본질(nominal essence)과 실질상의 본질(real essence) 간의 구분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4. 후설은 『이념』에서 明證의 感情理論(Gefühlstheorie der Evidenz)을 논박하고 있다(제4 강의). 이것을 정리하고 다음에 그러면 후설 자신의 명증 이론은 무엇이며 과연 성공하고 있는가를 밝히시오.

5. 지식(knowledge)의 확실성은 확보될 수 있는지, 또 된다면 어떻게 될 수 있는지를 여러 이론(최소한 2개 이상)들을 대비시키면서 논하시오.


■ 1991년 1학기 박사

1. Hume의 인식론에서 상상력(imagination)이 어떠한 기능을 가지고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구체적인 예를 들어 논하시오.

2. 칸트가 『순수이성비판』에서 감성(Sinnlichkeit)과 지성(Verstand)을 떼내어 고찰하는 이유와 이 양자의 결합 가능성을 설명하시오.

3. 헤겔이 『정신현상학』에서 서술하는 ‘자기의식(Selbstbewußtsein)의 변증법’의 요점은?

4. 현상학적 환원에 의해서 도달된 순수의식은 후설에서는 “transzendental”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이 성격을 칸트와 비교하면서 분명하게 규정하시오.

5. 지식의 전통적인 정의는 무엇인가? 또 이 정의에 어떤 문제점들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떤 시도들이 있었는가?


■ 1991년 2학기 석사

1. Descartes는 어떤 근거에서 “clear and distinct”를 진리의 기준이라고 주장하는가를 설명하고 여기에 대한 비판적 학설 하나를 소개하시오.

2. 칸트가 순수지성 개념이 범주로 사용될 때 경험 대상에 대해서만 의미를 갖는다고 파악한 까닭을 설명하시오.

3. Locke는 우리가 가진 관념들 중의 일부는 대상의 성질과 유사하고(resemble) 또 일부는 유사하지 않다고 하였다. 그러나 보통 관념은 심리적인 것이고 대상은 물리적인 것으로 여겨지는데 어떻게 이와 같이 범주가 다른 두 개가 유사하고 유사하지 않을 수 있는가? 이 경우 ‘유사하다’의 의미가 무엇인지 논해 보시오.

4. Die Idee, 제2강의에서 후설은 「인식 체험에 내실적인 내재성」과 「절대적이고 명석한 소여성」이라는 내재성을 동일시하는 것은 「숙명적인 오류」라고 한다. 이것이 무슨 말인가를 자세히 설명하고 이 오류를 후설은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를 밝히시오.

5. 지각이론으로서의 素朴실재론(naive realism)과 지각 인과론(causal theory of perception)이 각각 어떤 특성의 입장인지, 그리고 그 장단점은 무엇인지 비교 논의해 보시오.


■ 1991년 2학기 박사

1. “존재하는 모든 것은 원인을 가진다”는 maxim을 지지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논거를 소개하고, 이 논거에 대한 Hume의 반박을 설명하시오.

2. 칸트의 「관념론 논박」의 상대를 지적하고, 그 논점을 정리해 보시오.

3.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지각’과 ‘착오’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4. 질료학(Hyletik)이란 무엇이며 이것은 후설의 현상학에서 어떤 뜻을 가지는가를 설명하시오.

5. 이론(theory)과 증거(evidence)의 관계에 대한 전통적 인식론과 자연주의적 인식론의 입장 차이를 비판적으로 논의하시오.


■ 1992년 1학기 석사

1. Descartes의 회의적 방법과 Husserl의 현상학적 환원의 방법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시오.

2. 칸트의 12개 범주를 열거하고, 그 각각의 성격과 상호 관계를 설명하시오.

3. 록크의 1, 2차 성질의 구분을 입자 가설과 연관시켜 설명하시오.

4. ‘현상론’이라 부를 수 있는 지각이론을 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이를 비판해 보시오.

5. 다음 글에서 「 」 속에 있는 두 태도를 비교하시오.

Stelle ich 

Die Idee, s. 44/22 - 44/38


■ 1992년 1학기 박사

1. ‘원인(cause)’이라는 개념에 대한 Hume의 분석을 설명하고 평가하시오.

2. 칸트는 그의 감성론에서 “사물 자체”는 “우리 감성의 진짜 대응자”이지만 그러나 그것은 우리의 “표상을 통해서는 전혀 인식되지 않고, 결코 인식될 수도 없으며, 그것이 어떤 것인가에 관해서도 경험에서는 결코 물을 수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말의 뜻을 새겨 보시오.

3. 헤겔에서 “지각의 대상”인 “사물”(das Ding)을 정신현상학적으로 기술해 보시오. 

4. 다음은 Ideen I, 2 Abschn., 3. Kapt.의 마지막 절의 제목이다. 무슨 뜻인가?

§55 Schluß. Alle Realität seiend durch “Sinngebung”.  Kein “subjektiver Idealismus”

5. 콰인의 자연주의 인식론이 전통적인 인식론과 어떤 점에서 어떻게 다른지 서술하고 평가하시오.


■ 1992년 2학기 석사

1. Descartes가 『성찰』에서 「정신은 신체보다 인식되기가 더 쉽다」는 주장을 어떻게 논증하는가를 『성찰』에 따라서 정확히 밝히고, 철학에서의 이런 입장을 비판하시오.

2. “종합적인 표상이 그 대상과 일치하고, 양자가 반드시 서로 관계 맺으며, 말하자면 서로 만날 수 있는 경우로는 두 가지만이 가능하다. (그 두 가지는, 즉) 대상이 표상을 가능하게 하는 때거나 표상이 대상을 가능하게 하는 때뿐이다.”는 칸트 순수이성비판(A92/B124)의 주장이 함축하는 바는?

3. Locke의 Essay의 Book 1, chap Ⅱ에 제시된 본유관념 비판론을 상세히 소개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논의하시오.

4. “현상학적 환원”은 후설 현상학의 중기와 이른바 후기에서 각각 어떻게 뜻을 달리하는가를 설명하시오.

5. 20세기 인식론이 소위 ‘감각자료’(sense-data)를 도입하게 된 배경과 이유는 무엇인가? 또 그럼으로써 어떤 문제가 해결되었으며 어떤 문제가 발생하였는가?


■ 1992년 2학기 박사

1. Hume은 ‘필연성’이라는 말이 잘못 사용되면 그 참된 의미를 잃는다고 하였다. 잘못 사용되는 경우란 어떤 경우를 말하며, 잘못 사용되지 않고, 따라서 참된 의미를 잃지 않는다면 그 의미를 Hume은 무엇이라고 보았는지 설명하시오.

2. 칸트가 그의 『순수 이성 비판』 서설(B24-B30)에서 말하는 “순수 이성 비판”이라는 학의 이념은?

3. 헤겔에서 자기의식의 역사적 전개 과정 중 “불행한 의식”의 위상은?

4. “die originär gebende Anschauung”이란 후설 현상학에서 무슨 뜻인가?

5. 정당화(justification)와 진리(truth)의 개념들이 지식의 문제에 가지는 의의를 설명하고, 또 그 두 개념들이 서로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설명하시오.


■ 1993년 1학기 석사

1. Meditation II에 전개된 Descartes의 유명한 Cogito 논법이 다음과 같이 형식화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다음의 형식화를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i) (x)(F)(Fx → (∃y)(x=y))
(ii) Fa
(iii) (∃y)(a=y).

2. 칸트에서 양태(Modalität) 범주 기능을 다른 범주들의 기능과 비교 설명하고, 이것을 “순수 지성의 근간 개념”으로 파악한 칸트 철학의 철학사적 의미를 새겨보시오.

3. “Wie kann Erkenntnis über sich hinaus, wie kann sie ein Sein treffen, das im Rahmen des Bewußtseins nicht zn finden ist?” - 이 물음을 제기한 후설은 이에 대해 스스로 어떻게 답하는가?

4. Locke는 지식(knowledge)을 어떻게 규정하였는가? 그것이 경험과는 어떤 연관을 가지는가? 그리고 지식이 믿음(belief)과는 어떻게 구별된다고 하였는가?

5. 물리적 대상에 관한 직접적 실재론(direct realism)의 입장을 설명하고 이를 비판해 보시오.


■ 1993년 2학기 석사

1. Descartes의 철학에서 명석한(clear) 관념과 판명한(distinct) 관념이란 어떤 성격의 것들인가? 양자의 차이점을 “내 다리에 통증을 느낀다.”와 “나는 생각한다.”라는 두 명제를 예로 들어 설명해 보시오.

2. 본유관념이란 무엇인가? 록크는 이러한 관념이 없다는 점을 어떻게 증명하려 했는가? 그리고 그 증명의 성패여부는?

3. 언어적 현상론의 주장을 설명하고 이를 비판해 보시오.

4. 칸트 초월철학(Transzendentalphilosophie)에서 ‘실재성’(실질성, Realität)과 ‘현실성’(현존성, Wirklichkeit)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5. 후설 현상학에서 “심리학적 현상”과 “순수 현상”을 구별 설명하시오.


■ 1993년 2학기 박사

1. 귀납(induction)에 대한 Hume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2. 인과적 지시론(causal theory of knowledge)에 속하는 대표적인 학설을 소개하고 비판해 보시오.

3. 칸트에서 양태(Modalität) 범주의 기능을 다른 범주들의 기능과 비교 설명하고, 이것을 “순수지성의 근간개념”으로 파악한 철학사적 의미를 새겨 보시오.

4. 헤겔의 변증법적 지양이 왜 ‘발전’을 함축하는지를 설명하시오.

5. 후설은 “immanente Wahrnehmung”과 “transzendente Wahrnehmuntg”을 어떻게 구분 설명하는가?


■ 1994년 1학기 석사

1. Descartes는 『성찰』 VI에서 마음과 신체가 구별된다는 점을 증명하기 위하여 몇 가지 다른 논변들을 제시하였다. 이 논변들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시오.

2. 칸트에서 ‘형식적 직관’(formale Anschauung)과 ‘직관의 형식’(Form der Anschauung)을 설명하라.

3. Locke의 추상관념이론을 설명하시오.

4. 후설은 “인식의 현상학은 이중적 의미에서 인식현상들에 관한 학이다.”라는 표현으로써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를 밝히라.

5. 지식의 확실성이 확보될 수 없다는 회의주의 논변에 대하여 어떠한 답변들이 가능한지 논의하시오.


■ 1994년 1학기 박사

1. 實體(Substance) 개념에 대한 Hume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2. 칸트가 ‘사물자체’(Ding an sich selbst)는 로크의 ‘실재 사물’(real thing)과 어떻게 다른가를 설명하시오.

3. 헤겔에서 “정신의 본질은 자유이다.”고 할 때 ‘정신’과 ‘자유’의 의미를 새겨 보시오.

4. 후설은 “immanente Wahrnehmung”과 “transzendente Wahrnehmung”을 어떻게 구분 설명하는가?

5. 지각이론으로서의 現象論의 장단점을 논하시오.


■ 1994년 2학기 석사

1. 정신과 물질에 관한 데카르트의 이론을 설명하고 이 이론이 가지는 난점은 무엇인지 밝히시오.

2. 칸트에서 ‘자연’과 ‘이론이성’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3. 선험적 지식과 경험적 지식의 차이점을 Locke는 어떻게 보았는지 설명하시오.

4. 후설의 ‘순수 의식’을 설명하시오.

5. 지식의 현대철학적 규정은 무엇이며, 또 그 규정에 어떤 문제들이 따르는지 밝히시오.


■ 1994년 2학기 박사

1. Hume의 철학에서 Knowledge와 Probability가 어떤 점에서 어떻게 다른지 비판적으로 논하시오.

2. 칸트 인식론에서 ‘상상력’의 역할을 설명하시오.

3.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진상’(Wahrheit)은 어떻게 드러나는가?

4. 후설에서 ‘知覺’과 ‘判斷’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5. 정당화개념과 진리개념의 상호연관성을 논하고, 또 그것이 지식개념과는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논하시오.


■ 1995년 1학기 석사

1. Descartes는 마음과 물질이 어떤 근거에서 서로 구별된다고 하였는지를 인식론적 근거와 존재론적 근거로 세분하여 설병하시오.
                    
2. 본유관념이란 무엇인가? 록크는 본유관념이 없다는 점을 어떻게 증명하였는가? 그리고 그 증명의 성패여부는?

3. 同一律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지위에 대한 Locke의 입장은 어떠한지 합리론자의 이론과 대비하면서 논하시오.

4. 후설에서 ‘인식현상’(Elkenntnisphänomen)과 ‘인식대상’(Elkenntnisobjekt)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5. 앎(knowledge)과 믿음(belief)은 어떻게 다른가? 전통적인 앎의 규정은 무엇이며, 그러한 규정의 문제점은?


■ 1995년 1학기 박사

1. ‘원인(cause)’개념에 대한 Hume의 분석을 설명하고 평가하시오.

2. 칸트 인식이론에서 “감성과 지성은 그 기능을 서로 교환(대치)할 수 없다”는 말의 함축을 밝히시오.

3.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대상인식의 자기 교정과정을 서술하시오.

4. 후설현상학에서 ‘심리학적 현상’과 ‘순수현상’을 구별 설명하시오.

5. 지식의 정당화(justification)문제와 관련하여 토대주의(foundationaliism)와 정합주의(coherentism)는 서로 어떻게 다르며 각 이론의 장단점은?


■ 1995년 2학기 석사

1. Descartes의 철학에서 ‘나는 의심한다’는 명제와 ‘나는 희망한다’는 명제는 그 확실성이 서로 다른가? 다르다면 어떤 점에서, 그리고 다르지 않다면 왜 그러한지를 논하시오.

2.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서 “개념을 감성화(sinnlich machen)하고, 직관을 지성화(verständlich machen)한다”는 말의 함축을 밝히시오.

3. 同一律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지위에 대한 Locke의 입장은 어떠한지 합리론자의 이론과 대비하면서 논하시오.

4. 후설에서 ‘인식현상’(Erkenntnisphänomen)과 ‘인식대상’(Erkenntnisobjekt)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5. 인식적 정당화가 왜 철학적으로 문제가 되고, 또 그 문제의 성격은 어떠한지 논하시오.


■ 1995년 2학기 박사

1. 외부세계의 존재문제에 대한 Hume의 입장을 정리하고 비판해 보시오.

2. 칸트 인식이론에서 “감성과 지성은 그 기능을 서로 교환(대치)할 수 없다”는 말의 함축을 밝히시오.

3.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대상인식의 자기 교정과정을 서술하시오.

4. 후설현상학에서 ‘심리학적 현상’과 ‘순수현상’을 구별 설명하시오.

5. 인식에 있어서 기술(description)과 정당화는 서로 다른 문제인가? 다르다면 어떤 점에서, 다르지 않다면 어떤 점에서 그러한지 논하시오.


■ 1996년 1학기 석사

1. Descartes에서 ‘방법적 회의’의 원리와 결과를 서술하시오.

2. Locke가 제시한 1, 2차 성질 구분의 근거를 설명하고 이를 비판해 보시오.

3. Kant에서 시간 의식의 발생을 설명하시오.

4. Husserl의 선험적 현상학에서 ‘구성’(Konstitution)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시오.

5. 현상론(Phenomenalism)은 지지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논하시오.


■ 1996년 1학기 박사

1. Hume의 철학에서 외적 세계의 존재에 대한 믿음의 형성에 상상력이 어떤 역할을 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지 밝히시오.

2. Kant에서 ‘초월적 자아’(das transzendentale Ich)의 존재론적-인식론적 지위를 해명하시오.

3. Hegel 『정신현상학』의 <의식의 변증법>에서 ‘모순’의 의미와 내용을 쓰시오.

4. ‘사태’(Sache)와 ‘방법’(Methode)의 관계에 대한 현상학의 근본 입장에 대해 논하시오.

5. 인식론적 자연주의의 장단점을 논하시오.
  
  
(2020.01.22.)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외국 가요] 빌리 홀리데이 (Billie Holiday)

Billie Holiday - I’m a fool to want you ( www.youtube.com/watch?v=qA4BXkF8Dfo ) ​ Billie Holiday - Blue Moon ( www.youtube.com/watch?v=y4b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