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7/15

셰익스피어를 인도와 바꿀 수 없다?

     

한국에서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인용하는 말 중 하나는 “인도를 포기하더라도 셰익스피어를 포기할 수 없다”는 말이다. 그런데 인도 사람이 이 말을 들으면 기분이 어떨까. 외국 사람이 문화가 중요하다고 하면서 “조선반도를 포기하더라도 나쓰메 소세키를 포기할 수 없다”고 말한다고 생각해보자.
  
2016년은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년이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행사를 한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행사를 많이 할 텐데 셰익스피어의 위대함을 칭송한답시고 인사말로 셰익스피어하고 인도를 바꾸네 안 바꾸네 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1990년대 초반 마광수 교수가 야한 소설 써서 문제가 되었을 때 연세대 총학생회는 마광수 교수를 지지하는 의미로 “마광수는 결코 인도와도 바꿀 수 없다”고 현수막을 걸었다가 인도 대사관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 링크: [한겨레] 마광수를 욕하던 위선의 벽이여 안녕 / 김형민의 응답하라 1990
  
  
(2016.05.15.)
     

댓글 없음:

댓글 쓰기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