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29
2015/11/28
[사회과학의 철학] Steel (2004), “Social Mechanisms and Causal Inference” 요약 정리 (미완성)
[ Daniel Steel (2004), “Social Mechanisms and Causal Inference”, Philosophy of the Social Sciences, 34(1), 55-78. ]
1. What Are Social Mechanisms?
2. Mechanisms and the Problem of Confounders
3. Kincaid’s Objections
4. No Plausible Mechanism
5. Process Tracing and Interpretation
6. Conclusion
1. What Are Social Mechanisms?
2. Mechanisms and the Problem of Confounders
3. Kincaid’s Objections
4. No Plausible Mechanism
5. Process Tracing and Interpretation
6. Conclusion
(2023.09.30.)
2015/11/27
수학과 대학원생의 연애 편지?
수학과 대학원생이 연애 편지를 쓴다면 이런 식으로 쓸지도 모르겠다.
.
.
.
.
.
사랑하는 ◯◯에게
내가 너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표현할 놀라운 방법을 찾았어.
그런데 편지 여백이 부족하니 이만 생략할게.
◯◯을 사랑하는 페르마가
(2015.09.27.)
2015/11/26
한 사람이 세금을 189조 원 넘게 날리다? - MB 집단설
『제왕운기』에 따르면, 단군은 고조선을 건국하고 1천 년 정도 다스리다가 아사달에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사람이 어떻게 천년을 살 수 있을까? 해석 중에는, 단군이 고유명사가 아니라 임금을 가리키는 일반명사라는 의견도 있다. 단군이 고조선을 천년 동안 다스렸다는 말은 단군이라고 불리는 여러 왕들의 왕조가 천년 동안 이어졌다는 말이라는 것이다.
대통령을 선거로 뽑는 국가에서, 그것도 삼권이 분립된 현대 국가에서, 대통령 한 사람 잘못 뽑았다고 세금이 189조 원 이상 탕진되었다는 사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2천 년쯤 지나 지금 있는 문헌이 대부분 사라지고 파편적인 기록만 남는다면, 미래의 역사가들은 MB가 한 사람을 가리키는 것인지 어떤 집단을 가리키는 것인지를 놓고 논쟁을 벌일지도 모르겠다.
.
.
.
.
.
<4015년 한국사 학술대회>
- 김 박사: “저는 MB가 한 사람이 아니라 어떤 집단을 가리키는 명칭이었다고 봅니다. 당시 한국인들 사이에는 영문 약자를 유치하거나 어색하게 짓는 게 유행이었습니다. 마을금고를 MG라고 짓는 식으로 말이죠. 그런 유행에 비추어본다면 MB는 monetary band의 약자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 이 박사: “저는 김 박사님과 의견이 다릅니다. 제가 최근에 발굴한 자료 중에는 MB의 사진도 있습니다.”
- 김 박사: “이 박사님도 아시겠지만, 당시 한국에는 의회도 있고 감사원도 있고 언론도 있었어요. 200조 원이 날아가는데 왜 아무도 못 막았죠? MB라고 하는 정교하게 조직된 거대한 집단이 한 나라를 장악해서 200조 원을 빼돌렸다고 하는 게 더 그럴 듯합니다. 전제군주가 다스리는 나라도 아니고, 민주주의 국가에서 한 사람이 그런다는 게 말이 안 되잖아요?”
* 링크: [한겨레] “MB가 탕진한 국민 세금 최소 189조원”
( 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76943.html )
(2015.09.26.)
[프라임 LEET] 2026학년도 대비 LEET 전국모의고사 안내
https://invite.kakao.com/tc/NVNEFmM9U1 올해 7/20 리트 응시자분들을 위한 단체 채팅방입니다. 리트 언어이해, 추리논증 관련 읽을 만한 논문 등을 게재하고, 6/1부터 매일 세 문제씩 푸는 모형추리(기출이 아닌 ...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농협에서 <금융거래정보 등의 제공 사실 통보서>를 우리집에 보냈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을 제공했다는 내용이었다. 검찰청에서는 왜 농협에 아버지의 계좌 거래내역 정보제공을 요구했는가? 몇 년 전, 아버지는 녹색 무슨 협...
-
잘못된 인용은 논문을 망친다. 인용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해야 논문이 제 격을 갖춘다. 필요한 인용을 하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지나치게 많은 인용도 좋지 않다. ■ 지나친 인용은 깊이 있는 분석을 방해한다 - 인용을 얼마나 풍부하게 해야 하는지는 ...
-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는 정말 재미없는 책이다. 사전과 비슷한 책이라서 재미난 부분이라고는 한 군데도 없다. 나는 그 책을 두 번이나 읽었다. 정확히 말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칸트 직전까지만 두 번 읽었다. 나는 왜 ...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