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심리철학] Jaegwon Kim (2011), Ch 7 “Mental Causation” 요약 정리 (미완성)



[ Jaegwon Kim (2011), Philosophy of Mind, 3rd Edition (Routledge), pp. 193-.

김재권, 「제7장. 심성 인과」, 『심리철학』, 권홍우・원치욱・이선형 옮김 (필로소픽, 2023), 301-쪽. ]

7.1 행위자성과 심성 인과

(Agency and Mental Causation)

7.2 심성 인과, 심적 실재론, 그리고 부수현상론

(Mental Causation, Mental Realism, and Epiphenomenalism)

7.3 심물 법칙과 “무법칙적 일원론”

(Psychophysical Laws and “Anomalous Monism”)

7.4 무법칙적 일원론은 부수현상론의 한 형태인가?

(Is Anomalous Monism a Form of Epiphenomenalism?)

7.5 반사실문에 의한 구제

(Counterfactuals to the Rescue?)

7.6 물리적 인과 폐쇄성과 “배제 논증”

(Physical Causal Closure and the “Exclusion Argument”)

7.7 “수반 논증”과 부수현상론

(The “Supervenience Argument” and Epiphenomenalism)

7.8 추가 쟁점: 심적 상태의 외재성

(Further Issues: The Extrinsicness of Mental States)

7.1 행위자성과 심성 인과

(Agency and Mental Causation)

7.2 심성 인과, 심적 실재론, 그리고 부수현상론

(Mental Causation, Mental Realism, and Epiphenomenalism)

7.3 심물 법칙과 “무법칙적 일원론”

(Psychophysical Laws and “Anomalous Monism”)

7.4 무법칙적 일원론은 부수현상론의 한 형태인가?

(Is Anomalous Monism a Form of Epiphenomenalism?)

7.5 반사실문에 의한 구제

(Counterfactuals to the Rescue?)

7.6 물리적 인과 폐쇄성과 “배제 논증”

(Physical Causal Closure and the “Exclusion Argument”)

7.7 “수반 논증”과 부수현상론

(The “Supervenience Argument” and Epiphenomenalism)

7.8 추가 쟁점: 심적 상태의 외재성

(Further Issues: The Extrinsicness of Mental States)

(2024.10.0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사람은 고쳐 쓰는 것이 아니라는 말에 대하여

사람은 고쳐 쓰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 있다.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말인지, 최근에 생긴 말인지, 옛날부터 있기는 있었는데 최근에 유행한 말인지 정확히는 모르겠다. 그런데 왜 사람은 고쳐 쓰면 안 되는가? 대개는 사람(또는 사람의 본성)은 안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