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28

나는 왜 글을 쓰는가? - 서민적 글쓰기

나는 왜 글을 쓰는가? 먹고 사는 것과도 밀접하지 않은데도, 왜 짜잔한 글을 꾸준히 쓰는가? 내가 글을 쓰는 이유라고 생각했던 것과 실제 글을 쓰는 원인이 다를 수도 있겠다고 생각하게 된 것은, 서민의 『서민적 글쓰기』를 읽고 나서였다.

중요한 것은 우리에게 글을 잘 쓸 의지가 얼마나 있느냐는 것이다. 언젠가 제자 한 명이 내게 찾아와 이렇게 말했다. “저도 글을 잘 쓰고 싶어요.” 그의 눈은 정말 글을 잘 쓰고픈 의지로 반짝였다. 그에게 이렇게 조언했다.

“글은 매일 조금씩 써야 하거든요. 그러니 블로그를 만들고 매일 한 편씩, 주 5회 글을 올리세요. 제가 매일 한 번씩 들러 봐드릴게요.”

처음 사흘간, 그는 하루 한 편씩 글을 썼다. 바쁜 와중에 난 매일 들러서 그가 올린 글에 대해 “이렇게 바꾸면 좋습니다”라며 첨삭지도를 했다. 4일째 되는 날, 글이 올라오지 않았다. 그가 글을 올리지 않는 날은 점점 늘어났고, 나중에는 일주일 내내 글이 올라오지 않았다. 그에게 전화해서 물었다. “왜 글이 올라오지 않나요?” 그는 낮은 소리로 말했다. “사실... 여자친구가 생겼어요.” (11-12쪽)

나는 2023년에 짜잔한 글을 쓰지 않을 수 있을까?

* 참고 문헌

서민, 『서민적 글쓰기 - 열등감에서 자신감으로, 삶을 바꾼 쓰기의 힘』, 생각정원, 2015.

(2022.12.31.)

2023/02/26

탕수육 먹고 술을 안 먹게 된다는 것

일요일 점심에 어머니와 함께 중국집에 가서 짜장면과 탕수육을 먹었다. 집에서 자동차로 20분 거리에 있는 <명장>이라는 중국집에 갔다.

학부 수업 기말보고서를 채점하기 싫어서였을까? 술 한 잔 마시고 싶었다. 이과두주 한 병을 주문했다. 어머니는 운전해야 하기도 했고 원래 술 자체를 안 좋아하셔서 나만 술을 마셨다. 혼자 술을 마시면서 어머니가 술을 안 좋아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혼자서 한 병을 다 마시고 집에 돌아와서 기말보고서를 채점했다. 술을 그렇게 많이 마신 것이 아니므로 기말보고서 채점하는 데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혹시라도 점심 때의 음주가 채점에 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저녁 때 맥주 두 병을 더 마셨다. 그렇게 채점의 공정성을 확보했다.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내가 운전 면허를 따고 18년 동안 운전을 안 해서 지금은 운전을 못 하지만, 운전 학원 같은 데 가서 연수를 받아 어떻게 운전을 하게 된다고 치자. 그런데 만약에 일요일 점심 같은 상황에 나도 술을 마시겠다고 하고, 미래에 있을지도 모를 부인도 술을 마시겠다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어머니가 천년만년 지금 같을 것도 아닐 텐데, 두 사람이 서로 술을 마시겠다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가 예상보다 늦어지게 된다면? 그런데도 두 사람이 중국집에서 치킨게임을 한다면?

두 사람이 술을 마시고, 대리운전기사를 부르면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런데 그러면 두 사람이 음식을 먹는 값만큼 대리운전비로 주어야 한다. 그럴 거면 그 돈으로 더 좋은 것을 사먹는 게 낫다. 그런데 술을 안 마신다면 그렇게 더 돈을 들여 좋은 것을 먹을 필요가 있는가?

그러한 상황에서 내가 기쁜 마음으로 자발적으로 술을 마시지 않는 경우가 어떤 것일까 생각해보았는데, 그게 어떤 상태인지는 알 수 없었다. 그런데 만약에 그러한 마음이 든다면, 화딱지가 나는데 억지로 참는 것이 아니라 정말로 자발적으로 술을 안 마시고 기쁜 마음으로 탕수육만 씹어먹게 된다면, 아마도 그러한 상태는 사랑이라고 부를 수 있는 감정 상태일지 모르겠다. 그런 마음이 든다면 아마도 부인을 매우 사랑하니까 그런 게 아닐까? 가능하다면, 그런 마음이 들게 만드는 사람하고 결혼해야겠다고 생각했다.

(2022.12.26.)

2023/02/23

단군신화에 대한 재해석

동료 대학원생들하고 점심식사를 하다가 마늘 구워 먹는 이야기가 나왔다. 어떤 대학원생은 마늘을 구워 먹는 것을 좋아해서 고기를 다 주워 먹으면 남은 마늘만 가지고도 구워 먹는다고 했고, 누가 누가 마늘을 좋아하나 이야기를 했다. 나는 고기 먹을 때 마늘을 안 익혀 먹는다고 하니, 어떤 대학원생은 잘못 알아듣고 내가 고기 없이 생마늘만 먹는 줄 알고 놀라기도 했다. 마늘이 아몬드도 아닌데 어떻게 생으로 오독오독 씹어먹겠는가? 그런데 그 대학원생은 내가 그렇게 하는 줄 알았다고 했다. 사람을 외모로 판단하며 안 되는 법이다.

하여간, 마늘 먹는 이야기를 하다가, 내가 고기 먹을 때 주로 생마늘을 먹는다는 이야기를 하다가, 어떤 대학원생이 나보고 전생에 웅녀였냐고 농담을 했다. 웅녀 이야기를 듣고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단군신화에 나오는 곰과 호랑이는 뭐가 좋아 보여서 굳이 사람이 되겠다고 환웅을 찾아왔을까? 곰과 호랑이가 사람보다 신체 능력도 나을 것이고 고기도 많이 먹을 텐데 사람의 어떤 측면이 좋아 보였을까? 나는 동료 대학원생들에게 물었다. “이상하지 않아요? 곰과 호랑이가 왜 인간을 부러워하죠? 그것도 신석기 시대 수준의 인간을?”

나의 물음에 동양과학사를 전공하는 대학원생이 이렇게 답했다. “인간을 부러워할 정도의 곰과 호랑이라는 것은 무리에서 잘 나가는 개체가 아니라 밀려난 개체일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환웅이 쑥과 마늘을 먹여가며 근성을 시험한 거죠.”

신석기 시대의 인간을 부러워할 정도의 곰과 호랑이라면 무리에서 밀려난 개체일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을 나는 왜 진작에 하지 못했을까? 내가 들은 단군신화에 대한 해석 중 제일 그럴듯한 해석이었다.

(2022.12.23.)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