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16

마인드 업로딩 기술을 개발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마인드 업로딩으로 인류가 영생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마인드 업로딩이라는 것이 원리적으로나 기술적으로 가능한지는 모르겠는데, 일단 마인드 업로딩이라는 떡밥에 뻥쟁이들이 꼬여드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내가 아는 어떤 뻥쟁이는 융합 뭐시기 강연 같은 데서 마인드 업로딩으로만 40분 넘게 뻥을 친 적이 있다. 나는 그 영상을 보면서 깊은 감명을 받았었다. ‘그렇지, 저 정도는 해야 사기꾼이지’ 하는 생각을 했다. 그 40분 동안의 강연에서 강연자가 사실에 근거하여 말한 것은 “어느 대학의 아무개 교수입니다”와 “커즈와일이 특이점이 온다고 했는데 기술적인 것은 전문적인 영역이라 그건 잘 모르겠고”라고 하는 것뿐이었다. 내가 감명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내가 아직도 이해가 가지 않는 점은, 마인드 업로딩을 하는데 어떻게 영생이 가능하느냐는 것이다. 내 몸에 뇌가 달려 있고 뇌에 있는 정보를 업로딩해서 새로운 몸에 다운로드했다고 하자. 그렇게 내가 두 명이 되었다고 치자. 마인드 다운로딩 해서 만들어진 애들이 일시적으로 나와 동일한 뇌 상태를 가지든 말든 그게 나하고 무슨 상관이 있는가? 걔들이 대대손손 부귀영화를 누리고 환락을 즐긴다고 한들, 그건 걔네가 좋은 것이지 내가 좋은 것은 아니지 않는가? 걔네들하고 나하고 영화 <아바타>에 나오는 것처럼 뭐가 연결이라도 되면 모르겠는데 그런 것도 아니다. 걔네가 좋아봤자 걔네만 좋지 나하고는 아무 상관이 없는데, 마인드 업로딩 같은 것을 뭐 하러 하는가?

설정을 바꾸어도 달라질 것은 없다. 내가 희귀병에 걸렸고 내 뇌에 있는 모든 정보를 추출해서 새로운 인공 신체에 달려 있는 인공 뇌에 옮겼다고 가정하자. 그래서 내가 다시 건강한 신체에서 살게 된 것인가? 아니다. 그냥 나 같은 놈이 하나 더 생긴 것뿐이다. 걔가 맥주를 마시면 걔가 상쾌함을 느끼지 나는 하나도 안 좋을 것이 없다. 마인드 업로딩/다운로딩을 해서 새로운 나를 만들면서 동시에 희귀병에 걸린 나를 폐기한다고 해도 근본적으로 달라지는 것은 없다. 나는 며칠 더 살 수도 있었는데 고통 경감 차원에서 죽은 것이고 나하고 똑같은 것이 하나 생겼을 뿐이다. 나와 복제된 어떤 것이 나와 동일하다는 것은 다른 사람들 눈에나 그렇게 보이는 것뿐이다.

개인의 영생과는 무관하게 오직 인류를 위해서 마인드 업로딩을 하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는 있겠다. 한 무제 때 마인드 업로딩 기술이 있었다면, 사마천은 마인드 업로딩을 하고 궁형 대신 사형을 받았을 것이다. 그런데 그런 건 인류의 지성을 선도하는 사람들이나 그럴 가치가 있는 것이지, 나처럼 머릿속에 든 게 똥밖에 없는 사람들은 굳이 업로딩까지 해서 보존할 필요가 없다. 똥 화석이면 모를까 왜 굳이 돈을 들여가며 똥을 보존하는가? 탄소 배출량만 헛되이 늘어날 것이다.

그리고 그보다 훨씬 더 큰 문제가 있다. 마인드를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할 정도면 업로드한 것을 분석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그러면 각 개인들의 온갖 추악하고 추접한 생각이 모두 다 드러날 것이다. 머릿속에 똥밖에 안 들었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추악하고 추접스러운 똥이라는 것이 드러난다고 생각해보자.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어차피 마인드 업로딩 해봐야 영생도 못할 건데, 그런 식으로 개인의 명예와 인간의 존엄성이 망가진다는 것이다. 도대체 마인드 업로딩 같은 것을 왜 해야 하나?

이렇게 본다면, 마인드 업로딩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해도 개인에게나 인류 전체에게나 거의 도움이 안 될 것이다. 도대체 뭐 하러 돈을 들여가며 마인드 업로딩 같은 기술을 개발하려고 한다는 것인가?

마인드 업로딩 옹호자들 중에 유행에 따라 주제만 바꾸는 뻥쟁이도 있겠지만, 전문적인 철학자도 있을 것이다. 업로드 되기 전의 사람과 업로드된 후의 사람 사이에 어떠한 연속성이 있다고 보니까 그러한 주장을 하는 것일 텐데, 어떤 근거로 그러한 연속성이 있다고 하는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나중에 기회가 될 때 마인드 업로딩을 옹호하는 전문 철학자들은 어떤 근거에서 그러한 주장을 하는지 논문을 살펴보아야겠다.

(2021.06.16.)


2021/08/15

[한국 가요] 샤프 (Sharp)



샤프 - 연극이 끝난 후 [1980년 제4회 MBC 대학가요제 은상]

( www.youtube.com/watch?v=s3uPXokhpnA )

(2020.03.31.)


주자학에 대한 안철수의 견해

     

안철수가 다산 선생 생가와 실학박물관에 다녀왔다고 한다. “200여 년 전 조선의 미래를 고민했던 다산 선생의 마음을 읽고 싶었”다고 한다. 뻑 하면 옛날 사람들한테 뭘 물어보는 사람들이 있다. 역사적인 인물이 어떤 대답을 해줄지, 그 인물이 그 당시 어떤 마음이었을지 묻는 것이다. 왜 묻는지 모르겠다. 다산 선생이 안철수를 만났다면 이렇게 대답했을 것이다. “이 놈! 어디 감히 중인 주제에 임금이 되려 하느냐?” 당시 다산 선생의 마음이라고 해도 그야말로 조선시대 양반들의 마음이었을 것이다. “자고로 존천리하고 거인욕해야 하거늘 백성들이 도탄에 빠져 항산이 없어 항심이 없으니 어쩌고 저쩌고” 하는 마음이었을 것이다. 21세기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그게 무슨 도움이 되고 조언이 되겠나.

 

물론 안철수가 정말 다산 선생의 마음을 알고 싶다든지 지혜를 얻고 싶어서 다산 선생 생가와 실학박물관을 간 것은 아닐 것이다. 안철수가 하고 싶은 말은 따로 있다.

 

“주자학의 굴레에 갇힌 비생산적인 논쟁이 정치뿐만 아니라 나라 전체를 퇴행시켰습니다. [...] 87년 민주화 이후 오랜 시간 이념과 진영 논리가 정치를 지배하며 국론을 가르고 나라 전체를 퇴행시켜 왔습니다. [...] 가짜뉴스와 거짓 선동이 과학기술적 사실을 무력화시키는 사이에, 우리는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에 낙오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 조선이 낳은 최고의 천재였고, ‘거중기’를 만든 과학기술자였고, 세상을 바꿀 계획을 가슴에 품었던 다산 선생이었지만, 다산의 꿈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그 꿈을 실행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못했고, 다산의 꿈을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정치체제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주자학의 굴레에 갇혀 쓸데없는 논쟁이나 하다가 나라 전체가 퇴행한 것이나 1987년 이후 이념 싸움이나 하다가 나라가 퇴행한 것이나 비슷하니까, 운동권 586들은 이제 좀 꺼지고 18세기의 다산 같은 사람이 정치에서 뜻을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정치인은 누구인가? 누굽니까-!!!!! 누구겠는가. 그런 정치인이 안철수라는 것이겠지. 이희호 여사처럼 산 사람이 원하는 대답을 안 해주니까 이제는 죽은 사람을 붙잡고 원하는 대답을 얻어내려고 한다.

 

정말로 조선이 주자학 때문에 나라가 퇴행하고 과학기술의 발전에 지장이 있었는가? 내가 역사를 잘 모르기는 하지만, 과학기술이 발전했다고 하는 세종대에 주자학 관련 서적도 중국에서 많이 들어왔다는 사실을 안다면, 누구라도 주자학 때문에 과학기술 발전에 문제가 생겼는지 의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고려 때 안향이 주자학을 들여왔다고 하지만, 사실 그렇게 중국에서 뭘 많이 가져온 것은 아니었다. 영락제 때 명에서 『사서대전(四書大全)』, 『오경대전(五經大全)』, 『성리대전(性理大全)』이 편찬되자, 세종은 명에 사신 보내면서 그것 좀 달라고 하고, 명에서는 안 준다고 하고, 주기는 주는데 찔끔찔끔 주고, 이런 과정을 거쳐서 조선에 그러한 대전들이 약 100년에 걸쳐서 들어온다. 주자학이 과학기술 발전에 지장을 준다는데 왜 세종은 명에 주자학 서적 좀 보내달라고 했을까? 세종이 아직 주자학의 쓴맛을 못 봐서?

 

100년에 걸쳐서 전집들이 조선에 다 들어왔을 때 그 전집들을 하나씩 요약해야겠다고 마음먹은 사람이 있었으니 그 사람이 퇴계 이황이다. 40대에 그렇게 마음먹고 20년 정도 요약을 열심히 하더니 조선성리학의 짱짱맨이 된다. 그런데 도산서원에 가면 퇴계 선생이 사용했다고 하는 개인용 혼천의가 있다. 왜 있는가? ‘격물치지 성의정심’이기 때문이다.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이고 뭐고 간에 그 전에 성의정심 해야 하는데, 성의정심보다도 앞서는 것이 ‘격물치지’다. 격물치지는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것이다. 왕수인이 격물치지 하겠다고 며칠 동안 대나무를 뚫어지게 보다가 병이 나는 내용이 『전습록』에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사물의 이치를 깨닫겠다고 대나무를 본 것이다. 쳐다보지 말고 성분분석 같은 것을 했으면 더 좋았겠지만, 하여간 이상하지 않은가? 주자학을 하는데 왜 과학기술이 망하나?

 

안철수는 그렇게 과학기술 같은 소리를 해놓고는 이렇게 말한다.

 

“이념과 진영 논리에 함몰돼 냄비에서 천천히 삶아지는 개구리의 운명을 맞을 것인가, 아니면 실용과 과학기술의 정신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나라로 대전환을 이룰 것인지 선택해야 합니다.”

 

도대체 그 놈의 개구리 타령은 언제까지 계속 되는 건지 모르겠다. 경영팔이 강사들이 개구리 삶은 소리나 하면서 기업을 돌아다녀도 먹고 산다는 것도 놀라운 일이지만, 이공계 출신 정치인도 그에 편승해서 개구리 타령 하는 것도 정말 놀라운 일이다.

 

개구리가 온도 변화에 둔감해서 냄비가 빨리 끓으면 튀어나오지만 천천히 끓으면 가만히 앉아 있다가 죽는 줄도 모르고 죽는다고 치자. 그러면 개구리들은 왜 겨울잠 자러 땅 속으로 들어가는가? 자연에서의 기온 변화는 냄비 물의 온도 변화보다 훨씬 적을 텐데, 왜 개구리들은 계절이 바뀌는 줄도 모르다가 땅바닥에서 얼어 죽지 않고 왜 땅 속으로 기어 들어가는가? 개구리들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주자학자들도 이 정도 추론은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냄비에서 천천히 삶아지는 개구리 같은 비-과학적인 소리를 하는 것부터 이념과 진영 논리에 함몰된 것인데, 한국이 이념 논쟁이나 하면서 망하고 있다고 말하니, 이건 도대체 무슨 이념에 함몰되어 그러는 것인가?

 

 

  

  

(2021.06.15.)

     

2021/08/14

[기타] 니콜라스 카, 4장. “사고가 깊어지는 단계” 요약 정리 (미완성)

     

[ Nicholas G. Carr (2010), The Shallows: How the Internet Is Changing the Way We Think, Read and Remember (W. W. Norton & Company).
  니콜라스 카, 「4장. 사고가 깊어지는 단계」,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최지향 옮김 (청림출판, 2015) ]
  
  
- 서적과 관련된 기술이 계속 발전했지만 여전히 구술문화는 책을 읽고 쓰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음.
- 묵독은 고대에 알려지지 않았음.
• 예)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에 나오는 묵독에 대해 놀라워하는 대목
- 초기 기록에는 띄어쓰기가 없었음.
• 스크립투라 콘티누아(Scriptura Continua)라고 함.
- 고대의 독자들은 책을 빨리 읽으려 하지 않았고 음독할 때의 악센트를 즐겼음.
  
- 중세가 되자 사람들은 책을 혼자서 빨리 읽고 싶어 함.
- 서기 1000년 작가들이 어순 법칙을 도입하면서 통사체계가 형성되기 시작했고, 띄어쓰기를 사용한 서적이 생겨남. 그러자 독자들의 독서 능력과 더불어 집중력이 향상됨.
- 야생 상태에서 변화에 잘 적응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에, 인간의 자연적인 뇌는 동물들의 뇌처럼 산만함.
- 책 읽는 것은 내부적인 흐름에 빠져들기 위해 주변의 자극에 무관심해져야 함.
  
- 이전에는 작가들이 구술하고 필경사들이 받아썼는데, 띄어쓰기 도입 이후 작가들이 글을 직접 쓰기 시작함.
- 작품이 개인적이고 모험적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 저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수정ㆍ편집하기 시작하면서 중복 서술 등이 사라짐.
- 14세기 후반 단락과 장이 나뉘기 시작했고, 목차를 싣기도 함.
- 이에 따라 도서관 건축도 변화함.
• 책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는 회랑은 조용히 읽는 공동 열람실로 변경됨.
  
- 구텐베르크는 활판, 압착기, 유성잉크를 이용해 금속활자를 발명함.
- 3년에 걸쳐 성경을 완성했지만 대출 이자를 못 갚게 되면서 푸스트에게 기계를 넘겼고 푸스트는 이를 이용해 큰 이익을 봄.
  
- 이탈리아의 인쇄업자 알두스 마누티우스가 8절판 책을 보급하면서, 책의 소형화는 독서의 일상화로 이어지고 중산층도 폭넓을 독서를 할 수 있게 됨.
- 책을 구하기 쉬워지자 글을 읽고 쓰고자 하는 욕구가 커졌고, 선순환이 일어남.
• 중산층들은 시민권의 두 조건인 쓰기와 읽기를 모두 수행할 수 있게 됨.
- 구텐베르크의 발명 이후 작가들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더 명료하고 독창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어휘가 급증함.

- 라디오, 영화, 오디오, 텔레비전 등 초기 전자 미디어는 글로 쓰인 문자를 전송할 수 없어서 책을 대체할 수 없었음.
  
  
(2017.12.03.)
     

2021/08/13

[과학철학] Popper (1979), Ch 4 “On the Theory of the Objective Mind” 요약 정리 (미완성)

     

[ Karl R. Popper (1979), Objective Knowledge: An Evolutionary Approach, Revised edition (Clarendon Press), pp. 153-190.

  칼 포퍼, 「4장. 객관적 정신의 이론에 관하여」, 『객관적 지식: 진화론적 접근』, 이한구・정연교・이창환 옮김 (철학과현실사, 2013), 242-296쪽. ]

 

 

  1. Pluralism and the Principle of the Three Worlds

  2.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the Three Worlds

  3. The Objectivity of the Third World

  4. The Third World as a Man-Made Product

  5.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6. Psychological Processes of Thought and Third-World Objects

  7. Understanding and Problem-Solving

  8. A Very Trivial Example

  9. A Case of Objective Historical Understanding

  10. The Value of Problems

  11. Understanding (‘Hermeneutics’) in the Humanities

  12. Comparison with Collingwood’s Method of Subjective Re-enactment

 

 

  1. Pluralism and the Principle of the Three Worlds



  2.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the Three Worlds


세계1과 세계3의 중재자로서 세계2



  3. The Objectivity of the Third World

  4. The Third World as a Man-Made Product

  5.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6. Psychological Processes of Thought and Third-World Objects

  7. Understanding and Problem-Solving

  8. A Very Trivial Example



  9. A Case of Objective Historical Understanding


역사적 이해의 문제

모든 역사적 이해의 주요한 목표는 역사적 문제 상황에 대한 가설적 재구성임.

예: 갈릴레오 조수 이론



  10. The Value of Problems

  11. Understanding (‘Hermeneutics’) in the Humanities

  12. Comparison with Collingwood’s Method of Subjective Re-enactment





(2022.08.17.)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