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22

철학과 신앙의 괴리

     

교회를 다녀서 여러 가지 좋은 점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기독교와 관련된 민감한 주제를 비교적 자유롭게 말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교회 다니는 사람들 앞에서도 “저도 교회를 다니지만 창조과학이 어떻게 과학입니까?”라고 말해도 별로 거리낄 것이 없고 듣는 사람들도 대체로 호의적으로 받아들인다. 내가 비-신자였다면 내가 말하면서도 꺼리는 바가 있었을 것이고 듣는 사람들도 곱게 듣지는 않았을 것이다.
  
며칠 전 어떤 할아버지가 나에게 철학과 과학과 신앙의 관계에 대해 물어보았다. 그 할아버지가 아는 사람 중에 원래 신앙이 있었으나 과학을 접하고 신앙을 버린 사람도 있고 그 반대인 사람도 있다고 하면서 과학철학을 하면서 신앙을 가진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 물어보았다. 나는 철학도 모르고 과학도 모르는데 가끔씩 사람들이 그런 것을 묻는다.
  
나는 교회를 다니면서 그러한 고민을 해본 적이 없다. 일단 철학을 잘한 다음에나 철학과 신앙의 관계를 고민을 하지, 철학도 쥐뿔 못하는 놈이 철학과 신앙의 괴리에서 고민한다는 것은 주제 넘는 일이다. 그리고 교회를 다니면 그걸로 됐지 내가 철학도 못해 죽겠는데 신학적인 고민까지 해야 할 필요는 없는 것 같다. 내가 다니는 교회에 나와 비슷한 연령대의 예쁘고 똑똑한 여성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 교회에서 내가 거의 유일한 청년인데, 그런 상황에서도 나는 교회를 매주 꼬박꼬박 나간다. 내가 이 정도 하면 신도 나를 갸륵하게 봐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 신이 없으면 어쩔 수 없겠지만 말이다. 하여간 그 할아버지는 나에게 철학과 과학과 신앙의 괴리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고 물었고 나는 세 가지 태도가 가능할 것 같다고 답했다.
  
첫 번째는 어떻게든 그 세 가지를 맞추어보려는 태도다. 말을 지어내는 것은 어렵지 않으니까 얼마든지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하나님이 창조한 것은 맞는데 한 방에 다 창조한 것이 아니고 각 종으로 분화하게끔 창조를 하셨다고 할 수도 있고, 창세기 1장에 하루에 무슨 무슨 작업을 했다고 나오는데 그 하루가 꼭 지구의 태양 공전주기를 가리킨다는 보장이 없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런 일은 신학자가 하면 되지 굳이 일반인들이 할 일은 아니다. 해봤자 피곤하고 성과도 없고 먹고 사는 데 도움도 안 되고 연구 실적으로 인정되지도 않는다.
   
두 번째는 그냥 그러한 괴리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내가 공부를 많이 한 건 아니지만 내가 알기로 최종적인 해결책이 나온 문제는 거의 없거나 매우 적다. 대충 어디까지는 맞는데 해결책이 안 나왔거나 해결책이 곧 나오는 줄 알았는데 어디서 다른 이론이 튀어나와서 그 판을 다시 어질러 놓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 마당에 철학과 과학과 신앙이 아귀가 딱 맞아떨어지면 그게 더 이상할 것이다. 괴리가 있으면 ‘아, 혼란하다, 혼란해’ 하면서 그냥 그 상황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방법도 있다.
  
세 번째는 학부 때 천주교 신자인 어떤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이다. 창조론이 옳은가, 진화론이 옳은가? 월화수목금토까지는 진화론이 옳고 일요일에는 창조론이 옳다는 것이다. 나는 세 번째 태도를 지지하는데, 정확히 말하자면 일요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창조론이 옳다는 수정된 버전을 지지한다. 오전 11시에 오전 예배가 시작되는데 예배 시작 30분 전부터 예배당에 앉아있으니까 오전 10시 30분부터 옳고, 내가 오전 예배를 보고 점심까지는 교회에서 먹는데 오후 예배는 안 보고 집에 오니까 오후 1시 30분까지 옳다. 그 선생님이 나처럼 시간까지 구분하지 않고 요일만 구분하는 것은 나보다 신앙심이 깊어서 일요일에는 안식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2018.11.22.)
    

2019/01/21

[과학기술학] Latour (1983), “Give Me a Laboratory and I will Raise the World” 요약 정리 (미완성)



[ Bruno Latour (1983), “Give Me a Laboratory and I will Raise the World”, in K. Knorr-Cetina and M. Mulkay (eds.)(1983), Science Observed (SAGE), pp. 141-170.

브뤼노 라투르, 「나에게 실험실을 달라, 그러면 내가 세상을 들어올리리라」, 김명진 옮김, 『과학사상』 제44호(2003), 43-82쪽. ]

I. “나에게 딛고 설 장소를 달라, 그러면 내가 지구를 움직이리라” (Give me a place to stand and I will move the earth)

1. 1단계 행동: 다른 사람들의 이해관계를 포착하다

(Move one: capturing others’ interests)

2. 2단계 행동: 약한 곳에서 강한 곳으로 받침점을 이동하다

(Move two: moving the leverage point from a weak to a strong position)

3. 3단계 행동: 지렛대로 세상을 움직이다

(Move three: moving the world with the lever)

II. 실험실 위치설정의 위상기하학

(Topology of laboratory positioning)

1. 내부/외부 이분법의 해체

(Dissolution of the inside/outside dichotomy)

2. 규모의 차이 파괴

(Playing havoc with differences of scale)

III. 어떻게 가장 약한 곳이 가장 강한 곳으로 바뀌는가

(How the weakest becomes the strongest)

I. “나에게 딛고 설 장소를 달라, 그러면 내가 지구를 움직이리라”

(Give me a place to stand and I will move the earth)

1. 1단계 행동: 다른 사람들의 이해관계를 포착하다

(Move one: capturing others’ interests)

2. 2단계 행동: 약한 곳에서 강한 곳으로 받침점을 이동하다

(Move two: moving the leverage point from a weak to a strong position)

3. 3단계 행동: 지렛대로 세상을 움직이다

(Move three: moving the world with the lever)

II. 실험실 위치설정의 위상기하학

(Topology of laboratory positioning)

1. 내부/외부 이분법의 해체

(Dissolution of the inside/outside dichotomy)

2. 규모의 차이 파괴

(Playing havoc with differences of scale)

III. 어떻게 가장 약한 곳이 가장 강한 곳으로 바뀌는가

(How the weakest becomes the strongest)

(2024.07.08.)


2019/01/20

[국방TV] 순삭밀톡 - 밀리터리 패션 (남보람 박사)

     

올겨울 이거 하나면 핵인싸?
 
처칠은 킹스맨이었다!
 
영국 해군에서 시작된 뽀대나는 남자들의 겨울코트
 
왜 세라복일까?
 
나팔바지가 없었다면 보헤미안랩소디도 없었다(?)
 
마! 이게 진짜 오리지날 바바리다!
 
하늘의 사나이 상징 ‘빨간마후라’가 원래는 ‘하얀마후라’?
 
영국왕실과 샤넬도 반한 전차영웅의 잇템
 
명품시계 사기 전, 알아야 할 것들
 
영국군의 운명은 이 뒤태 전후로 나뉜다
 
군복에서 타미힐피거까지 깔깔이 그 전설의 시작!
 
아재? 랩퍼? 한끗차이로 달라지는 힙한패션
 
비싼 텐트 살 필요 없다~ 판초 하나면 끝!
  
미군, 이거 없으면 어쩔뻔 했어? 미군 군복 변천사
  
  
(2021.03.25.)
     

2019/01/18

연구의 급

     

우석훈 박사는 자신을 C급 경제학자라고 소개한다. 왜 그렇게 소개하는지는 모르겠다. 좌파를 자처하는 사람들 중에 급을 따지는 사람들이 있다. 김규항은 B급 좌파이고 우석훈은 C급 경제학자다. 누가 우석훈 박사를 A급 경제학자라고 불러서 그렇게 소개하는 건가?
  
우석훈 박사는 C급 경제학자라는 말을 쓰면서 A급 경제학자부터 C급 경제학자까지 정의내린 적이 있다. A급 학자는 경제학의 흐름을 바꾼 사람이다. 케인즈나 프리드먼이나 루카스 등이 여기에 속할 것이다. B급 학자는 A급 학자들이 만든 이론을 보완해주는 사람이다. A급 학자들이 이론의 큰 틀은 제시하더라도 세부사항까지 모두 만드는 것은 아니니까 B급 학자들이 A급 학자가 만든 이론의 빈틈을 채운다. C급 학자는 A급 학자가 만들고 B급 학자가 보완한 이론이 현실에 맞는지 안 맞는지 확인하는 사람이다. 외국 이론 가져와서 한국에 맞나 안 맞나 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학자가 C급 학자이고, 우석훈 자신이 여기에 속한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이야기는 유영제 교수의 『이공계 연구실 이야기』에 나온다. 이 책에서 유영제 교수는 연구라고 다 같은 연구가 아니고 연구마다 급이 있다고 말한다. 이공계에서 연구의 급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고 한다.
  
• A+급: 연구 방법론이 매우 창의적이고, 연구 결과의 파급 효과가 매우 큰 경우. 그래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거나 방법론의 돌파구를 제시할 수 있는, 또는 새로운 연구 분야를 창출할만한 영향력이 기대되는 연구
  
• A급: 기존의 연구를 한 단계 레벨업 시킬 수 있는 연구 방법 제시 또는 연구 결과의 창출이 기대되는 연구
  
• B+급: 여러 가지 다양한 경우를 조사, 시험하여 최고의 결과를 낼 수 있는 최적화된 조건을 찾아내려고 하는 연구, 기존 연구의 개선, 개량 수준의 연구
  
• B급: 기존 보고된 연구와 비교할 때 연구 대상이나 재료를 바꾼 연구. 그래도 연구 결과로서 새로운 데이터의 제시 및 우리의 지식 창고를 풍부하게 한다는 면에서 가치가 있다.
  
이공계 기준에 따르면 우석훈 박사는 B급이라고 할 수 있다.
  
  
* 참고: 유영제, 『이공계 연구실 이야기』 (동아시아, 2009), 136쪽.
  
  
(2018.11.18.)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