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7/09
정부의 학술 지원에 대하여
2018/07/08
호메오박스
각 종마다 몸의 각 부분이 붙어있는 순서가 있다. 인간은 머리-목-가슴-허리-다리로 구성되고 오징어나 문어 같은 두족류는 몸통-머리-다리로 구성된다. 왜 몸의 각 부분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붙어있는 것인가?
미국의 유전학자 에드워드 루이스(Edward Lewis)는 1940년대부터 초파리의 체절 형성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연구했다. 1980년 독일의 생물학자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 폴하르트(Christiane Nüsslein-Volhard)와 미국의 발달생물학자 에릭 F. 비샤우스(Eric Wieschaus)는 초파리의 몸이 머리, 가슴, 배의 순서로 구성되는 것은 유전자 2만여 개 중 15개가 특별히 작동하기 때문이라는 내용의 논문을 <네이처>(Nature)에 게재했고, 에드워드 루이스(Edward B. Lewis)는 이를 토대로 초파리 실험을 진행하여 신체 각 부위를 담당하는 유전자들이 이미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혹스 유전자’(hox gene)가 발견된 것이다. 이들 세 사람은 199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혹스’는 호메오박스(homeobox)의 줄임말이다. 호메오박스는 180개 염기쌍으로 구성된 특정 DNA 서열로, DNA에서 RNA가 만들어지는 전사 과정에서 신체가 특정 순서와 형태로 발생하도록 작용한다. 쉽게 말하자면, 호메오박스는 초파리의 모든 세포에서 전사 과정의 스위치를 정교하게 작동시켜서 세포들의 운명을 결정하는 마스터 스위치 역할을 한다.
호메오박스가 초파리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다. 1980년대부터 쥐나 인간 같은 척추동물에게서도 호메오박스가 발견되기 시작했다. 초파리의 발생 과정에서 배아의 전후 축을 결정하는 염기서열은 포유류의 척추와 골격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에도 같은 형태로 보전되어있음이 밝혀졌다. 유사한 염기서열이 계통적으로 동떨어진 종에서도 매우 유사한 기능을 하게끔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초파리의 호메오박스를 생쥐 배아에 이식하면 원래 생쥐 호메오박스가 하는 역할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초파리에서 발견된 아이리스 유전자, 사람에게서 발견된 아니리디아 유전자, 쥐에게서 발견된 스몰아이 유전자를 묶어서 팍스6 유전자라고 하는데, 팍스6 유전자는 동물의 눈 발생에 관여한다. 인간의 팍스6 유전자를 눈 없는 초파리에게 이식하면 눈이 생기고 초파리 배에 넣으면 배에 눈이 생긴다.
이러한 일은 팍스6 유전자가 배아 발생의 꼭대기에서 미분화된 세포의 운명을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팍스6 유전자를 발견하는 데 공헌을 한 스위스의 발생학자 윌리엄 게링(William Gehring)은 이런 유형의 유전자를 ‘마스터 조절 유전자’(master control genes)라고 명명했다. 마스터 조절 유전자에는 심장 발생에 관여하는 틴먼 유전자, 다리 발생에 관여하는 디스탈리스 유전자 등이 있다.
.
.
.
.
.
일요일 오후 1시 우정교회
- 나: “[...] 그러니까 <창세기>에 뱀에게 다리가 있었으나 하와를 유혹하여 죄를 범하게 한 뒤 저주를 받아 다리를 잃고 배로 기어 다니게 되었다고 한 것은 하나님이 뱀의 혹스 유전자를 조작했다는 것이지요.”
- 목사님: “아, 〇〇 형제가 하는 말이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어요.”
(2018.05.08.)
2018/07/07
[과학사회학] 김기흥 (2009), 2장. “크로이츠펠트와 야코프” 요약 정리 (미완성)
[ 김기흥, 『광우병 논쟁』 (해나무, 2009). ]
1. 뇌, 의학연구의 최전선
2. 흔적 없는 암살자
3. 미분류 치매의 처리장
4. 리비아 유태인과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1. 뇌, 의학연구의 최전선
39-40
체계적인 뇌 연구가 시작된 것은 현미경이 발달하고 해부학이 발전한 19세기 이후.
그러나 우리는 뇌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잘 모르고 특히 치매나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에 대해서는 더욱 모름.
2. 흔적 없는 암살자
40-43
독일 신경학자인 크로이츠펠트(Hans Gerhard Creutzfeldt)는 1913년에 23세 여성 환자 베르타 엘슈커를 치료하게 됨.
보행에 어려움이 있었고 몸을 떨며 말하기 능력을 잃어가던 환자는, 결국 반복 발작을 일으키다가 입원 3개월 후 사망.
사후 부검을 통해 크로이츠펠트는 뇌의 회백질에서 염증을 동 반하지 않는 손상을 발견했고, 그 논문은 1920년이 되어서야 세상에 알려졌다.
43-44
한편 독일의 야코프가 그 소식을 접했을 때 그는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4명의 환자들을 연구하고 있었다.
그 환자들이 사망한 뒤 부검하자 염증 없이 손상된 뇌와 신경조직이 발견되었고 논문으로 발표했다.
- 스필마이어는 그 둘이 발표한 질병이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크로이펠츠야코프병’(CJD)이라는 이름을 제안함.
3. 미분류 치매의 처리장
44-
20세기 초 이 새로운 뇌질환은 의학계의 큰 관심을 끌지 못함.
1960년대 영국 신경학자들은 CJD를 ‘미분류 치매의 처리장’이라고 주장하기도 함.
CJD는 매우 희귀하게 발생했으며 진단도 쉽지 않았다. 더구나 많은 신경학자들이 특이하거나 기준에서 벗어나는 증상을 보이는 질환을 발견함으로써 자신의 업적을 알리고 그 질병에 자신의 이름을 붙이려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에 CJD는 1960년대 여러 가지 하부 유형으로 나뉘게 되었다.
1970년대 CJD는 유전적 요인으로 발병할 수도 있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58세 정도라고 보고되었다.
4. 리비아 유태인과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2019.11.15.)
2018/07/05
과학철학, 과학사, 과학기술학의 차이
전원주택을 처음 구입하는 사람들의 과욕
예전에 박재희 박사가 EBS에서 손자병법 강의할 때 한국인과 중국인이 처음 사업할 때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한 적이 있다. 사업 자금이 1억 원 있으면 중국인은 그 돈을 3등분하여 세 번 사업한다고 한다. 처음 사업하면 무조건 망하게 되어 있으니 사업 ...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
-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정소연 옮김 (궁리, 2007). ] [1] <런던 중앙 인공부화, 조건반사 양육소> 34층밖에 안 되는 나지막한 회색 건물 세계 정부의 표어: “공동체, 동일성, 안정” 선과 행복을...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粱...
-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는 정말 재미없는 책이다. 사전과 비슷한 책이라서 재미난 부분이라고는 한 군데도 없다. 나는 그 책을 두 번이나 읽었다. 정확히 말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칸트 직전까지만 두 번 읽었다. 나는 왜 ...
-
2019년 5월 7일(화) 어머니에게서 전화가 왔다. 어머니가 퇴근하고 집에 오다 보니 집 근처에 있는 밭에서 인부들이 포크래인으로 흄관을 묻고 있었다고 한다. 어떻게 된 일이냐고 물으니 인부들은 “농어촌공사의 허가를 받았다”고만 말하고는 서둘러 퇴근...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김누리 교수는 <세바시>에서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요구하는 내용의 강연을 했다. 강연 서두에서 김누리 교수는 어떻게 아동 우울증이 가능하냐고 묻는다. 어떻게 아이 앞에 우울이라는 말이 붙을 수 있느냐, 이건 검은 백마 ...
-
‘중뿔나다’라는 표현이 있다. (i) 어떤 일에 별 관계도 없는 사람이 주제넘게 불쑥 나서는 행위나 (ii) 하는 일이나 모양이 유별나고 엉뚱한 경우를 가리키는 고유어라고 한다. ‘중뿔’은 가운데에 돋은 뿔이다. 소나 양, 염소 같은 가축은 일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