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23
2017/01/22
[경제학의 철학] Cartwright (2007), Ch 15 “The vanity of rigour in economics: theoretical models and galilean experiments” 요약 정리 (미완성)
[ Nancy Cartwright (2007), Hunting Causes and Using Them: Approaches in Philosophy and Econo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17-235.
Nancy Cartwright (2005), “The vanity of rigour in economics: theoretical models and galilean experiments”, in P. Fontaine and R. Leonard (eds.)(2005), The Experiment in the History of Economics (Routledge), pp. 135-153. ]
1. Introduction
2. External validity: a problem for models and experiments alike
3. Tendencies and Galilean idealizations
4. How deductivity can be secured and at what cost
5. Conclusion
1. Introduction
p.118 #1
경제학은 비현실적인 가설을 사용한다는 부당한 비판을 받아왔다.
카트라이트는 경제 모형을 물리학의 어떠한 ideal experiment와 비교한다.
예) 갈릴레오의 빗면 사고 실험
■ 유사체 경제 [pp.118-119]
- 이 장의 주제는 경제학에서의 실험이다.
- 이 장의 목표는 실험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실험을 사용하여 경제학에서의 이론 형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 루카스는 ‘analogue economies’를 말했다.
- 우리는 법칙이나 원리를 정하기보다는 행위자, 부문, 다른 중요 인과적 요소에 대한 기술로부터 그러한 법칙이나 원리를 정당화한다.
- 우리는 induction에 의해 성립한 ‘low-level empirical’ relations를 사용하는 게 아니라 모형의 구조와 가정에 의해 고정된 behaviour of the features를 사용한다. 이때 모형의 구조와 가정은 그것을 이론화하는데 논란이 없는 몇몇 일반 원리와 함께한다.
- 루카스는 유사체 경제(analogue economies)의 특징은 그것에 관한 모든 것이 알려져 있다는 점, 즉 전적으로 명시적이라는 것이라고 한다.
- 유사체 경제는 연역을 사용한다. 경제의 일반 원리와 특성이 주어졌을 때 무엇이 일어날지 알기 때문이다.
- 하지만 trade-off가 있다. 모형은 unreal이다.
■ p.119 #4
- analogue economies를 real economies와 어떻게 관련짓는가?
- 갈릴레이 실험 같은 ideal experiments
- 여기서 연역이 사용된다.
- 경제 모형에서 연역을 달성되는 방법이 empirical reality에 관한 genuine truths를 가르칠 가능성을 훼손하는 것은 아닌가?
카트라이트의 의심은 연역이 경제 모형에서 달성되는 방식이 모형이 경험적 실재에 대한 참을 우리에게 가르치는 가능성을 약화시킨다는 것.
p.119 #5
이 글은 경제 모형의 가정의 비-실재론(unrealism)을 다룸
3장
밀의 용어를 사용한다면, 모형의 목표는 일어나는 전반적인 behaviour를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방식으로 일어나는 tendencies를 확립하는 것
4장
우리가 전제로 사용하는 원리들이 매우 적다면, 경제학에서 연역적인 결론을 어떻게 도출할 수 있는가?
5장
2. External validity: a problem for models and experiments alike
p.120 #3
우리가 사회 과학에서 실험이나 유사 실험을 설계할 때, ‘내적 타당성’과 ‘외적 타당성’을 동시에 목적함.
3. Tendencies and Galilean idealizations
p.121 #4
카트라이트의 주장: 모형이나 실험에 등장하는 비-실제적 가정들은 문제가 아니라는 것
p.122 #2
예) skill-loss 모형
p.122 #4
우리는 왜 stable tendencies 개념에 의존하는가? 어떤 상황이든 skill loss는 실업 충격을 지속하게 하는 경향이 있음.
p.123 #4
갈릴레이 식 이상화
p.124 #1
trade-off
4. How deductivity can be secured and at what cost
p.125 #1
카트라이트가 제기한 문제: 일반적으로 이론적 모형에 등장하는, 거짓인 수많은 가정들은 갈릴레이 식 이상화의 형식이 아니라는 것
p.125 #3
카트라이트의
관찰(1): 모형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개념들은 구체적인 경험적 개념들이다.
관찰(2): 연역을 통하여 개념들 사이의 유용한 관계들을 확립함
관찰(3): 전제된 이론이 매우 빈약함. 연역에서 사용할 원리가 많지 않음
p.125 #4
루카스는 화폐 환상 연구를 사용함
p.126 #4
루카스의 ‘abstract model economy’
p.127 #!
- 경제 모형이 왜 경제들에 수많은 구조를 제공해야만 하는가?
- 내적 원리와 교량 원리
p.128 #1
카트라이트의 주장
model-specific assumptions는 보편적인 원리가 드물 때 연역적으로 타당한 결과들을 보장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모형의) 결론들의 타당성은 매우 특수한 수많은 가정들이 상호연결된 것에 의존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p.128 #2
예) 화폐 중립성에 대한 루카스의 모형
p.128 #3
루카스가 기술한 유사체 경제는 실험과 같음.
우리가 운이 좋다면 실험을 수행할 필요가 없을 것임. 왜냐하면 우리는 무엇이 일어나야만 하는지를 연역을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임.
그러나 이러한 연역에서 비-갈릴레이 식 이상화들이 작동한다면 전체적인 전략이 위협받음.
p.130 #1
유사체 경제에서 일어나는 것은 정확히 그것이 연역적으로 함축하는 것임
5. Conclusion
p.133 #2
경제학이 형식화하는 것(formalizing)보다 수학화하는 것(mathematizing)에 고수한다면, 모형이 경제의 구체적인 특질에 관한 일반적인 사실을 우리에게 알려줄 수 있는지 여부를 아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2018.02.22.)
2017/01/21
2017/01/20
땅콩망 위에 올라탄 화천이 새끼들
화천이 새끼 중 눈파란놈이 땅콩 담은 망을 끌어안고 있었다. 평평한 곳도 많은데 굳이 울퉁불퉁한 땅콩 망을 끌어안고 있었다.
눈파란놈이 그렇게 가만히 쉬고 있는데 눈노란놈이 괜히 눈파란놈을 앞발로 툭툭 치더니 두 마리가 투닥거렸다. 눈파란놈이 이겨서 눈노란놈이 다른 곳으로 가고 눈파란놈이 땅콩 망에 올라갔다. 눈파란놈도 굳이 땅콩 망 위에서 올라가 땅콩 망에 등을 비볐다. 고양이도 지압을 좋아하는지는 모르겠다.
(2016.11.20.)
2017/01/19
[강연] 유시민
[경남신문] 창원 시민학교 강의서 밝힌 조국 논란 관련 언론보도와 검찰수사 /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tbsTV] TV책방 북소리 - 128회. 유시민 『표현의 기술』 편
[정치카페 주말호외] 글쓰기 토크쇼 (유시민, 진중권, 김남희)
[2014 교보문고 명강의 BIG10] 유시민 편
[양화진 목요강좌] 패배한 정치인의 발랄한 바리케이트 이탈기 /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유시민이 들려주는 논리적 글쓰기
(2021.04.22.)
피드 구독하기:
글 (Atom)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

-
대학원에는 학위를 받으면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주변 사람에게 주는 풍습이 있다. 예전과 달리 오늘날에는 논문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공개되지만 여전히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나누어주는 풍습이 남아있다. 어떤 행동 유형이 관례로 자리 잡으면 그 자체로 관성을...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만화로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지난 주 사랑방 욕실 벽에 청개구리가 붙어 있었다. 언제 어떻게 들어왔나 모르겠다. 작년 여름에 창문 틈으로 청개구리가 들어온 적이 있기는 한데, 그래도 작년에 들어온 청개구리는 아닐 것이다. 그런데 청개구리가 올해 들어왔다고 해도 이상하다. 내가 창...
-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는 정말 재미없는 책이다. 사전과 비슷한 책이라서 재미난 부분이라고는 한 군데도 없다. 나는 그 책을 두 번이나 읽었다. 정확히 말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칸트 직전까지만 두 번 읽었다. 나는 왜 ...
-
1회. 불교사 완벽하게 끝내기! ( www.youtube.com/watch?v=PcQVY_xCphQ ) 2회. 재분열하는 불교 ( www.youtube.com/watch?v=OFAQdR4i65I ) 3회. 인도...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
-
멕시코 어부와 하버드 MBA 출신 사업가에 관한 우화가 있다. 이 우화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코스타리카 버전, 인도 버전, 자메이카 버전, 서아프리카 버전 등도 있으나, 이야기의 기본 뼈대는 거의 비슷하다. 멕시코에 놀러온 사업가가 바닷가에서 빈둥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