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4/01

강남좌파의 이중성?



강남좌파가 단지 진보적인 목소리를 낸다는 이유만으로 그들을 비난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왜 그러는가?

가난한 사람이 진보적인 이야기 하면 사회에 불만 많은 찌질이 인생 패배자라고 하고, 부유한 사람이 진보적인 이야기 하면 위선적인 이중인격 강남좌파라고 한다. 자기 자식한테 신경 많이 쓴 사람이 진보적인 이야기를 하면 자기 자식이나 위하는 사람이 선심 쓰는 척한다고 욕하고, 사회운동 같은 거 하느라 자기 자식한테 신경 못 쓴 사람이 진보적인 이야기를 하면 자기 자식도 간수 못하면서 남의 자식 걱정하는 위선자라고 욕한다. 이건 진보적인 이야기를 아예 하지 말라는 것이다.





흙수저 같은 소리를 하려면 자기 기득권부터 버리고 하라는 사람도 있다. 자기가 흙수저라고 우기는 것도 아니고 취약 계층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데 기득권을 버려야 하는 건가? 기득권을 버린다는 것도 어떤 것인지 모르겠다. 재산 다 헌납하고 빈털터리가 되라는 건지(그러면 가난뱅이라고 비웃는다), 집에 재산 있고 애가 머리가 좋아도 좋은 학교 보내지 말라는 건지(그러면 학력이 후지다고 비웃는다), 국회의원직을 포기하라는 건지(그러면 국회의원도 아닌데 왜 설치냐고 욕먹는다) 모르겠다. 모를 수밖에 없다. 애초부터 개소리이기 때문이다.

재산 있고 좋은 교육 받은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 계층에 있는 사람보다 고급 정보를 접하기도 쉬울 것이고 그러한 정보를 처리하거나 해석하는 것도 더 능숙할 것이다. 그런 사람들이 자기 배만 불리는 게 아니라 사회 문제를 해결하자고 나서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다. 어떠한 주장이 틀리면 틀리다고 하면 되지 아예 입을 틀어막으려고 별것을 가지고 다 시비를 거는 놈들이 있다. 그런 놈들이 자유주의는 또 환장하고 좋아한다. 그런데 그런 놈들이 자유주의가 무엇인지 알기나 하고 그러는 것인가?

강남좌파보고 이중인격이라고 비난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흙수저 타령 하려면 자기 기득권부터 버리고 하라고 말하는 사람이 이중인격이어야 한다. 이중인격이면 인격 중 절반은 정상일 가능성이 있는데, 지금처럼 철두철미하게 일관되면 그럴 가능성조차 없기 때문이다.

(2016.02.01.)


2016/03/31

[거시경제학] 거시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 거시경제학의 연구 과제


- 거시경제학은 경제를 전체적으로 분석, 연구하는 학문으로 다양한 주요 이슈나 문제들에 대한 설명과 해답을 구하려는 경제학의 한 분야임.


- 거시경제학의 연구과제는 크게 경제성장과 경기변동이라고 할 수 있음.

- 경제성장이론(economic growth theory)에서는 장기적인 추세에 따른 GDP의 증가를 다룸.

- 경기변동이론(business cycle theory)에서는 단기의 대・내외적 충격에 따른 GDP의 변동에 대해 다룸.

- 거시경제의 목표는 크게 완전고용, 물가안정, 대외균형

- 거시경제정책은 경제성장과 경기변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거시경제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임.


- 주요 쟁점들

• 소득증대

• 인플레이션의 변화

• 실업률의 변화

- 주요 문제점들

• 무엇이 경기침체(recessions)를 일으키는가?

• 어떻게 정부 재정적자(government budget deficit)가 노동자, 소비자, 기업 등에 영향을 미치는가?

• 왜 생활비가 지속적으로 오르는가?

• 왜 많은 국가들이 가난한가? 어떤 정책이 이들 국가들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게 도울 수 있는가?

• 어떻게 무역 적자(trade deficit)가 국가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가?



■ 경제성장과 경기변동


- 실질 GDP 증가율(성장률) = 추세성장률 + 경기변동분

- 추세성장률: 장기적인 GDP의 증가율

- 경기변동분: 단기적으로 실질 GDP가 추세로부터 벗어나는 정도


- 경제성장이론: 추세성장률에 대해 다루며, 추세성장률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연구함.

• 경제성장이론은 생활수준의 장기적인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이론

- 경기변동이론: 실질 GDP(증가율)가 단기적으로 추세(성장률)에서 벗어나는 이유와 경기변동분의 변동성(volatility)과 지속성(persistence) 등을 연구함.


- 잠재 GDP: 경제가 잠재성장률을 따라간다고 가정했을 경우의 실질 GDP


- 경기변동의 특성

• (1) 실제 GDP와 잠재 GDP가 같은 경우는 드묾.

• (2) 상하 진폭에 규칙성이 없음.

• (3) 길이를 나타내는 주기에도 규칙성이 없음.

- 경기변동의 규칙성

• (1) 반복성: 잠재 GDP에서 벗어난 실제 GDP는 반드시 잠재 GDP로 복귀함.

• (2) 지속성: 실제 GDP가 잠재 GDP에서 벗어나면 벗어난 쪽에서 상당 기간 머묾.

- 경기변동은 사회적 비용을 일으킴.

• 경기 변동분이 양(실제 GDP > 잠재 GDP)이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함.

• 경기 변동분이 음(실제 GDP < 잠재 GDP)이면 실업이 발생함.



■ 거시경제의 목표: 완전고용


- 완전고용(full employment): 주어진 임금수준에서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이 모두 고용되는 것을 의미(마찰적 실업, 구조적 실업은 제외)

• 마찰적 실업(frictional unemployment): 일자리 탐색과정에서 나타남

• 구조적 실업(structural unemployment): 경제구조 변화와 제도적 요인 때문에 발생

- 완전고용(자연) 실업률: 완전고용에서의 실업률

• 주어진 경제구조에서 자연적인 것

• 장기적으로 경제구조나 노동시장이 바뀌면서 변화함.


- 단기적으로 어떻게 완전고용을 달성할 수 있는가?

- 장기적으로 어떻게 완전고용 실업률을 낮출 수 있는가?



■ 거시경제의 목표: 물가안정


- 물가안정은 일차적으로 화폐가치를 안정시킴으로써 교환질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음.

- 인플레이션이 완만하여도 변동이 심하면 경제적 의사결정에서 불확실성으로 작용하여 소비나 투자 등을 위축시킬 수 있음.

-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물가안정목표의 달성을 최우선시하며, 이를 위해 통화량의 규모와 목표 콜금리의 설정 등 금융정책을 사용함.



■ 거시경제의 목표: 대외균형


- 대외균형은 보통 무역수지와 소득수지를 합한 경상수지의 균형을 의미함.

- 국제수지가 장기간 적자를 기록하는 것은 계속적인 외환의 유출을 의미하며, 경제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국제수지 흑자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음. 지나친 외환 축적은 국내 소비자 물가를 상승시켜 소비를 제한하게 됨.

- 대외균형뿐 아니라 환율과 관련된 여러 가지 경제현상들도 거시경제의 중요한 연구과제



■ 거시경제정책


- 거시경제정책: 재정정책과 금융정책

• 재정정책(fiscal policy): 정부의 지출과 조세로 구성

• 금융정책(monetary policy): 중앙은행에 의해 시행되며 화폐공급이 주요 정책수단임

- 거시경제정책은 단기적으로 경기변동을 안정화(stabilization)하고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됨.

- 여러 거시경제정책의 시행방법과 파급경로 및 효과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 거시경제학의 연구방법


-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해 관심 있는 거시경제의 변수나 현상을 설명하고 미래를 예측함.

- 거시경제의 모형의 구성

• 경제주체

• 내생변수와 외생변수

• 가격의 경직성과 유연성

• 불확실성과 기대의 형성

• 시장의 형태와 균형



■ 경제주체


- 모형을 설정하려면 먼저 경제주체를 상정해야 함.

- 효용을 극대화하는 경제주체 vs. 행위방정식을 통해 정의되는 경제주체

- 동질적 경제주체 vs 이질적 경제주체

• 대표적 경제주체모형: 모든 경제주체가 동질적이라고 가정하기 때문에 이질성이 경제문제의 본질을 이루는 경우 사용할 수 없음.

• 예) 실업 문제, 소득과 부의 분배 문제

 


■ 내생변수와 외생변수


-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 경제모형 안에서 결정되는 변수

• 경제모형이 설명하고자 하는 변수

• 경제주체들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변수

- 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 경제모형 밖에서 결정되는 변수

• 경제모형은 외생변수를 주어진 것으로 봄.

- 경제모형은 외생변수의 변화가 내생변수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함.


- 예: 자동차의 수요와 공급 모형

- 자동차의 수요와 공급모형에서 3개의 내생변수와 2개의 외생변수가 있음.

•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 P, Qᵈ, Qˢ

• 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 Y, Pₛ

- 위의 경제모형에서 한 외생변수(Y, Pₛ)의 변화가 두 내생변수(P, Qᵈ/P, Qˢ)의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함.



■ 가격의 유연성과 경직성


- 거시경제 모형에서 가장 중요한 가정 중의 하나가 명목임금이나 재화 가격의 조정속도임.

- 시장청산(market clearing): 신속한 가격 조정으로 시장 균형이 이루어짐.

• 경제 성장과 같은 장기적인 문제의 연구에 유용

- 많은 경우 가격의 조정은 점진적이고 느리게 이루어짐. 가격의 경직성(rigidity)

• 경기변동이나 실업과 같은 단기적인 문제를 연구할 경우 유용



■ 불확실성과 기대의 형성


-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 미래에 일어날 일을 정확히 알 수 없고 이성적・합리적 기대를 형성할 수 있을 뿐임.

- 모형에서 기대를 형성하는 세 가지 방법

• 정태적 기대: 경제주체들이 미래에 대해 전혀 고려하지 않음.

• 적응적 기대: 과거의 정보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상하게 됨.(체계적 오류 발생)

• 합리적 기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활용하여 기대를 형성



■ 시장의 형태와 균형



■ 경제 모형(Economic models)


- 경제 모형은 관련이 없는 세부사항들을 제외하여 복잡한 현실 상황들을 단순화함.

• 경제모형은 일반적으로 경제변수들 간의 관계를 수학적 함수로 설명함.


- 경제 모형의 이용

• 경제변수들 간의 경제변수들 간의 주요관계를 단순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용함.

• 전반적인 경제활동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함.

• 경제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들을 고안하기 위해 이용함.

 

- 다양한 경제모형의 이용

• 한 가지의 경제모형으로 관련된 모든 경제 문제들을 설명할 수 없다

- 예) 자동차의 수요-공급 모형의 경우

• 모형은 소득 또는 생산요소의 가격변화가 시장 균형가격과 균형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할 수 있음.

• 그러나 왜 소득변화나 생산요소의 가격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설명할 수 없음.

- 서로 다른 경제현상이나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이하고 다양한 경제모형을 사용함.

• 거시경제학은 다양한 경제상황에서 다양한 경제모형으로 사용되는 상호보완적이지만 각각의 특성이 있는 도구이다.


- 다양한 경제모형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유의사항들

• 각 모형의 적합한 기본가정 설정

• 각 모형의 내생변수와 외생변수의 명확한 구분 및 설정

• 모형이 해결하고자 하는 경제문제/경제현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여부



(2021.03.01.)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