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0/19

명문대 가는 중학생 공부 비법



내가 과외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책꽂이에 『명문대 가는 중학생 공부 비법』이라는 책이 있었다. 며칠 전 아버지가 사준 책이라고 했다. 그 학생은 그 책을 4분의 1도 읽지 않았다. 왜 안 읽었느냐고 물으니 그 학생은 “아, 책 내용이 너무 비인간적이에요. 도저히 못 읽겠어요!”라고 했다. 내용이 궁금해서 나는 과외하다 중간에 쉬는 시간에 그 책을 읽었다.

그 책은 명문대생 스물두 명이 쓴 글을 엮은 것이다. 책 표지에는 “평범한 학생도 이대로 따라 하면 명문대 갈 수 있다! 멘토처럼 옆에서 직접 들려주는 생생한 중학생 공부비법!”이라고 써 있었는데, 사실 그런 건 하나도 없었고 명문대 입학생들의 유치한 자기 자랑만 있었다.

수학 등급을 3등급에서 1등급으로 만든 어떻게 만들었는지 설명하는 학생도 있다.


문제를 풀면서 개념과 풀이 방식을 모두 공부하지 않는 것은 문제를 푼 것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 두 달 반 만에 소단원 400여 문제씩 총 6,000여 문제를 풀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내내 3등급이던 수학 성적이 급상승하여 계속 1등급을 유지하고 막판에는 전교 5등까지 올랐습니다. (31쪽)


두 달 반 동안 6천 문제를 푼 것은 대단한데 어떻게 해야 그렇게 할 수 있는지는 나오지 않는다. 많은 학생들이 그렇게 못하는 것은 정신력이 약해서가 아니라 개념과 풀이 방식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떻게 해야 개념과 풀이 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가? 그런 건 설명하지 않는다.

인생의 암흑기를 이겨낸 명문대 입학생도 있다.


중학교 시절은 제 인생의 ‘암흑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좋지 않았습니다. ‘대전의 대치동’이라는 문산동에서 살던 저는 남들처럼 학원을 다니고 남들처럼 외고 진학을 생각했습니다. [...] 고등학교 때는 내신 외에도 흔히 스펙(SPEC)이라고 말하는 비교과 영역을 관리해야 합니다. [...] 참고로 저는 (1) TEPS 932 (2) DELE B1(스페인어 공인 인증시험) (3) 교내 축제 연극 연출&시나리오 작가, (4) 교내 지리/수학/시사 토론 동아리, (5) 교내 체육 대회 응원 단장, (6) 교내 전공 문화 소논문쓰기 대회 장려상/은상 입상 경력을 쌓았습니다. 이 중에서 DELE는 외고를 다녔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그 외에는 모두 제 노력의 결과물입니다. [...] 단어는 영어 문제집을 풀면서 모르는 단어를 수첩에 적어놓고 그때그때 외우면 됩니다. (36쪽-44쪽)


근면성실을 가르쳐주는 명문대 입학생도 있다.


끝으로 제가 좋아하는 책인 『마시멜로 이야기』에 나오는 한 구절을 소개할까 합니다.


아프리카에서는 매일 아침 가젤이 잠에서 깬다.

가젤은 가장 빠른 사자보다 더 빨리 달리지 않으면 죽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온 힘을 다해 달린다.


아프리카에서는 매일 아침 사자가 잠에서 깬다.

사자는 가젤을 앞지르지 못하면 굶어 죽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온 힘을 다해 달린다.


네가 사자이든 가젤이든 마찬가지이다.

해가 떠오르면 달려야 한다. (65쪽)


인생의 가르침을 가르쳐주는 명문대 입학생도 있다.


R=VD. ‘R’이 뜻하는 것은 realization, 곧 실현(성공)이고 ‘VD’가 뜻하는 것은 vivid dream, 곧 뚜렷한 꿈입니다. 꿈을 생생하게 꾸면 그 꿈은 이루어진다는 말입니다. 제가 정말로 간절히 원하는 것은 뚜렷하게, 그리고 꾸준히 상상하면 그것은 이루어집니다. 그 꿈을 이룬 저의 모습을 상상하며 의심 없이 밀고 나가야 합니다. 절대로 자신을 의심하면 안 됩니다. 무엇보다 자기 믿음이 중요합니다. 생생한 꿈과 자기 믿음! 이것이 여러분이 꿈을 이루는 원칙입니다. (114-115쪽)


R=VD이 꿈을 이루는 원칙이라고 한다. 그 학생은 명문대 입학생이니 학창시절의 꿈을 이루었을 것이다. 그런데 인생은 길고 그 학생은 아직 대학을 졸업하지도 않았을 텐데, 그 원칙이 그 학생의 다른 꿈도 이루어줄 수 있을지 어떻게 알았을까?

나는 과외받는 학생한테 말했다. “하는 일이 조금 안 풀린다고 좌절하면 안 되는 것처럼 하는 일이 조금 잘 풀린다고 이렇게 자만하고 까불면 안 돼. 왜 그런 줄 알아?” 나는 학교에서 찍은 사진을 보여주었다.





(2015.08.19.)


2015/10/16

[한국 가요] DJ D.O.C

DJ DOC - 나 이런 사람이야

( www.youtube.com/watch?v=8beUKh3kpW0 )

DJ DOC - Run to You

( www.youtube.com/watch?v=pR5sDqm8Wys )

DJ DOC - 수취인 분명

( www.youtube.com/watch?v=vi9WcO-p5Sw )

DJ DOC - DOC와 춤을

( www.youtube.com/watch?v=PYkt0nIAqYc )

(2023.08.05.)

드라마 <징비록>은 왜 <정도전>만큼 인기를 끌지 못했나

드라마 <징비록>은 정치드라마다. <징비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임진왜란이지만, 전투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전쟁이 정치의 연장선에 있음을 보이려고 했다. 임진왜란을 다룬 이전의 드라마가 전쟁의 참상이나 전투 장면이나 몇몇 사람의 영웅적인 면모 같은, 지극히 단편적인 측면을 부각하는 데 급급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징비록>은 한국 드라마의 완성도가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사례일 것이다.

약간 심하게 말하자면, <불멸의 이순신>은 무협지에 가깝다. 없는 사실을 지어낸다는 게 아니라, 세상이 한 사람을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점에서 그렇다. 악귀처럼 몰려드는 일본군, 뺀질거리며 민폐나 끼치는 명군, 아군한테 총질 하는 조선 조정, 의심 많고 견제나 하는 선조, 그 한가운데에서 외로운 영웅 이순신이 자신 앞에 놓인 짐을 짊어지고 간다는 게 <불멸의 이순신>의 기본 구도다. 여기서 일본이든 명이든 그들 나름대로의 사정은 드라마의 고려대상이 아니며 영웅의 앞길을 가로막는 장애물에 불과하다.

이와 달리 <징비록>은 세 나라의 이해관계뿐만 아니라 각 나라 내부의 권력관계까지 보여주려고 했다. 내가 알기로 임진왜란을 다룬 드라마 중에서 세 나라 내부 사정을 이만큼 자세하게 다룬 드라마는 없는 것 같다. 이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런데 <정도전>을 넘어서겠다던 <징비록>은 <정도전>만큼 재미가 없다. 별다른 화제가 된 것 같지도 않다. 왜 그런가? 드라마든 영화든, 극적인 긴장감과 그 해소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징비록>에는 그런 것이 없다. <정도전>과 달리 <징비록>에는 별다른 시원한 맛이 없다.

<정도전>은 주인공이 위기를 겪고 그것을 이겨나가면서 점점 성장해 결국은 고려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왕조를 개창한다. 그리고 잠깐 한눈 판 사이에 이방원에게 뒤통수 맞고 여운을 남기며 끝난다.

이와 달리 <징비록>은 위기를 겪고 그 위기가 제대로 해소가 안 된 상태에서 또 다른 위기를 맞는다. 이게 드라마 시작부터 끝까지 반복한다. 드라마 내내 제대로 되는 일이 없다. 위기가 해소되기 전에 또 다른 위기를 맞으니 극의 피로도는 높아지고 재미는 떨어진다. 주인공이 고난을 이겨내며 성장하는 게 아니라 드라마 내내 고생만 하다 드라마가 끝난다. 시청자가 드라마를 보다가 지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건 각본의 문제가 아니라 역사적 사실 자체의 문제라 각본을 고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조선개국의 두 축은 이성계의 무력과 정도전의 정치력이다. 그래서 <정도전>은 정도전의 정치력만큼이나 이성계가 얼마나 무장으로서 출중했는지를 보여주어야 했고, 그래서 전투 장면에 나름대로 공을 들였다. 황산전투나 위화도 회군 때 벌어진 개경 시가전도 그렇고, 최영과 이성계의 칼싸움도 그렇다. 이는 드라마의 볼거리에 큰 역할을 했다.

이와 달리 <징비록>은 조선군의 무력과 류성룡의 정치력의 균형이 맞지 않았다. <정도전>은 주인공이 이성계와 정도전이니까 각자 역할을 잘 하면 되는데, <징비록>은 주인공이 류성룡이기 때문에 전투를 부각시키면 주인공 비중이 줄어들어 극 전체의 균형이 흔들리기 쉽다. 이순신 역할을 김명민이 맡았더라면 드라마는 <징비록>으로 시작해 <난중일기>로 끝나는 참사를 맞았을지도 모른다(그래도 김석훈은 좀....). 그렇다고 <징비록>이 류성룡 원톱이 아니라 류성룡-이순신 투톱으로 만들었다면 정치 드라마로서의 면모는 사라지고 기존의 드라마처럼 고독한 두 영웅의 이야기로 머물렀을 것이다. 이렇게 해도 안 되고 저렇게 해도 안 되는 난처한 상황이다.

(물론 <징비록>의 전투 장면이 미비했던 건 맞다. <불멸의 이순신>은 하다못해 천자총통이 어떻게 안택선을 때려 부수는지를 보여주었는데, <징비록>은 전투도 대부분 대사로 처리된다. “아니, 용인에서 조선군이 대패를 했단 말이냐?” 하는 식이다. 심지어 명량해전에서는 판옥선도 나오지 않았다. 이러한 전투 장면의 비중을 조금 늘린다고 해서 드라마의 균형이 깨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아마도 예산상의 문제 때문에 전투 장면이 축소된 것이 아닐까 싶다.)

그래도 나는 다른 방법이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정도전>은 등장인물이 입체적이다. 주인공 정도전만 해도 초기(객기 부리는 선비), 과도기(귀향 가서 개고생), 중기(혁명가), 후기(노회한 정치가)로 진행되면서 캐릭터가 변한다. 반면 <징비록>은 인물들이 평면적이다. 류성룡은 너무 비현실적으로 드라마 내내 착하고 백성만 생각하고 자기 파벌은 생각도 안 한다. 이순신은 사이코패스 아닌가 싶을 정도로 감정 변화가 없다.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도 매우 다양한 모습을 보이는데, 류성룡은 너무 한 면만 보여줘서 극의 재미를 반감시킨 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이러한 한계를 감안하더라도, <징비록>은 <정도전>만큼은 아니더라도 괜찮은 드라마다. 주몽이 고구려를 건국한다는 것 빼고는 다 뻥인, 그러면서도 극의 개연성도 없는 <주몽>이나, 주인공이 등장해서 하는 일이라고는 눈 부라리고 소리 지르며 “뭐야?”를 다양한 방식으로 발음하는 <여인천하> 같은 드라마와 비교한다면, <징비록>은 한국 드라마가 많이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일 것이다.

(2015.08.16.)

2015/10/14

[강연] 신영준 박사



[세바시] 807회. 진짜 성장을 위한 4가지 계단 | 신영준 공학박사, 『완벽한 공부법』 저자

( www.youtube.com/watch?v=RR_iXZN_S1w )

[완벽한 공부법] 저자, 신영준 박사 버스킹 강연회

_1회: 당신이 바뀌지 않는 이유

( www.youtube.com/watch?v=2hIMd9JDWs8 )

_2회: 노력이 재능을 이길 수 있을까?

( www.youtube.com/watch?v=2vn_QC2u8Zk )

_3회: 너 자신을 알라, 메타인지

( www.youtube.com/watch?v=3GaOHD2KMeM )

_4회: 당신에게 필요한, 진짜 용기

( www.youtube.com/watch?v=A_UrJSp3D0c )

_5회: 올바른 선택이란 무엇인가?

( www.youtube.com/watch?v=iu5eDz4rOhg )

(2017.12.15.)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