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9/16
[글쓰기] 글을 퇴고하는 방법 - 김대중・노무현 대통령
2018/09/15
[한국 가요] 이랑 (Lang Lee)
이랑 - 신의 놀이 [온스테이지]
( www.youtube.com/watch?v=4AW1f1KP2DU )
이랑 - 가족을 찾아서 [온스테이지]
( www.youtube.com/watch?v=2mrTQhf2O08 )
(2017.12.15.)
2018/09/14
[과학사] Perrin (1988), “The Chemical Revolution: Shifts in Guiding Assumptions” 요약 정리 (미완성)
[ C. E. Perrin (1988), “The Chemical Revolution: Shifts in Guiding Assumptions”, in A. Donovan et al. (eds)(1988), Scrutinizing Scien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105-124. ]
1. Introduction
2. The Chemical Revolution
3. The Availability of Lavoisier’s Views
4. The French Debate - An Overview
5. A Spectrum of Responses
6. Conclusion
1. Introduction
2. The Chemical Revolution
[pp. 106-107]
라부아지에 화학 혁명의 다양한 층위들(levels)
층위(1); 슈탈의 플로지스톤 연소 이론을 산소 연소 이론으로 대체
층위(2); 공기가 화학 반응에서 차지하는 역할이 있다.(플로지스톤 이론을 뒤집을 필요는 없음)
층위(3); 공기, 무기산, 물, 유기물 등이 복합 구성물임을 보여줌 ; 새로운 화학 명명법의 등장
층위(4); 기존 화학의 지도 가정들에 대한 도전 ; 선택적 화학 친화성 & 본질적 화학 원리들 ; 기존 화학 체계에 대한 전면적인 도전
3. The Availability of Lavoisier’s Views
[p. 108]
라부아지에의 입장변화
세 시기로 구분 가능
순차적인 변화
4. The French Debate - An Overview
1773-1776년 [pp. 110-112]
1773년
A, Baumé이 라부아지에의 연구를 비판함.
저명한 화학자 P. J. Macquer는 라부아지에의 연구에 매우 우호적인 평가를 함.
- 라부아지에는 아직 혁명적이라 보기 어려움
- 라부아지에의 작업에 대한 비판들은 대한 있었으나 연구 방법의 명료함은 영향력과 지지를 확보함.
1777-1783년 [pp. 112-113]
1777년, 라부아지에는 플로지스톤이 없다고 논문을 발표함.
플로지스톤의 부재 주장
1778년 Macquer, Guyton de Morveau는 라부아지에의 주장에 반대함.
J. B. M. Bucquet는 옹호함.
1770년대 말부터 1780년대 초까지 라부아지에는 학회 화학자들과 플로지스트에 관한 충돌을 암묵적으로 회피
같은 기간 라부아지에는 Laplace, Monge, Vandermonde, Berthollet, Fourcroy와 개별적으로 접촉하여 자신의 입장을 변호함.
Berthollet는 라부아지에의 주장을 비판하지만 사적 감정이 상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비판함.
A. F. Fourcroy의 교과서가 채택한 입장을 취함.
양쪽 이론에 따라 현상을 설명함.
플로지스톤의 존재 유무에 대해서는 비결정적이라고 평가함.
1784-1789년 [pp. 113-114]
- 라부아지에는 플로지스톤 이론에 대해 더 공세적인 입장을 취함
- 물의 구성 발견, 산에서의 금속의 용해
- 많은 학자들이 전향함.
Chaptal의 지지
Berthollet의 전향
Fourcroy의 전향
Delamétherie의 새 화학 비판
플로지스톤 화학의 열렬한 지지자인 Guyton de Marveau의 전향
J. Senebier의 새 화학 비판
5. A Spectrum of Responses
전향과 관련된 논제들 [pp. 114-115]
(i) 연소/하소 과정에서의 기체 흡수
(ii) 공기가 구별되는 두 기체로 구성됨
(iii) 산(acids)에 관한 산소 이론
(iv) 열과 기체상에 대한 칼로릭 이론
(v) 물의 구성에 관한 라부아지에 주장
(vi) 플로지스톤의 거부
(vii) 새로운 명명법의 수용
논제들과 전향의 정도 [p. 115]
- (i), (ii)는 기존 이론에서도 해결 가능
(1770년대 Macquer와 Berthollet가 이미 수용함)
- (iii), (iv)는 라부아지에의 접근에 기울었다고 볼 수 있음
- (v)는 전향을 보여주는 강한 표지. 라부아지에의 물의 구성에 관한 주장은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켰기 때문.
- (vi), (vii)은 확실한 전향의 신호
논쟁에 참가한 학자들 프랑스어권 학자 69명 조사 [p. 118]
1784-1789년이 중요한 시기(41명이 전향)
15명은 물리학자 또는 수학자
4명은 자연학자(naturalist)
3명은 아마추어 과학자
19명은 약학 교육을 받은 화학자
[pp. 119-120]
- 대부분의 전향자들은 초기에는 대부분 라부아지에의 해석에 반대함.
예) Bucquet, Chaptal, Berthollet, Fourcroy, Guyton 등
- 끝까지 반대자로 남은 사람들은 초기의 반대자들보다 더 격렬하게 반대함.
자료 분석(1785년 기준 나이) [p. 120]
반대자들의 평균 연령 - 48.6세
전향자들의 평균 연령 – 35.4세
1784-1789년에 전향한 화학차 19명의 연력 – 30.7세
전향자들과 반대자들의 연령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p. 121
- 플랑크 원리에 대한 강한 해석: 새로운 과학적 참이 수용되려면 새로운 과학자 세대가 필요하다
- 플랑크 원리에 대한 약한 해석: 새로운 주장들의 수용 정도는 나이와 상관 관계가 있다
6. Conclusion
[p. 122]
라부아지에를 초기부터 지지하고, 강력한 지지자로 남은 나이든 학자들도 있음.
젊은 학자들이 새로운 생각을 더 잘 받아들이는 경향은 있다.
그러나 플랑크의 주장은 너무 비관적임.
화학 혁명의 사례는 과학자들이 점진적으로 새롭고 논쟁적인 이론의 지지자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줌.
(2018.12.05.)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대학원에는 학위를 받으면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주변 사람에게 주는 풍습이 있다. 예전과 달리 오늘날에는 논문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공개되지만 여전히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나누어주는 풍습이 남아있다. 어떤 행동 유형이 관례로 자리 잡으면 그 자체로 관성을...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만화로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대학에서 학생들이 교수를 ‘교수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 나는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강사를 ‘강사님’이라고 부르는 학생들도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낫다. 부장을 ‘부장님’이라고 부르...
-
지난 주 사랑방 욕실 벽에 청개구리가 붙어 있었다. 언제 어떻게 들어왔나 모르겠다. 작년 여름에 창문 틈으로 청개구리가 들어온 적이 있기는 한데, 그래도 작년에 들어온 청개구리는 아닐 것이다. 그런데 청개구리가 올해 들어왔다고 해도 이상하다. 내가 창...
-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는 정말 재미없는 책이다. 사전과 비슷한 책이라서 재미난 부분이라고는 한 군데도 없다. 나는 그 책을 두 번이나 읽었다. 정확히 말하면,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것은 아니고 처음부터 칸트 직전까지만 두 번 읽었다. 나는 왜 ...
-
한국어에서 명령의 뜻을 나타내는 말투로는 해라체와 하라체가 있다. 해라체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이고, 하라체는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의 문어체 명령형이다. 대화할 때 상대방에게 어떤 명령의 뜻을 전달할 때는 해라체를 쓰고...
-
‘중뿔나다’라는 표현이 있다. (i) 어떤 일에 별 관계도 없는 사람이 주제넘게 불쑥 나서는 행위나 (ii) 하는 일이나 모양이 유별나고 엉뚱한 경우를 가리키는 고유어라고 한다. ‘중뿔’은 가운데에 돋은 뿔이다. 소나 양, 염소 같은 가축은 일반적...
-
올해는 구찌뽕나무 가지를 말려보았다. 구찌뽕나무는 잎, 가지, 열매, 뿌리를 모두 약재로 쓸 수 있다고 한다. 구찌뽕나무 가지의 효능으로는 항암 효과, 숙취 해소, 당뇨 개선, 노화 방지, 신경통, 관절염, 요통, 기타 여성질환 완화 등이 있다고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