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10
2016/09/09
바바 사주로와 신분제
2016/09/07
어머니 친구의 자식 자랑
2016/09/02
고양이에게서 배우는 협력
진화 운운하면서 “네 조상은 경쟁에서 살아남아 너를 낳았는데 왜 너는 경쟁을 두려워하느냐?”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생물학 지식이 고등학교 <생물I>에서 멈춘 사람들이 꼭 그런 소리를 한다. 그들은 자기 조상이 퍽이나 강해서 자기를 후손으로 남긴 줄 아나 보다.
인간을 포함하여 많은 동물에게서 발견되는 것이 개체들 간의 협력이다. 모든 개체가 다른 모든 개체와 경쟁해서 가장 강한 개체만 살아남아 오늘날에 이른 것이 아니다. 갓난아기 심청이 효녀 심청이 된 것은 동네 아낙들이 젖을 먹였기 때문이지 심청이나 심청이네 아빠가 뛰어나거나 강해서가 아니었다.
한 집에 사는 어미 고양이들은 자기 새끼와 남의 새끼를 구분하지 않는다. 피 한 방울 안 섞인 새끼들도 형제자매처럼 지낸다. 가끔 사람보다 고양이에게 배우는 게 더 많을 때도 있다.
(2016.07.02.)
2016/09/01
윤서인과 빅맥 지수
빅맥 지수(Bic Mac Index)는 <이코노미스트>가 1986년부터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발표하는 지수다. 이 지수는 각 나라의 빅맥 가격을 미국 달러화로 환산하여 각 나라의 상대적 물가수준과 통화가치를 비교한다.
빅맥 가격으로 여러 나라의 물가수준과 통화가치를 비교하는 이유는 빅맥이 전 세계에서 팔리고 전 세계 어디서나 재료 구성, 조리법, 크기가 표준화되었기 때문이지 전 세계 사람들이 꼭 빅맥을 먹어야 해서가 아니다. 봉구스 밥버거 지수나 김혜자 도시락 지수가 안 나오는 것은 한국 사람만 먹는 음식이기 때문이다. 예전보다 빅맥이 잘 안 팔리면서 빅맥 지수의 신뢰성이 의심받기도 하며, 이에 따라 스타벅스 지수(Starbucks Index) 등이 제안되기도 했다.
* 참고: [두산백과사전] 빅맥 지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14632&cid=40942 )
(2016.07.01.)
한국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삼국지>를 만든다면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

-
누군가 잘 나간다는 생각이 들 때쯤이면 그에게 “문화 권력”이라는 수식어가 들러붙는다. “권력”이라는 건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을 말하는데 “문화 권력”이라고 불리는 건 그냥 그 사람이 요새 잘 나간다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김용...
-
대학원에는 학위를 받으면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주변 사람에게 주는 풍습이 있다. 예전과 달리 오늘날에는 논문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공개되지만 여전히 학위 논문을 제본해서 나누어주는 풍습이 남아있다. 어떤 행동 유형이 관례로 자리 잡으면 그 자체로 관성을...
-
<죽으면 되는 것이다> 짤은 『고우영 십팔사략』 10권 96쪽에 나온다. 후량-후당-후진-후한-후주-송으로 이어지는 5대 10국 시대에서 후한이 망할 때 풍도가 유빈을 죽인 일을 만화로 그린 것이다. 907년 주전충이 당을 멸망시키고 후...
-
최재천 교수는 교회에 다닌다고 한다. 생물학자가 어쩌다 교회에 다니게 된 것인가? 『다윈 지능』에서 최재천 교수는 다음과 같은 일화를 소개한다. 어느 날 목사님(강원용 목사)은 설명을 마치고 일어서려는 내게 이렇게 물으셨다. “최 교수는 진화론자인데 ...
-
지난 주 사랑방 욕실 벽에 청개구리가 붙어 있었다. 언제 어떻게 들어왔나 모르겠다. 작년 여름에 창문 틈으로 청개구리가 들어온 적이 있기는 한데, 그래도 작년에 들어온 청개구리는 아닐 것이다. 그런데 청개구리가 올해 들어왔다고 해도 이상하다. 내가 창...
-
리들리 스콧의 영화 <나폴레옹>은 영화가 전반적으로 재미없다는 것을 다 떠나서 약간 놀라운 게 있는데, 바로 나폴레옹이 영어를 쓴다는 점이다. 영화 <글레디에이터>처럼 고대 로마를 배경으로 한 영화도 아닌데, 나폴레옹이 주인공인 ...
-
집 나갔던 수컷 고양이가 돌아왔다. 다섯 달만인가 싶다. 암컷 고양이는 주로 집에 있고 동네 마실을 다녀도 곧 집에 돌아오는데, 수컷 고양이는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에 돌아다니는 시간이 많고 특히 발정기가 되면 며칠씩 집에 안 돌아온다...
-
용의 꼬리와 뱀의 머리 중 어느 것이 좋은가? 용의 꼬리가 낫다. 뱀의 머리라고 나 잘났네 해보아야 땅꾼한테 잡히면 뱀술이나 뱀탕이 된다. 용은 아무도 건드리지 않는다. 용들끼리 꼬리 걸고 도박하다가 꼬리가 작두에 잘리는 게 아닌 이상 용의 꼬리가 낫...
-
생각보다 이명박의 글씨체가 예쁘다. 물론 악당이 이런 글씨를 쓴다는 것이 그렇게 놀라운 일은 아니다. 원래부터 글씨는 사람의 인격 같은 건 반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글씨가 예쁘냐 안 예쁘냐는 기술의 문제다. 글씨를 못 쓸 정도로 성격이 ...
-
한국 가요에 등장하는 곤충 중에 가장 고통받는 곤충이 있다면 아마도 반딧불이(개똥벌레)일 것이다. 1980년대에 나온 신형원의 <개똥벌레>나 2020년대에 나온 중식이의 <나는 반딧불>에는 모두 고통받는 곤충으로서 반딧불이가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