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omas S. Kuhn (1996),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3rd e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43-51.
토머스 S. 쿤, 「5장. 패러다임의 우선성」, 『과학혁명의 구조』, 김명자・홍성욱 옮김 (까치, 2013), 117-128쪽. ]
■ 앞장 내용 요약 [p. 43, 117
- 규칙, 패러다임, 정상 과학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수용된 규칙이라고 기술한 공약(commitment)의 특수한 위치를 고려해 보자.
- 과학자 공동체의 패러다임들은 교과서, 강의, 실험 실습에서 드러남.
패러다임들을 공부하고 그것들을 가지고 훈련함으로써, 과학자 사회의 구성원들은 자신의 일을 배우게 됨.
- 다소 분명치 않은 부분도 있겠지만, 해결된 문제들과 기법들의 핵심은 대체로 명백할 것이며, 이를 그 과학자 사회의 패러다임이라고 부름
- 해당 과학자 사회는 패러다임에 구속된 정상과학을 함
공유된 규칙을 찾는 어려움 [pp. 43-44, 117-118
- 공유된 패러다임을 판명하는 것과 공유된 규칙을 판명하는 것은 다름. 공유된 규칙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함.
- 공유된 규칙을 알아내려면, 패러다임들을 서로 비교하고 패러다임을 당대의 연구 보고서들과 비교하여, 그 과학자 사회의 구성원들이 패러다임에서 어떤 규칙을 추출하여 사용했는지 찾아야 함.
- 일반화는 전망이 매우 어두움. 이러한 시도는 일정 정도 성공적일 수 있으나 규칙은 예외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규칙들의 (완전한) 집합을 찾는 일은 거의 불가능함.
규칙을 찾는 어려움의 원인 [p. 44, 118-119
- 과학자들은 뉴턴, 라부아지에, 맥스웰, 아인슈타인 등이 중요한 문제에 대해 영속할 것 같은 해답을 얻었다는 사실은 모두 인정하겠지만, 그러한 성공을 가능하게 한 추상적 특징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를 수 있음.
- 과학자들은 패러다임의 완벽한 해석(interpretation)에는 동의하지 않거나 그런 것을 구하려고 하지 않을 수 있지만, 패러다임을 식별(identification)하는 데는 동의할 수 있음.
- 어떤 명시적인 표준 해석이나 규칙이 도출되지 않더라도, 부분적으로 패러다임을 직접 점검하여 정상과학이 이루어질 수 있음. 정상과학은 규칙과 가정의 정식화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그러한 정식화에 의존하지 않는다.
- 하나의 패러다임이 존재한다고 해서, 완전한 규칙의 집합이 존재한다는 것이 아님.
[pp. 44-45, 119-21
- 규칙의 집합 없이 어떻게 과학자들을 정상과학의 전통에 묶어둘 수 있는가? ‘패러다임에 대한 직접적 점검’이라는 말은 무슨 뜻인가?
- 쿤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비트겐슈타인의 논의를 빌려 움.
- 비트겐슈타인의 질문: ‘의자’니 ‘잎’이니 ‘게임’이니 하는 말들을 애매하지 않게 적용하려면 우리는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
- 기존의 답변: 그것들이 공통으로 지니는 속성을 파악해야 함
- 비트겐슈타인의 답변: 가족 유사성
- 다수의 게임들이 공유하는 특성을 아는 것은 도움이 되겠지만, 모든 게임들에 그리고 게임에만 적용할 수 있는 특성의 묶음이란 존재하지 않음
- 새로운 활동을 보고 게임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전에 게임이라고 부르도록 배웠던 활동과 가족 유사성을 띠기 때문임.
- 게임들은 자연적 가족(natural family)을 이루고 있는 것임. 우리가 이름 붙인 가족들은 서로 겹치고 교차되는 닮음 관계들의 연결망에 의해 구성됨
- 이러한 연결망의 존재는 우리가 상응하는 대상이나 활동을 성공적으로 확인하는 이유를 설명함.
[pp. 45-46, 121
- 정상과학 전통이 지닌 일관성도 이러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 하나의 정상과학 내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연구 문제들과 기법들은 모종의 명시적인 (또는 완전히 발견 가능한) 규칙・가정의 집합을 공유하는 것이 아니다.
- 그러한 문제들과 기법들은 서로 닮음 관계이면서, 패러다임으로 인정받는 과학적 성취의 이 부분이나 저 부분을 저마다 모델링함으로써 관계를 맺음.
- 이런 관계는 교육에서 옴. 같은 정상과학 전통의 과학자들은 동일한 교육과 동일한 문헌을 통해 습득한 모델부터 연구함.
- 이 과정에서 그들은 그 모델들이 왜 패러다임의 자격을 얻게 되었는지는 배우지 않으며, 보통은 그것을 알 필요도 없음. 그러한 질문이나 그에 대한 답은 불필요하게 느낀다.
- 패러다임은 그것에서 추상화될 수 있는 명시적인 규칙들의 집합보다도 우선적이며, 더욱 구속력 있고 더욱 완전할 수 있음.
패러다임의 우선성에 대한 근거(1), (2) [pp. 46-47, 121-23
- 지금까지 논의는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 패러다임이 정말 그런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는 다른 문제.
- 쿤은 실제로도 그렇다고 생각함. 이에 대해서는 네 가지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 근거1: 규칙 찾기의 어려움
- 특정한 정상과학 전통을 주도해온 규칙들을 찾아내는 것은 지극히 힘듦.
- 근거2: 과학 교육의 성격
- 과학자들은 개념, 법칙, 이론을 추상적으로 그 자체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항상 그것이 적용되는 모범적인 사례와 함께 배움.
- 새로운 이론은 언제나 자연 현상의 구체적 영역에 대한 적용과 함께 발표됨. 어떤 이론이 수용되면, 교과서에는 그 이론의 대표적인 적용 사례가 실리게 됨.
- 적용 사례는 그 이론이 무엇인지, 그 이론을 어떤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가르쳐주는 역할을 함.
- 하나의 이론을 깨우치는 과정은 연필로 연습문제를 풀거나 실험실에서 예시된 실험 문제를 직접 푸는 과정을 포함함.
예) ‘힘’이나 ‘질량’ 등의 개념을 배우는 과정.
- 연습 문제를 풀 때 그러한 개념을 적용하여 그 개념을 파악함. 교과서 본문의 정의만으로는 터득할 수 있는 게 거의 없음.
- 학년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이 푸는 문제는 점점 복잡해지고 전례에 의해 완전히 뒷받침되지 않는 것들이 생김. 이런 문제들이 성공적으로 해결되는 것은, 전에 연습문제를 풀 때와 마찬가지로 앞선 문제 풀이를 모델링함으로써 이루어짐.
- 과학자들은 어떤 규칙에 따라 문제를 푸는가? 아무리 문제를 잘 푸는 과학자도 자신이 어떤 규칙에 따라 행동하는지 말하기 어려워함.
- 과학자의 문제 풀이 능력을 설명하는 데 어떠한 규칙의 집합을 가정할 필요는 없음. 그는 패러다임을 통해 직접 좋은 문제를 골라내고 문제를 푸는 방법을 익혔을 뿐.
패러다임의 우선성에 대한 근거(3) [pp. 47-49, 123-25
- 근거3: 규칙에 대한 논쟁의 특이성
- 패러다임이 수용되던 기간에는, 규칙에 대해서 논란을 벌일 필요가 없음. 패러다임에 대한 해석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이 기간에는 그러한 해석 차이가 실제 문제 풀이에서 차이를 만들어내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차이가 수면 위로 올라오지 않음.
- 패러다임이 위협을 받게 되면, 수면 아래에 있던 해석의 차이들이 수면 위로 올라와서 심각한 논쟁을 만들어냄. 그래서 과학혁명기마다 이러한 논쟁들이 규칙적으로 되풀이됨.
예) 뉴턴 역학으로부터 양자역학으로 이행될 때 물리학의 성격과 규범에 관한 많은 논쟁이 벌어짐
- 패러다임이 안전하게 지탱되는 동안에는 합리화를 생각하지 않아도 패러다임은 제 기능을 함.
패러다임의 우선성에 대한 근거(4) [pp. 49-51, 125-28
- 근거4: 세부 분야의 다양성
- 과학 혁명은 매우 좁은 범위에서도 나타날 수 있음. 소혁명이 가능한 것은 과학이 다양한 분야와 세부적인 전공으로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
- 실제로 과학 전체를 보면, 상당히 일관성 없는 구조로 보일 수 있음. 이러한 모습은 규칙보다는 패러다임을 사용하면 훨씬 더 이해하기 쉬움. 세부 전공으로 갈라질 때마다, 연구자는 서로 다른 패러다임을 공부하게 됨.
예) 모든 물리학자는 양자역학을 배우지만, 어떤 세부 전공에서는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만 배우는 반면, 어떤 전공에서는 그 원리를 화학 분야의 적용하는 것까지 상세히 배움.
- 양자역학이 과학자들 각자에게 무엇을 의미하는가는 그가 무슨 과목을 택했는가, 어떤 책들을 읽었는가, 어떤 문헌을 공부하는가에 따라 결정됨. 그래서 양자역학은 다수의 과학 집단에게 하나의 패러다임이지만, 그들 모두에게 동일한 패러다임은 아님.
- 각 세부 전공들은 서로 일부 중첩되면서도 다른 다양한 전통으로 갈라지게 됨. 이 때문에 하나의 전통에서 일어난 혁명은 전체에까지 확산되지 않을 수 있음.
예) 헬륨 원자는 분자인가 아닌가?
- 화학자에게 헬륨 원자는 분자이지만, 물리학자에게 그것은 하나의 분자가 아니었다. 그 답은 어떤 전통에 속했는지에 따라 다르다.
- 과학의 다양성을 설명하는 가장 좋은 것은 구체적인 패러다임과 그에 따른 교육과 훈련이지, 명시적인 규칙의 존재가 아닐 것임.
(2023.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