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rl F. Craver (2014), “The Ontic Account of Scientific Explanation”, in M. I. Kaiser et al. (eds.)(2014), Explanation in the Special Sciences: The Case of Biology and History (Dordrecht: Springer), pp. 27-52. ]
2.1 Introduction
2.2 The Ambiguities of “Explanation”
2.3 Adequate Explanations and the Ontic Conception
2.4 The CL Model
2.5 Churchland’s Connectionist Account
2.6 Idealization and the Ontic Conception
2.7 Conclusion
2.1 Introduction
2.2 The Ambiguities of “Explanation”
2.3 Adequate Explanations and the Ontic Conception
2.4 The CL Model
2.5 Churchland’s Connectionist Account
2.6 Idealization and the Ontic Conception
49
과학적 설명에서 이상화(idealization)가 하는 역할
2.7 Conclusion
50-51
과학적 설명에 관한 철학 이론의 핵심 작업은 (a) 설명과 다른 종류의 과학적 성취를 구획 짓고 (b) 적절한 설명과 부적절한 설명을 구분하는 규범을 정교화하는 것
크레이버는 “설명”이 적어도 네 가지 의미를 가지는 모호한 용어라고 논증함.
설명의 존재론적 개념
적법한 설명으로 간주되는 것은 세계의 구조의 종류에 관한 견해
그러한 구조가 구분하는 것
how-possibly explanations과 how-actually explanations
현상적 모형(phenomenal models)과 메커니즘적 모형(mechanistic models)
단순히 예측적인 모형(merely predictive models)과 설명적 모형(explanatory models)
스케치(sketches)와 충분히 완전한 설명(complete-enough explanations)
유관한 설명 요소와 무관한 설명 요소
(2025.02.03.)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