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7

[심리철학] Jaegwon Kim (2011), Ch 10 “Consciousness and the Mind-Body Problem” 요약 정리 (미완성)



[ Jaegwon Kim (2011), Philosophy of Mind, 3rd Edition (Routledge), pp. 301-.

김재권, 「제10장. 의식과 심신 문제」, 『심리철학』, 권홍우・원치욱・이선형 옮김 (필로소픽, 2023), 461-쪽. ]

10.1 “설명적 간극”과 “어려운 문제”

(The “Explanatory Gap” and the “Hard Problem”)

10.2 의식은 물리적 속성에 수반하는가?

(Does Consciousness Supervene on Physical Properties?)

10.3 설명적 간극을 닫기: 환원과 환원적 설명

(Closing the Explanatory Gap: Reduction and Reductive Explanation)

10.4 기능적 분석과 환원적 설명

(Functional Analysis and Reductive Explanation)

10.5 의식과 뇌과학

(Consciousness and Brain Science)

10.6 천재 시각 과학자 메리가 몰랐던 것

(What Mary, the Super Vision Scientist, Didn’t Know)

10.7 물리주의의 한계

(The Limits of Physicalism)

10.1 “설명적 간극”과 “어려운 문제”

(The “Explanatory Gap” and the “Hard Problem”)

10.2 의식은 물리적 속성에 수반하는가?

(Does Consciousness Supervene on Physical Properties?)

10.3 설명적 간극을 닫기: 환원과 환원적 설명

(Closing the Explanatory Gap: Reduction and Reductive Explanation)

10.4 기능적 분석과 환원적 설명

(Functional Analysis and Reductive Explanation)

10.5 의식과 뇌과학

(Consciousness and Brain Science)

10.6 천재 시각 과학자 메리가 몰랐던 것

(What Mary, the Super Vision Scientist, Didn’t Know)

10.7 물리주의의 한계

(The Limits of Physicalism)

(2024.10.06.)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검은 개를 구조하다

아직 덜 자란 까만 개가 목에 쇠사슬로 된 목줄을 달고 우리집 밭으로 뛰어들어가는 것을, 사랑방에서 작업하다가 창문 너머로 보았다. 개가 뛰어갈 때 쇠목줄이 시멘트 바닥에 긁히며 짤랑짤랑 하는 소리가 나서 보게 되었다. 개는 금방 시야에서 사라졌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