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edish House Mafia - Don’t You Worry Child (ft. John Martin)
( www.youtube.com/watch?v=3mWbRB3Y4R8 )
(2025.01.18.)
Swedish House Mafia - Don’t You Worry Child (ft. John Martin)
( www.youtube.com/watch?v=3mWbRB3Y4R8 )
(2025.01.18.)
이번 학기 내가 맡은 학부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 중에 부모님 또래인 아저씨가 있다. 학사 편입하셨다고 하던데 어떤 사연이 있어서 철학과 학사 편입을 했을까? 예전에 학회에서 들은 이야기인데, 지방에 있는 철학과 대학원에 은퇴한 아저씨들이 대학원생으로 입학하는 일이 종종 있다고 한다. 인생의 의미 같은 것을 찾으러 동양철학을 배우러 온다는 것이다. 내 수업을 듣는 아저씨도 인생의 의미를 찾으러 철학과에 오신 것이었나?
며칠 전 <언어철학> 수업 중간고사를 보았다. 제일 늦게까지 답안지를 작성한 사람 중 한 명이 그 아저씨였다. 그 분은 답안지를 제출하며 자신은 신학대에서 학위를 받고 나서 스스로 철학 쪽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철학과에 학사 편입을 했다고 말했다. 목사님이었다. 목사님은 웃으면서 “선생님께서 열정적으로 가르쳐주셨는데 제 답안지가 부족한 것 같네요”라고 하고는, 나중에 기회가 되면 식사 대접이라도 하고 싶다고 하셨다.
쉬는 시간에 그 목사님의 석사학위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을 찾아보았다. 박사학위논문 감사의 글에, 시골에 있는 작은 교회의 목사로서 활동하던 중 성도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더 잘 전달하고 싶어서 박사과정에 들어왔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렇게 조직신학 전공(칼 바르트)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나서 철학 쪽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다시 철학과로 학사 편입했다. 감사의 글을 읽으니 수업을 더 신경 써서 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2024.10.24.)
Carl Douglas - Kung Fu Fighting [영화 <쿵푸팬더> 주제곡]
( www.youtube.com/watch?v=hq5REevpSP8 )
(2023.04.24.)
[ Carl F. Craver (2014), “The Ontic Account of Scientific Explanation”, in M. I. Kaiser et al. (eds.)(2014), Explanation in the Special Sciences: The Case of Biology and History (Dordrecht: Springer), pp. 27-52. ]
2.1 Introduction
2.2 The Ambiguities of “Explanation”
2.3 Adequate Explanations and the Ontic Conception
2.4 The CL Model
2.5 Churchland’s Connectionist Account
2.6 Idealization and the Ontic Conception
2.7 Conclusion
2.1 Introduction
2.2 The Ambiguities of “Explanation”
2.3 Adequate Explanations and the Ontic Conception
2.4 The CL Model
2.5 Churchland’s Connectionist Account
2.6 Idealization and the Ontic Conception
49
과학적 설명에서 이상화(idealization)가 하는 역할
2.7 Conclusion
50-51
과학적 설명에 관한 철학 이론의 핵심 작업은 (a) 설명과 다른 종류의 과학적 성취를 구획 짓고 (b) 적절한 설명과 부적절한 설명을 구분하는 규범을 정교화하는 것
크레이버는 “설명”이 적어도 네 가지 의미를 가지는 모호한 용어라고 논증함.
설명의 존재론적 개념
적법한 설명으로 간주되는 것은 세계의 구조의 종류에 관한 견해
그러한 구조가 구분하는 것
how-possibly explanations과 how-actually explanations
현상적 모형(phenomenal models)과 메커니즘적 모형(mechanistic models)
단순히 예측적인 모형(merely predictive models)과 설명적 모형(explanatory models)
스케치(sketches)와 충분히 완전한 설명(complete-enough explanations)
유관한 설명 요소와 무관한 설명 요소
(2025.02.03.)
대학원 다니면서 들은 학부 수업에서 몇몇 선생님들은 수업 중간에 농담으로 반-직관적인 언어유희를 하곤 했다. 나는 이번 학기에 학부 <언어철학> 수업을 하면서 그런 식의 농담을 하나도 하지 않았다. 나부터 그런 반-직관적인 언어유희에 재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