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29

한국어로 대화하는 외국인 교환학생들

     

외국인들끼리 한국어로 대화하는 것을 학교에서 가끔씩 본다. 무리에 영어에 능통하지 않은 사람이 섞여 있고 출신 국가가 서로 다르면 공통 언어가 한국어가 된다.
  
학부 때 이런 일이 있었다. 자주 가는 순대국밥집에 외국인 네 명이 앉아 있었다. 탁자에 남자 두 명과 여자 두 명이 서로 마주 보고 앉아있었다. 학교 근처에 있는 음식점이니 교환학생들이었을 것이다.
  
남자 한 명은 평범하게 생긴 중국 남자였다. 동아시아 남자가 평범하게 생겼다는 것은 못 생겼다는 말이다. 그 옆에는 국적을 추정할 수 없는 백인 남자가 있었다. 혼자 앉아 있어도 잘 생겼는데 옆에 있는 남자 덕에 더 잘 생겨 보였다. 맞은 편에는 일본 여자 두 명이 있었다. 둘 다 평범하게 생겼다.
  
외국인들은 말도 안 되는 한국어로 말도 안 되는 의사소통을 하고 있었다. 대화가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 같지는 않았는데 하여간 대화는 계속 이어졌다. 일본 여자들은 백인 남자에게만 말을 걸었다. 이것저것 자질구레한 것을 계속 물었다. 중국 남자에게는 한 마디도 말을 걸지 않았다. 중국 남자에게 궁금한 것이 하나도 없는 것처럼 보였다.
  
이것저것 묻던 일본 여자가 백인 남자에게 조심스럽게 물었다. “오-똔 요-자 좋아해요?” 백인 남자를 보는 일본 여자의 눈은 꼭 새로 산 바둑돌처럼 반질반질 빛나고 있었다. 백인 남자는 눈을 감고 이맛살을 찌푸리며 말을 하지 않았다. 한국어 표현이 생각나지 않는 모양이었다. 나는 그것을 보면서 “일단 너는 아닌 것 같은데”라는 표현을 가르쳐줄까 말까 고민했다. 백인 남자는 이렇게 말했다. “얽-굴 쌍-관 없어욝.” 나쁜 놈이었다. 괜히 헛된 희망을 심어주다니.
  
백인 남자의 말을 들은 일본 여자는 밝은 얼굴로 이렇게 물었다. “아아, 요-자면 다 좋아요?” 백인 남자는 그건 아니라고 답했다.
  
  
(2018.11.29.)
     

2019/01/28

[글쓰기 강좌 조교] 퇴고하기



- 아무리 유용한 조언을 하더라도 학생이 자신의 글쓰기 습관을 점검하면서 글을 고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면 글쓰기 능력은 향상되지 않음.

- 보고서를 지도하는 사람은 학생이 퇴고하면서 다음과 같은 점을 점검하도록 해야 함.

- 점검 사항

• 리포트의 주제를 한 문장으로 말할 수 있는가 

• 리포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거가 명확하고 설득력이 있는가 

• 논거들은 논리적으로 연관되어 있는가 

• 문장 표현 및 단락구분은 올바로 되어 있는가 

• 글의 전체적인 맥락을 스스로 파악하고 있는가

- 보고서를 지도하는 사람은 학생이 글을 퇴고할 때 다음과 같은 점검표를 사용하도록 제안할 수 있음.

  

  

* 참고 문헌: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2016), 『2016년 1학기 교양 강의조교 워크숍 자료집』, 105-106쪽.



(2019.02.09.)


2019/01/27

[물리학의 철학] Callender (2004), “Measures, explanations and the past: Should ‘special’ initial conditions be explained?” 요약 정리 (미완성)

   
[ The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55, 195–217. ]
  
  
  1. Introduction
  2. Price’s objection
  3. What we want explained
  4. A range of unlikely initial conditions
  5. Brute facts and explanation
  6. The best-system analysis
  7. Explaining the past state
  8. Conclusion
  
  
  1. Introduction

pp. 195-196
논변은 다음과 같이 진행됨.
1단계. 볼츠만의 논변
미시상태가 균형에서 멀어지는 것보다는 거시상태적 평형(macroscopic equilibrium)으로 가는 것이 훨씬 더 그럴듯하다.

p. 196
2단계

p. 196
휴 프라이스(1996)는 '왜 엔트로피가 증가하는가?'를 묻지 말고 '왜 초기에 엔트로피가 낮았는가?'를 물어야 한다고 함.
캘린더(1998)는 그 질문에 우리가 답할 수 있는지를 묻고 그것을 설명할 수 없다고 함.
스클라도 비슷한 우려를 함.(Sklar 1993)
프라이스는 이러한 비판에 반대함(Price 2002)


  2. Price’s objection

p. 197
경계 조건(boundary conditions)을 설명하는 것에 대한 캘린더의 반대는 흄의 논변에서 유래함.


  3. What we want explained

p. 198
초기 조건과 종결 조건에는 특별한 점이 있음. 바로 시공간의 경계(boundary of spacetime)
경계 전에는 초기 조건이 없고 경계 후에는 종결 조건이 없다.
이러한 조건들을 설명할 필요가 있는가?

pp. 198-199
초기 조건을 설명해야 한다는 주장
좋은 과학적 설명은 인과적 설명이다.
인과는 시간적으로 비대칭적이다. 왜냐하면 대체로 원인은 결과에 선행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종결 조건들에 선행하는 가능한 원인들이 있으므로 종결 조건은 설명될 수 있지만, 초기 조건에 선행하는 것은 없으므로 초기 조건은 설명될 수 없다.
캘린더는 이러한 논변을 하려는 건 아니다.
프라이스의 시간적 이중 기준(temporal double standard)
(...)

p. 199
캘린더는 시간적 이중 기준에 개입하기를 원하지 않으므로 초기 조건과 종결 조건을 동등하게 다루고자 함.
캘린더는 초기 조건을 설명하는 것에 반대하므로 우주의 종결 조건을 설명하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고 해야 하고 그렇게 생각함.
그러나 이 쟁점은 초기 조건 대 종결 조건에 관한 것도 아니고 경계 조건들에 관한 것도 아니며, 초기 조건, 종결 조건, 또는 둘 사이에 관한 것도 아니다.
(설명하겠다...)

p. 199
우리는 우주의 종결 상태를 그 상태의 직전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4. A range of unlikely initial conditions

p. 200
초기 조건이 unlikely 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직관적으로 보면 일어나는 모든 것은 unlikely 하다.

p. 201
쟁점이 되는 주제는 모든 열역학적 현상들에 존재하는 상관관계
특히 열역학 제2법칙은 매우 단순한 일반화를 지키는 것처럼 보임.
표준 측정에서의 문제
표준 빅뱅 우주론에서도 분명히 비슷한 문제가 발생함.
horizon 문제와 flatness 문제는 초기 데이터가 초기 공간적 hypersurface에 심각한 제약을 부과함.
[...]
그러나 프리드먼 우주에서, 모든 물체가 서로 causal commerce 하는 것은 아님.
[...]
‘inflationary scenarios’라고 불리는 것은 현대 우주론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함.

p. 201
flatness 문제도 비슷함.
프리드먼 우주에서, ‘flatness’(zero curvature)에서 출발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커져야 함.
지금까지 모든 종류의 initial minute irregularities는 ....
[...]
horizon problem에서, 이러한 초기 조건 문제는 monstrously unlikely
이러한 우주론적 문제는 우리의 문제와 같은가?

pp. 201-202
통계역학의 사례와 달리, 확률 측정의 적절성에 관한 상당한 불확실성이 있다.



  5. Brute facts and explanation

p. 203
현대 과학에 따르면 과거 상태가 일어날 법하지 않지만 캘린더는 심각한 표시가 아니라고 봄.
이전에 제시한 것처럼, 캘린더의 주장은, 신 존재에 관한 고전적인 우주론적 논변에 대한 흄의 대응에서 시작함.
[...]


p. 205
캘린더는 과거 상태(Past State)가 설명되어야 한다는 프라이스의 주장에도 같은 문제가 있다고 봄.
왜 brute fact나 과거 가설이 단순히 근본 법칙이 될 수 없는가?


  6. The best-system analysis
  7. Explaining the past state

(d) Anthropic explanations

p. 209
과거 상태는 설명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우리가 '설명'이라고 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달려있음.

p. 210
캘린더가 보기에 과거 상태를 설명하려는 프라이스의 프로그램은 어떤 사실이 기본적일 수 있는지에 대한 선험적 판단을 만족시키기만 하는 시험할 수 없는 메커니즘을 제안하는 recipe처럼 보인다.



  8. Conclusion

p. 213
시간이 시작될 때 끝날 때 그리고 그 사이에 대한 메커니즘이 없음.
초기 상태 사례도 정확히 이것과 같아서 엔트로피가 낮은 상태에 관한 메커니즘이 없음.
  
  
(2019.02.01.)
   

2019/01/26

로빈슨 크루소 2기 모형을 그림으로 표현하기

     

대학원 와서 학부 수업을 또 수강하고 있다. 원래 청강하려고 했는데 어찌어찌하여 결국은 수강하게 되었다. 4학년 과목인데 조금 독특한 수업이라 조별과제까지 하게 되었다. 경제학과 학부 수업에서 조별 과제를 하는 일은 거의 없다고 알고 있는데 어쨌든 그렇게 되었다. 스물네 살에 학부를 졸업하고 서른네 살에 다시 조별 과제를 하게 될 줄은 몰랐다.
  
선생님은 조를 꾸려서 기말 보고서를 쓰고 그 내용을 발표하되 주제는 자유롭게 선정하고 경제학과 관련이 없어도 된다고 하셨다. 로빈슨 크루소 2기 모형에서 시작해서 동태적 일반 균형을 거쳐 경제성장 모형까지 다루는 수업인데, 보고서 주제와 발표 형식을 자유롭게 해도 된다고 하자, 조별 과제에 특이점이 오기 시작했다. 결국 우리 조에서는 로빈슨 크루소 2기 모형을 자유롭게 그림으로 표현하자는 결론에 이르렀다.
 
나는 조원들에게 가능한 위험에 대해 말했다. 발표 전주 수업에서 선생님이 루카스 논문을 제목부터 읽으면서 논문 형식에 대해 꼼꼼히 설명했는데 갑자기 왜 그랬겠느냐, 이건 학생들에게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 주제 자유 발표 형식 자유라고 해서 막 나가지 말라는 메시지를 보낸 거다, 라고 나는 학부생들에게 말했다. 그러자 그 선생님에게서 <화폐금융론> 수업을 들은 학생이 당시 조별 발표의 경험에 근거하여 나의 위험 감지가 틀린 것 같다고 반박했다. 결국, 원래 계획대로 로빈슨 크루소 2기 모형을 자유롭게 그림으로 표현하기로 했다. 다행히 발표는 무사히 끝났으며 아무런 화도 입지 않았다. 나의 위험 감지는 틀린 것이었다.
  
학부생들이 그림을 구상할 때 나는 이미 작품을 완성한 상태였다. 학부생들이 나의 잠들어 있던 예술혼을 깨우면 안 되는 것이었다. 구상하는 데 5분, 구글에서 그림과 사진을 검색하는 데 5분, 그림과 사진을 그림판으로 합성하는 데 20분, 그렇게 총 30분이 걸렸다. 포토샵을 할 줄 몰라서 그림판으로 합성했다.
 
 
 
 
작품명은 <이보시오, 내가 로빈슨 크루소라니 그게 무슨 소리요>이다. 작품 설명을 보내 달라고 해서 A4용지 2쪽 반에 걸쳐서 작품을 설명했다. 물론 그 작품 설명이라는 것은 토씨 하나까지 전부 개소리인데 굳이 요약하자면 대충 이런 내용이다. 과학철학에서 경제학 방법론에 건전한 비판을 하는 것과 별개로, 시중에서 떠도는 경제학에 대한 비판은 대체로 부당한 개소리다. 경제 모형에는 피가 도는 사람이 안 들어가 있다는 말도 안 되는 소리를 너무 당당하게 한다. 그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진공 상태의 완전 탄성체를 가정하는 물리학자들한테는 짹 소리도 못 하면서 경제학 가지고는 말도 안 되는 트집을 잡는다. 무인도에 표류한 로빈슨 크루소의 얼굴이 심영의 얼굴인 것은, 자기가 경제 모형 속의 행위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결국은 로빈슨 크루소 2기 모형에 등장하는 로빈슨 크루소일 수밖에 없음을 표현한 것이다. 여기에는 경제 모형이 실제 세계를 표상한다는 실재론적 견해가 깔려있다. 실재론적 견해를 심영을 통해 표현한 것은, <야인시대>가 방영된 지 15년이나 지났지만 여전히 심영은 외면하고 싶지만 외면할 수 없는 현실에 직면한 고독한 현대인을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통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학부에서 개소리나 지껄이며 근본 없이 살다가 대학원에 와서 아카데미즘의 불벼락을 맞고 회개하여, 마음을 고쳐먹고 새 사람이 되어 잘 살아보려고 하고 있었다. 아직은 딱히 공부를 잘 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새 사람이 되려고 했다. 그런데 학부생들이 근본 없이 막 살던 과거의 나를 일깨웠다. 정말이지, 잠들어 있던 내 예술혼을 깨우면 안 되는 것이었다.
  
  
(2018.11.26.)
    

2019/01/25

[과학사] Collins and Pinch (1998), Ch 4 “The germs of dissent: Louis Pasteur and the origins of life” 요약 정리 (미완성)



[ Harry Collins and Trevor Pinch (1998), The Golem: What You Should Know About Science,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

Harry Collins and Trevor Pinch (1993), The Golem: What You Should Know About Science, 1st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해리 콜린스・트레버 핀치, 「4장. 세균들은 반대했지만…… - 루이 파스퇴르와 생명의 기원」, 『골렘 ― 과학의 뒷골목』, 이충형 옮김 (새물결, 2005), -쪽. ]

1. Spontaneous generation

2. The nature of the experiments

3. Practical answers to the experimental questions

4. The Pasteur–Pouchet debate

5. Experiments ‘under mercury’

6. Flasks exposed at altitude

7. Sins of commission

8. Retrospect and prospect on the Pasteur–Pouchet debate

9. Postscript

(2024.06.02.)


한강 작가 노벨문학상 수상 예언한 알라딘 독자 구매평 성지순례

졸업하게 해주세요. 교수되게 해주세요. 결혼하게 해주세요. ​ ​ ​ ​ ​ * 링크: [알라딘] 흰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소설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3220344 ) ...